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짐을 겪게 되면 아쉬움과 미련이 남기 마련이다. 그리고 대개 그 아쉬운 감정에 좀 더 마음을 많이 두곤 한다. 하지만 헤어짐 이전에 만남이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자. 소중한 인연인 그 만남이 있었고 덕분에 행복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애초에 그 만남이 없었다면 잠시나마 그런 행복을 느낄 여유도 가지지 못했을 거라고 생각하자. 만남은 물론 이별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이별이 두려워 만남을 머뭇거릴 필요는 없다. 헤어진 후 느낄 허전함에 지레 겁먹는 것은 그 사람과의 인연의 가치를 떨어뜨려 버릴 뿐이다.

만나는 동안 행복했고 그 사람이 있었기에 미소지을 수 있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짧은 인생에 그런 기억을 간직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감사하자. 그리고 그 추억을 위해서라도 떠난 그 사람을 아쉬워해서는 안 될 일이다.

-------------------

<주석>

이글은 지난 2006년도에 썼던 글이네요. 2006년도면 연애도 하지 않을 때인데 이런 글을 왜 썼는지... 아무튼 블로그 레이아웃을 변경하면서 사진들 크기를 수정할 필요가 있어 사진 카테고리의 글들만 조금씩 손 보고 있고 이곳에 올리지 않았던 원본 파일들을 찾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첫번째 글이 이별 이야기라 조금 민망스럽습니다. 하지만 원글이니 내용을 바꿀 수도 없고 해서 일단 그대로 복원(?)을 해봅니다.

콘탁스 기종은 처음에는 칼 차이즈의 T*코팅에 반해 사용을 했었는데 이후에는 흑백의 진득함에 많이 끌렸었죠. 지금은 사라진 메이커가 되어 아쉬움이 더 큽니다만... 칼 차이즈의 흑백과 라이카의 흑백은 그 느낌이 제법 다른데.. 이후 복원 포스팅을 보시면 아마 한눈에 구별이 되시리라 생각이 되네요.

사진들이 원판 필름을 스캔한 것이라 요즘처럼 보정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아마 메이커나 필름의 고유의 색감을 파악해보는 재미도 쏠쏠하지 싶네요. 아무튼.. 필름 카메라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이 참 아쉽습니다. 충무로 사진 골목에서 방황하던 그 시절이 문득 너무나 그리워 집니다.

<덧> 그러고보니 언젠가부터 글의 제목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Contax Aria, Distagon 35mm f/2.8, Fuji Reala, LS-40



필름을 사용해서 사진을 찍던 시절.. 지금 생각해보면 스캔을 참 어설프게 했구나 싶다. 스캔 원본의 크기도 작고 스캐너를 다루는 실력이 그리 뛰어나지 않아 먼지며 스크래치며 난리도 아니었다. 슬라이드 원본은 아직도 잘 보관은 하고 있지만 언제 다시 스캔을 하게 될지는 모르겠다.

하루에 두 롤 정도를 찍으면 두 장 정도 마음에 들었다. 마음에 든 사진을 빼고는 그냥 지워버린 것들이 많다. 그러지 않았어야 했다. 사진이란 물론 찍는 순간에 완성이 되지만 그 사진에 대한 인상은 당시에는 자기 스스로도 제대로 느끼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찍을 당시에 좋아보이건 그렇지 않건 바리바리 싸 들고 와 나중에 다시 돌아보면 오히려 그때의 느낌이 더 잘 살아나는 경우가 많다. 사진은 절대 지우면 안 된다. 기억이라는 것 혹은 추억이라는 것을 몇 번의 클릭으로 그렇게 잊어서는 안 된다.

Nikon F5, AF NIkkor ED 80-200mm F2.8D, LS-40




일이 많다거나 혹은 일이 어렵다거나 하는 것보다 힘든 것은 그런 일상을 함께 이야기할 동료가 없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비슷한 동년배도 없고 업무 특성상 완전히 혼자 모든 것을 처리하다보니 외로운 마음이 많이 드는 게 또 요즘의 내 모습이다.

하루 12시간 이상을 회사에서 보내지만 업무적인 간단한 말들을 제외하면 마치 예전에 고시공부 하던 시절처럼 입을 다물고 지낸다. 말이 많은 타입은 아니지만 그래도 잠깐잠깐 담배를 같이 태우거나 가끔 맥주라도 한 잔 기울일 주변인이 없는 것은 참 아쉬운 부분이다.


아마도 내가 다시 신앙으로 돌아가게 된 것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하지는 않은 것 같다. 보이지는 않지만 적어도 혼잣말이라도 들어줄 대상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소리내어 하는 기도는 아직도 어색하다. 어쨌건 참 익숙한 것이 고독이고 외로움인데도 나이가 들면서 조금은 흔들리는가 싶기도 하다.

오래 전 MBTI결과와 직업 적성을 보니 창작 업무가 가장 높게 나온 걸 보면 어쩔 수 없는 고독한 스타일인 것은 맞는 듯도 한데 전에는 신경 쓰지 않았던 성직자나 선교사가 있는 것을 보니 글 쓰는 신부님이 내게 가장 어울리는 직업인가 싶기도 하다. 과연 자신의 본연의 능력이나 성품과 어울리는 직업을 가진 이들이 얼마나 될까..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도 보람을 느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진 이야기 >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 위에서  (0) 2010.02.06
제주 테디베어뮤지엄에서 석양...  (0) 2010.02.04
길 위에서  (4) 2009.02.19
다시 새로운 한 해의 시작  (8) 2009.01.01
눈 내리던 날  (8) 2008.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