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륜산(대둔산)은 한반도 최남단에 자리잡은 산이라 한다. 해남에서 찾은 산이니 이보다 더 남쪽의 산이라면 한라산이 있겠지만 바다를 건너는 수고를 들여야 하니 온전히 걸음을 걸어서 만날 수 있는 마지막 산이라 불러도 어색함이 없다. 그 두륜산에 자리잡은 사찰이 바로 대흥사다. 예사롭지 않은 일주문이 우리를 반겨주었다.


대흥사는 규모면에서 찾는 이를 압도한다. 보통 사찰을 떠올린다면 넓지 않은 터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불전들을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이곳 대흥사는 어디서부터 사찰의 시작인지조차 알기가 어려웠다. 오히려 그 덕분인지 사찰 경내를 걷는다는 느낌보다는 공원을 걷는 듯한 느낌마저 들었다. 


사진의 돌에 '13대종사도량'이라 적혀 있다. 대흥사는 불교의 맥을 잇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사찰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산대사가 이곳에서 후학들을 양성했다고 한다. 일주문을 지나 조금 걷다보면 서산대사를 비롯한 고승들의 부도가 자리한 '부도밭'을 만날 수 있는데 무려 54기라 하니 대흥사의 법력에 새삼 감탄하게 된다.


대흥사에서 만날 수 있는 다채로움 중에 이 '연리근'은 유난히 우리의 관심을 끌었다. 가지가 이어진 '연리지'는 종종 만날 수 있지만 뿌리가 이어진 '연리근'은 희귀하기도 하고 연리지에 비해 더 끈끈하달까 좀 더 각별하달까..그런 느낌이 드는 나무였다. 이렇게 대흥사는 전각들 외에도 볼 거리들이 많은 것이 특별한 점인데 남도 여행을 하게 된다면 하루 정도 온전히 대흥사만을 위해 할애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행이란 무엇일까 생각을 해 본다. 특히나 여행을 좋아하는 우리에게 여행은 각자의 삶의 연장인 동시에 두 사람의 삶이 마주치고 얽히는 그런 순간이었다. 오감으로 느끼는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참 대단한 일이 아닌가. 같은 길을 걷고 같은 풍경을 바라보면서 도란도란 나누는 이야기들이 어색하지 않고 부드러운 바람처럼 두 사람을 감싸고 있었기에 각별했던... 그런 모든 순간들의 이어짐. 그것이 우리의 여행이었다.


사진은 셔터버튼을 누르는 그 순간에 내가 느낀 감정을 온전하게 프레임 안에 담아낼 수 있으면 더할나위 없이 좋다. 뷰파인더 안에서 본 느낌이 나중에 집에 돌아와 모니터를 통해 그대로 느껴진다면 그것으로 한 번의 셔터가 움직인 수고로움은 모두 사라지는 셈이다. 사진에 대한 생각이 예전과는 약간 달라진 부분인데 세월이 지난다는 것은 그렇게 생각에도 변화를 주는 모양이다. 


예전에는 저 문을 열고 들어가야만 무언가 달라지고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 문을 열고 들어가 보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굳이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저 문 뒤의 삶이 궁금하지 않게 됐다. 중요한 것은 바로 지금이라는 것을 이제사 깨달은 까닭이다.

그러고보니 35mm 렌즈 하나로 지낸 지 제법 오랜 시간이 지나고 있다. 사람마다 기준은 다르겠지만 내 경우는 28mm와 35mm가 가장 내 눈과 일치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화각이다. 35mm말고도 55mm가 하나 더 있지만 좀처럼 손이 가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요즘은 표준화각대의 줌렌즈가 하나 더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는데 아마도 사람을 찍어야 할 일이 늘어났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Nikon D700, AF 35mm f/2.0


제가 무척 좋아하는 한자어가 있는데 바로 連理枝입니다. 연리지라고 읽는데 아마 우리나라에도 이 나무들이 제법 있어 한두 번 정도는 어디선가 보시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네요. 얼마 전 태풍이 왔을 때 금산사의 연리지가 부러졌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리기도 했습니다.

이 단어는 원래의 의미와는 약간 다르게 쓰여 지금은 남녀사이의 애틋한 정을 뜻하지요. 특히 부부사이의 정을 의미하는데 전혀 다른 근본에서 자란 두 개의 가지가 이어져 하나의 가지처럼 서로 의지하고 살아간다는 뜻입니다. 전 가족에 대해 뭐랄까 환상이라면 환상을 가지고 있는데 어릴 적부터 언젠가 좋은 여자 만나 가족을 꾸리고 사는 게 꿈이었지요.. 뭐 별것도 아닌게 꿈이다 하실 수도 있지만요..

하지만 이꿈은 참 이루기가 쉽지는 않았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꿈으로 남아있지만 어쩌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더 애틋한 기다림과 희망으로 다가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주변에 결혼한 이들로부터 혹은 인터넷 등에서 결혼 이후의 냉정한(?)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보기도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내 가족을 만든다는 것은 참 대단한 일이라는 생각은 변치 않고 있습니다.

사람을 만나기는 그리 어렵지 않고 연애를 하기도 그리 어렵지 않지요. 결혼을 하는 것도 어쩌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만 그 이후의 삶을 꾸려 가는 일은 참 대단한 거라 생각이 됩니다. '나'가 아닌 '우리'로서의 삶이라는 건 이제까지 하나의 결정만으로 세상을 바라보던 시각에서 두 개의 결정을 합쳐 하나로 만든 다음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는 커다란 벽이 있기 때문이지요. 

결혼의 문턱에서 현실이라는 벽에 많이들 부딪히고 그벽을 끝내 넘지 못 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고 겪기도 했지만 결국 그벽이란 건 두 사람의 앞에 있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나서는 담담하게 받아들이게 되더군요. 결혼이란 어쩌면 나를 버리고 그 사람이 되어 가는 과정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나 하나만이 아닌 서로 노력해야 하는 그래서 두 사람이 각자 상대에게 녹아들어 상대가 되어 가는 그런 모습이 되어서야 비로소 온전히 세상을 마주 볼 수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만약 그 벽을 넘지 못 했거나 못 한다면 아직 두 사람이 서로를 남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서로를 남으로 여기고 '나'를 먼저 생각하면 영원한 평행선을 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저 나를 상대에게 녹여 가야 하는 것이죠.. 그래야 온전한 連理枝가 되는 것이 아닐까 이제사 그런 생각을 해 봅니다. 

아무튼.. 連理枝는 이후 백락천에 의해 의미가 바뀌게 됩니다. 주인공은 잘 아시는 당 현종과 양귀비지요. 양귀비가 죽은 이후 현종은 이 시를 늘 외우곤 했다는데 한번 보시지요.


長恨歌(장한가)


七月七日長生殿

夜半無人和語時

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

天長地久有時盡

此恨綿綿無絶期


7월 7일 장생전에서

깊은 밤 사람들 모르게 한 맹세

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높은 하늘 넓은 땅 다할 때 있는데

이 한 끝없이 계속되네.


Nikon F5, AF DC Nikkor 105mm f2D, Kodak Supra 100, LS-4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