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사회적인 책임이 다시금 문제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얼마 전 있었던 기억이 떠오르는데요. 지난 6월 휴대폰 전자파가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뉴스가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었던 일이 있었죠. 당시 연합뉴스의 취재로 시작됐었던 이 논란은 결국 정통부가 해당 자료를 공개한 교수를 비판하고 나서면서 격화되는가 싶더니 곧 관심의 초점에서 사라졌습니다.

언론 역시 "전자파가 유해하다"는 보도에만 열을 올렸고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한 연구자의 자존심만 버리게 한 사건으로 남아 있죠. 당시 이 연구를 진행했던 연세대학교 김덕원 교수와의 이야기를 아래에 옮겨봅니다. (사실 이 일의 발단은 아주 사소한 메일 한 통에서 시작됐습니다. 김 교수가 제게 원문 메일을 보내주기도 했지만 이 부분은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

연세대학교 김덕원 교수의 휴대폰의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에 대해 어제자로 주요 언론에서 휴대폰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고 보도한 데 이어 전파연구소와 정보통신부가 김 교수의 논문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직접 김덕원 교수를 만나 실제로 이루어진 실험의 내용과 논문의 핵심 내용, 그간의 정황에 대한 김 교수의 입장을 들어보았다.

김 교수는 기자를 만나자 첫 마디로 “정부에서 이럴 수가 있냐. 어느 자료에도 유해하다고 단정적으로 주장한 것은 없고 청소년 그룹에서 유의하게 땀분비가 증가하였는데 그 원인은 교감신경이 흥분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한 것이다. 정통부가 국내 학자가 휴대전화 전자파 관련 자원자 연구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의 권위 있는 잡지에 논문을 게재하게 되었는데, 격려는 해주지 못할망정 이에 대한 반박자료를 배포하면서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의 일문일답이다.



▲ 청소년 층에 생긴 피부저항변화 (자료: 연세대 의대)


Q. 최초 이 문제가 제기된 계기는 무엇인가?


해당 논문은 “Effects of RF Exposure of Teenagers and Adults by CDMA Cellular Phones”라는 제목으로 미국의 저명한 학술지인 Bioelectromagnetics에 지난 3월 투고한 것으로 게재가 확정된 논문이다. 국내 언론사의 한 기자가 인터넷에서 이를 보고 내용이 궁금하다고 문의를 해와 자료를 보내주었다.


▲ 논문 중 청소년 층의 실험에 대한 유의성 (자료: 김덕원 교수)



Q.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GSM방식의 휴대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자료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CDMA방식의 휴대폰의 전자파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최초로 연구를 시작했다.


Q. 논문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연구 결과를 Bioelectromagnetics에 투고했는데 그쪽에서 좀 더 상세한 통계자료를 요구해와 청소년과 성인 각각 21명(남 23명, 여 19명)을 대상으로 방출되는 전자파에 노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은 거짓말탐지기에서 사용되는 호흡, 맥박, 혈압, 땀분비 측정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진행했다. 전자파에 15분 노출된 청소년은 손바닥의 땀이 늘어 20% 가량 피부저항력이 감소했으며 30분 노출된 경우에는 30%의 피부저항력이 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 층이 성인들에 비해 휴대폰 전자파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김 교수의 실험에 사용된 장비들 (자료: 연세대 의대)


Q. 그것이 유해하다는 의미인가?


나는 한 번도 유해하다는 말을 한 적이 없는 데 왜 이렇게 왜곡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논문 어디에도 해롭다는 표현은 쓴 적이 없다. 이번 실험의 결론은 청소년 층의 피부저항이 감소하는 유의성이 발견되었다는 것이고 논문에도 적혀 있듯이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검증을 했으면 좋겠다고 한 것인데 언론에서 이를 마치 내가 휴대폰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처럼 보도했다.



▲ 김 교수의 논문의 결론 부분 (자료:김덕원 교수)


Q. 정부 측에서 공식적으로 반박을 하고 나섰는데...


정부가 대기업의 대변인인가? 학자가 열심히 연구를 해서 발표한 논문을 이렇게 매도해서 되겠는지 모르겠다.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줘도 모자랄 판에 반박 자료까지 만들어서 마치 내가 예전에는 휴대폰 전자파가 영향이 없다고 해 놓고 이제 와서 영향이 있다고 말을 바꾼 것처럼 매도하고 있다. 과거 연구도 지금과 같은 내용이며 앞서 말한 것처럼 통계적인 검증을 위해 실험을 추가한 것일 뿐 내용은 다르지 않다.

LG전자가 시각장애인 전용폰인 ‘책 읽어주는 휴대폰’을 출시한다. ‘책 읽어주는 휴대폰’은 휴대폰으로 LG상남도서관이 운영 중인 ‘책 읽어주는 도서관’에 접속, 도서 텍스트 파일을 다운받아 음성으로 변환해 읽어주는 휴대폰이다.

이 제품은 휴대폰의 모든 메뉴를 음성으로 안내해 줄 뿐 아니라, 음성인식기능, 문자메시지 음성변환기능 등을 내장해 시각장애인들이 최대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다고 한다. LG전자 측은 “특히, 외부에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시에도 복잡한 버튼조작 없이 음성안내에 따라 도서관서버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LG전자 MC사업본부 한국사업부 조성하(趙星河) 상무는 “책 읽어주는 휴대폰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시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중점을 맞췄다”며 “LG전자의 앞선 기술이 시각장애인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사실 이런 제품의 출시가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각장애인은 물론 청각장애인들에게 있어서 휴대폰은 단절된 세상과 교류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기 때문이죠.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록 사람이 좀 더 사람다워질 수 있는 그런  세상이 만들어져야 하는 데 우리는 아직 이런 부분에서는 부족한 면이 많은 것같아 아쉽습니다.

오늘 오후에 SK텔레콤 홍보실과 미팅 약속을 잡았었습니다. 최근 ‘T'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의 변화라던가 겸사겸사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어볼까 하고 지난주에 미리 약속을 잡아놨었죠.

점심 약속이라 출발 전에 시간 확인 차 전화를 했더니 “지금 회사가 난리가 나서 많이 바쁘다”라고 하더군요. 갑자기 회사에 난리가 나다니..무슨 일인가 들어보니 아침에 조선일보에서 보도한 기사가 문제가 된 모양입니다.

기사 제목인 즉 “휴대폰 요금 美의 2배”라는 파격적(?)인 타이틀에 부제로 “한국은 정부주도… 사실상 업체들과 담합”이라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최근 들어 조선일보의 기사가 파격적인 감은 있지만 이 기사의 제목과 부제 그리고 ‘SK텔레콤...’으로 시작하는 본문은 SK텔레콤이 정부와 짜고 휴대전화 요금을 비싸게 받는다고 독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 법하죠

사실 그동안 메이저급 언론사에서 이통사를 대놓고 공격적으로 다룬 적은 많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들 짐작하실 테니 구체적으로 적지는 않겠습니다. 비단 이통사뿐 아니라 대기업과 언론은 뭐랄까요 묘한 긴장감이 항상 존재해 왔습니다.

아무튼 오늘 SK텔레콤을 방문하려던 계획은 본의 아니게 조선일보 덕분에 연기가 되었습니다. 담당자의 서둘러 끊는 전화를 뒤로 하고 나니 세상에 참 편한 직업이 없구나 하는 엉뚱한 생각이 다 드네요

흔히 PMP를 혜성처럼 나타난 ‘신제품’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국내 시장에 PMP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04년이다. 하지만 불과 2년도 안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 시장을 맹렬한 기세로 장악해가고 있다. 마치 예전에 워크맨이나 MP3 플레이어가 등장했을 때 못지않은 열풍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용자들을 PMP로 이끌고 있는 것일까?

PMP의 최대 장점은 ‘컨버전스’다. 하지만 무조건 여러 기능들이 한 군데 모여 있다고 해서 반드시 장점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오히려 각 기능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어정쩡한 모습으로 남기 쉽기 때문이다.

PMP는 그런 면에서 보면 가장 성공한 컨버전스 기기의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점은 PMP라는 기기 자체가 ‘들고 다닐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줄임말이듯 멀티미디어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많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있는 데 왜 PMP가 가장 성공한 모델로 꼽히는 것일까? PMP만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 액정 (LCD)

모든 멀티미디어 기기들 심지어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직접 사용자와의 접점이 되는 부분이 바로 액정이다. 특히 PMP가 구현하는 영상 정보의 출력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액정은 기존의 단순히 영상 정보만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장치 단계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특히 PMP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음악 콘텐츠보다는 동영상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는 점, 인터넷의 검색, 사진 보기나 지도 찾기 그리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내비게이션 등의 측면을 고려하면 4.3인치라는 적당한 크기의 PMP 액정은 상당한 강점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4.3인치가 작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휴대성이라는 측면을 감안한 최선의 선택이라는 것이 제조사 측의 설명이다.

액정도 점차 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PMP 초기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큐브의 V43의 액정 사양이 4.3인치 480X272의 1600만 컬러 TFT-LCD에 165cd/㎡의 밝기와 200:1의 명암비였으나 최근 출시를 앞두고 있는 유경테크놀로지스의 P2는 350cd/㎡의 밝기와 400:1의 명암비로 두 배 정도 업그레이드 됐다. (물론 V43의 후속작인 T43은 스펙이 향상됐다)

액정의 밝기와 명암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선명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해졌고 야외에서도 햇빛의 반사 때문에 화면을 볼 수 없는 일이 지금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선명도가 높아지는 것이 오히려 눈에 피로를 줄 수도 있지만 이는 옵션에서 충분히 수정할 수 있으므로 기본 사양이 향상되는 것은 환영할 일이라는 것이 네티즌들의 생각이다.

◆ 중앙연산처리장치(CPU)

PMP는 컴퓨터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컴퓨팅 기기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해 입력한 정보를 CPU를 통해 계산해서 작업하는 과정을 거쳐 PMP가 동작하게 된다. 특히 PMP는 동영상 재생을 주로 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성능이 일반적인 PDA나 휴대폰에 비해 강력하다. 강력한 CPU는 이를 바탕으로 PMP가 보다 다양한 확장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 운영체제(OS)

PMP의 하드웨어적인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가 필수인데 오픈 소스인 리눅스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리눅스의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PMP를 꾸밀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큐토피아를 이용해 게임이나 스케쥴 프로그램, 다국어 사전, 인터넷 접속, 지도 검색 등이 가능하며 V43이 초반에 약진하게 된 배경 중에도 이 큐토피아의 역할이 컸다.

최근 들어 PMP의 운영체제는 리눅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CE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데 CE를 사용하게 되면 오픈소스의 장점을 잃어버리는 대신 MS의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범용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만 PMP에서는 PC처럼 두 개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경의 P2와 같은 제품은 듀얼부팅을 이용해 양 운영체제의 장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듀얼부팅은 아직 PMP에서는 시도된 바 없는 새로운 방식이어서 안정성 문제만 극복한다면 PMP의 활용도가 두 배로 늘어나는 셈이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 확장성

최근의 휴대폰도 멀티미디어 기기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지만 확장성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MP3 플레이어 역시 확장이라는 면에서 보면 주체라기보다는 USB 슬레이브를 이용한 저장장치라는 객체의 입장이 될 뿐이지만 PMP는 이 부분에서 다른 기기들을 압도한다. 특히 USB 호스트 기능을 이용해 다른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점은 PMP의 활용성을 극대화한다.

아울러 보통 2개 정도의 USB 슬레이브 슬롯을 내장하고 있어 외부 DMB 수신기나 휴대용 키보드, 게임패드 등을 결합할 수 있는 점은 PMP를 단순한 비디오 재생기가 아닌 ‘멀티미디어 허브’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게 하고 있다.

PMP가 가지고 있는 이런 장점들은 물론 다른 기기들도 충분히 가능한 것들이지만 유독 PMP에서 강점으로 부각되는 것은 다름 아닌 ‘휴대성’에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특징들을 이동하면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제까지 다른 기기에서는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던 부분들이다. 최근 들어 UMPC와 같은 경량화된 노트북형 PC들이 출현하고는 있지만 PMP의 독주를 따라잡기 어려운 것도 휴대성의 측면에서 약점이 있기 때문이다.

PMP가 완벽한 기기는 물론 아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히 많은 발전의 여지를 남겨 두고 있고 올해를 기점으로 그 발전 속도는 급격하게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점 중의 하나로 꼽히는 안정성도 많이 개선되었고 배터리 시간도 연장되고 있다. 무엇보다 제조사와 사용자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속적인 제품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점은 PMP의 앞으로의 전망을 보다 밝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꼽히고 있다

다음이 사이트 개편을 발표하면서 제목으로 제시한 코드는 UCC입니다. “다음, UCC콘텐츠 중심으로 초기 화면 전면 개편”이라는 타이틀의 보도자료를 받고 나서 "조만간 네이버, 네이트 등등 다른 포털들도 비슷한 내용의 보도자료가 오겠구나“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포털들에 대해서 할 이야기는 많지만 ‘정말 UCC가 열풍인 것일까?’라는 회의적인 생각이 들어서 글을 적어봅니다. User Created Contents 우리말로 ‘손수저작물’이라고 불리는 이 단어를 올해 들어서 자주 접하게 됩니다만 UCC의 원조를 따져보자면 통신 시대로 넘어가는 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하이텔, 유니텔, 천리안 등을 기억하시는 분이라면 이미 UCC가 오래 전부터 있었다는 제 생각에 공감을 하실 겁니다. 최근의 예를 들어보자면 해외 드라마나 영화에 자막을 제작하는 분들이나 만화를 번역하시는 분들의 자료도 충분히 UCC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저작권 논의는 별도로 하겠습니다)

자, 그렇다면 이미 존재하고 있던 UCC가 왜 2006년 들어서 열풍이라고 하는 것일까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한번 주변을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UCC 중의 가장 큰 이슈인 동영상 UCC를 제작하는 분들과 이야기를 해보세요. 왜 그런 영상을 만들었느냐고요.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그동안 익히 존재하던 콘텐츠가 포털이나 전문 업체들에 의해 이른바 ‘수익 사업으로 픽업’된 것이고 이것들이 전략적으로 네티즌들에게 강요가 된 셈입니다. 즉 올해 들어 부는 UCC 열풍은 네티즌이 먼저 시작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업체들은 UCC라는 ‘코드’를 네티즌들에게 제시하고 나서 당황하게 됩니다. 생각보다 너무나 많은 호응을 얻었기 때문이죠. 이 부분은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수익모델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던 UCC가 오히려 적자를 계속 누적시켜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UCC운영 사이트가 적자를 보는 이유는 네트워크 유지비용이 가장 큽니다. 동영상은 이제까지의 텍스트에 비해 상상을 초월하는 트래픽을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즉 사이트 입장에서는 페이지뷰가 늘어나면서 인기를 끌수록 적자폭만 커지는 셈이죠.

사정이 이렇다보니 업체들은 급해지기 시작합니다. 흑자내기도 어려운 판에 유지비용도 안 나오고 경쟁도 치열해졌습니다.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다보니 대안은 우선 광고가 떠오르겠죠. 다음의 이번 사이트 개편 내용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광고주를 위한 사이트 개편인 측면도 없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업계에서 돈 되는 사업은 무엇일까요? 개인이 만들어 올리는 UCC일까요? 제 생각으로는 개인생산형 UCC로는 어렵다고 봅니다. 제가 보는 수익모델은 RMC 즉 Ready Made Contents입니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으로 미루겠습니다.

-------------------------
참고해서 보실만한 글 [윤선영i노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