동영상이 2006년 내내 온 나라를 뒤흔들고 있다, 그리고 이 분위기는 하반기에는 더욱 치열해져 내년 정도면 동영상 업계가 어느 정도 순위 매김이 되지 않겠냐는 예측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어 하반기 동영상을 둘러 싼 IT업계의 경쟁구도는 이제까지보다 훨씬 과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들의 경쟁의 초점은 동영상 콘텐츠 그중에서도 VOD서비스에 중점적으로 맞춰져 있으며 방송계는 물론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DMB, 케이블 및 위성방송사업자들의 경쟁에 인터넷사업자들까지 가세해 한 치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혼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 초고속인터넷 빅3의 TV포털 사업이 본격적으로 불이 붙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들의 서비스가 공통적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초고속인터넷사업자라는 거인을 상대하기에는 일단 자본력에서 크게 차이가 나고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에도 자본력만큼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인터넷 기반의 VOD 서비스 업체들은 아직 관련 법규의 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상대적으로 다른 업계에 비해 초기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위안을 얻고 있다. 방송위 관계자도 “신기술을 탑재한 서비스가 나올 때마다 규제의 영역으로 받아들이기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적어도 연말까지는 여유가 생긴 셈이다.

인터넷 VOD는 현재 곰TV로 잘 알려진 그래텍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UTV와 유팸TV라는 막강한 경쟁사들이 아직 본격적인 서비스를 개시하지 않고 있는 사이에 곰플레이어와 아이팝으로 쌓아 온 기반을 굳게 다지고 신규 투자를 유치하면서 세력 굳히기에 들어갔다. 특히 한국형 윈도에 곰플레이어가 탑재되는 점은 그래텍의 입장에서는 잠재적 수요를 확대할 수 있는 큰 장점이기도 하다.

이미 국내 동영상 플레이어의 대명사가 된 곰플레이어를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그래텍이 쌓아 온 노하우는 다른 업체들과의 확실한 차별점이 된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여기에 곰TV는 UCC라는 카드를 던진다. 그리고 이 UCC는 기존의 양으로 승부하는 것이 아닌 질로 승부하는 세미UCC라는 것이 그래택의 구상이다.

그래택 관계자는 “최근 UCC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인기 있는 몇몇 콘텐츠를 제외하면 재미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라며 “좀 더 흥미와 정보를 줄 수 있는 UCC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라고 밝힌 바 있고 세미 UCC란 이런 구상에서 나온 한 단계 진화한 형태의 UCC인 셈이다.

즉 콘텐츠가 관건인 동영상 시장에서 이미 방대한 RMC(기존저작물)을 보유하고 있는 거대 통신사업자나 방송사업자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차별적인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인터넷과 네티즌이라는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나름대로의 대안을 찾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유비코드는 통신과의 결합으로 돌파구를 찾는다는 계획이다. 유비코드의 UTV는 이런 면에서 그래택의 독자노선과는 축을 달리 한다. 유비코드가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SK텔레콤의 HSDPA 서비스로 이미 HSDPA는 휴대폰이라는 단말의 한계를 넘어서 USB 단말 형태로까지 확대되어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HSDPA는 SK텔레콤의 전략적 핵심 사업이므로 이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유비코드 측은 보고 있다.

실시간 방송을 차별화 전략으로 삼고 있는 유비티즌은 스포츠 경기나 뉴스 등 속보성이 강조되는 콘텐츠에 초반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비티즌의 서비스 모델은 지상파 DMB과의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현재 지지부진한 지상파 DMB의 사정 여하에 따라 시장 확장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TV를 둘러 싼 IT업계 전반의 경쟁은 이제 단순한 하나의 서비스에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을 넘어서 사회 전반을 제어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까지 커지고 있다. TV의 주도권을 잡는다는 것에 IT업계 전체가 매달려 사운을 걸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동통신사들의 멤버십 카드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멤버십 서비스가 줄어들게 되면 자연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줄어드는 데도 소비자들의 별 다른 저항 없이 하나 둘 서비스를 축소해 나가고 있다. 얼마 전 TV에도 방송된 것처럼 그네들의 수익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동통신사들이 가입자 유치 명목으로 제공하는 멤버십 유지비용은 작년 한 해 2,200여억 원에 이를 만큼 큰 금액이어서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줄이자니 소비자들의 반발이 심하고 유지하자니 비용부담은 큰 골칫거리의 하나였다.


이통사들의 이런 고민은 의외의 장소에서 그것도 쉽게 풀려 나갔다. 전국의 동네빵집들이 2005년 10월 SKT를 상대로 소위 ‘빵집 전쟁’을 벌였고 올해 2월 SKT는 빵집들의 의견을 수용해 기존의 대형 제과점 체인의 멤버십 카드 할인율을 20%에서 절반인 10%로 축소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 조치는 겉으로 보기에는 SKT가 빵집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동네빵집들에게도 공평한 기회를 제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이를 계기로 기존에 제공되던 멤버십 서비스를 절반으로 줄여버린 것이다. “빵집 전쟁”으로 불렸던 이 사건은 특이하게도 SKT가 승리를 거두고 전쟁에 개입도 하지 않은 소비자가 피해를 본 모양이 되었다.

지난 6월 서울시극장협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SKT·KTF·LGT 등 이동통신사의 영화관람료 할인제도와 관련, 할인요금 중 그동안 극장 측이 부담해 온 금액을 더 이상 부담할 수 없다는 내용을 재확인했다. 이창무 협회장은 "최근 할인요금을 1000원으로 인하하되 450원은 극장이 부담하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회원사의 뜻을 모은 결과 이대로는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결국 7월이 되면서 이동통신사의 멤버십 카드로 더 이상 서울에 있는 극장에서 할인을 받지 못하게 됐다. 이번 사건 역시 겉으로 보기에는 이동통신사와 극장들 간의 싸움으로 보이지만 정작 피해를 보는 것은 소비자들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런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정작 피해를 보는 당사자는 빠진 이상한 싸움이 다시 벌어진 셈이다.


“극장 전쟁”은 이통사 입장에서는 멤버십 부담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되니 말 그대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통사의 멤버십 서비스는 이통사가 자사의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약속이다. 이것을 고객의 동의도 얻지 않고 ‘협상이 잘 안 되어 멤버십을 축소한다’고 하는 태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서의 기본을 잃은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한편 이통사와 멤버십 계약을 맺고 멤버십 비용에 해당하는 2천원을 관람료로 인상해 소비자들에게 떠넘긴 극장들도 만약 이통사들과의 제휴가 종결되면 당연히 이전의 관람료로 환원을 시켜야 자신들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빵집 전쟁', '극장 전쟁'으로 불리며 실제적인 피해자는 빠진 채 이통사와 제휴사간 벌어진 이같은 일련의 사태는 근본적으로 이통사의 무분별한 가입자 유치 싸움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이통사가 오늘처럼 성장하게 된 것은 이통사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거둬들인 수익을 가입자를 위해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인식이 아쉽다.

이사를 가는 것은 참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동안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에 흩어져 있던 자료들이 마음에 걸려 “그래 이번에는 한 군데에 다 몰아보자”라고 의욕을 가지고 시작을 했지만 생각보다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기사 부분입니다. 속보성을 강조하는 기사의 경우 당시는 좋은 콘텐츠였을지 몰라도 시간이 지난 지금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이런 오래된 기사들을 이곳으로 다시 끌어오는 작업은 자칫 잘못하면 과거를 현재의 소식으로 전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애초부터 한 곳에서 꾸준히 작업을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크네요. 그리고 기타 개인적인 생각들과 사진들을 가져 오는 것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흩어져 있는 내 모습을 모아온다는 의미는 클지 몰라도 이 블로그의 정체성에 문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런 걱정은 안 하기로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저 자신을 만들어 온 것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한 일이 되어 버리죠.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결국 일기를 쓰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인화된 블로그에 멋지고 좋은 사진들이나 글만 올라온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자기기만’에 지나지 않습니다. 잘못된 부분, 잘못 찍은 사진도 결국 제 자신이니까요..이 작업이 언제가 되야 마무리될 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일단 시작한 일이니 꾸준히 해보는 게 정답이겠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