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와 들뢰즈..현대 철학은 물론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두 사람이 아닐까 싶다. 이책은 이 두 사람을 묶어서 이야기한다. 제법 적절한 묶음인데 김영사의 '지식인마을'이라는 일종의 기획물 중의 한 권이다.

이런 시도는 제법 신선한데 일반인들의 경우 직접 저자가 쓴 책(1차 문헌)을 읽기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2차 문헌인 이와 같은 책들은 적당한 안내자의 역할을 해 주는 동시에 해당 저자들의 저서를 본격적으로 읽기 위한 몸풀기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2차 문헌은 제3자에 의한 재해석인 경우가 많아(물론 번역 작품에 대해서도 나는 같은 생각이다) 온전히 원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힘들거나 혹은 아예 왜곡된 지식을 습득할 위험도 동시에 안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2차 문헌을 피할 수 없는 것은 해당 언어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해당 철학에 대한 지식의 부족때문이다.

이책의 저자도 지적하고 있듯이 특히나 언어의 유희에 정통한 데리다의 저작을 읽기 위해서는 프랑스어를 원어민 이상으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실 외국인인 우리에게 이것은 쉽지 않은 부분이다. 아무튼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는 번역물 혹은 2차 문헌으로 지식을 습득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번역자와 2차 문헌 저자의 실력이다.

김영사의 지식인마을 시리즈는 아직 이책밖에 읽지 않아 뭐라고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이책에만 한정을 둔다면 잘 짜인 구조는 성공적이지만 그안에 담은 내용은 어색하다는 인상이다. 초대-만남-대화-이슈라는 4단계의 편집방식을 택한 이책은 처음에는 '상당히 인상적이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대화'부분에서는 상당히 실망할 수밖에 없었는데 뭐랄까 저자 자신도 헷갈리는 듯한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여러 명의 인사들을 불러 모아 그들의 입을 빌어 생각이나 사상을 설명한다는 의도는 좋았지만 저자 자신이 이 대화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나 생각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듯 '대화'라기보다는 '설명'에 치우는 분위기였다. 이런 방식의 글을 전개는 오히려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가 보다 잘 이끌어가고 있는데 내 지식의 빈약함때문인지는 몰라도 이책의 저자가 풀어간 설명들은 좀처럼 이해가 가지 않았다.

그러나 책의 도입부인 초대-만남 부분은 상당히 잘 쓰여져 있다. 데리다와 들뢰즈의 사상, 생각, 인생을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잘 풀어가고 있다. 아마 이런 이유로 대화 부분이 영 어색하게 생각되었는지도 모르겠는데 앞부분의 저자와 뒷부분의 저자가 다른 사람은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물론 내가 이 블로그에서 여러 번 적듯 책에 대한 판단은 온전히 독자의 몫이다. 내가 이책에 대해 느낀 점은 내 느낌일 뿐이다. 다른 이가 이책을 접할 때 오히려 대화 부분이 매끄럽고 앞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다. 어찌되었건 제법 신선한 시도와 전개 방식인 것은 분명하니 스스로 읽어 보고 판단하기를 바란다.

딱히 특별한 말이 필요 없을 듯 하다. HGUC계열로 많이들 좋아하는 킷이다. 조립에 큰 어려움도 없고 나름 만들어놓고 보면 그럭저럭 볼만하다. 물론 하위 킷의 한계는 있지만 도색을 잘 해 주면 그 약점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문화 이야기 >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G] MG XXXG-01W Wing Gundam Ver.Ka  (0) 2011.11.11
[MG090] GAT-X105 Strike Gundam + I.W.S.P  (0) 2011.10.01
[MG] RX-78-5 Gundam G05 EFSF Ver.  (0) 2011.08.21
[HGUC] RX 121-1 GUNDAM TR-1  (0) 2011.07.03
[BB] Force Impulse Gundam  (3) 2011.06.18


조르주 심농의 메그레 시리즈가 2011년이 되서야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셜록 홈즈와 메그레를 비교할 수 있는지는 논외로 하고 해외에서 그의 인기는 결코 부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심농 본인의 나름대로 복잡한 개인사도 이슈거리였지만 메그레 반장이라는 인물 역시 꽤나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메그레 시리즈를 읽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시대적 배경이다. 셜록 홈즈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의 인물(!)이라면 메그레 반장은 1930년 경의 인물이다. 역사에 대해 박식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장소적 배경이나 인물의 성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필요한 작업이지 싶다.

이 시대적인 상황은 감안하지 않는다면 소설을 읽는 내내 뭔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193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격변의 시대였다.세계 공황, 세계 대전 등 우리 역사에서 가장 긴박한 장면들이 스쳐 지나간 순간이었고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메그레 시리즈 역시 그러한 시대적인 상황들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메그레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심농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초기 작품이라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정확하게 짜여진 추리 구조라던가 뭔가 독자의 호기심을 확 풀어줄만한 "꺼리"가 잘 보이지 않는다. CSI류의 첨단 범죄수사물에 길들여진 우리네들에게는 더더욱 그렇게 느껴질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내가 이책을 읽으면서 색다르게 느낀 점은 추리소설임에도 마치 심리소설과 같은 인상을 받았다는 점이다. 물론 많은 추리소설들이 주인공들의 세밀한 심리상태를 다루고 있지만 수상한 라트비아인의 인물들에게서는 개개인의 인생사, 삶의 역정 등과 그에서 비롯된 현재의 고단함 심리상태가 잘 드러나고 있다.

범인들 혹은 피의자들의 고단한 심리가 그대로 묻어나는만큼이나 그들을 대하는 메그레의 태도 역시 그 시대와 그 인간들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메그레를 성공적으로 만든 요소라고 생각한다.

"가지"..

"경찰서로 말입니까?"

"아니.."

위의 짧은 대사에서 우리는 메그레를 읽을 수 있다. 아니 그렇게 메그레를 읽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책을 다 읽고났을 때...멋진 추리로 시원시원하게 사건이 해결되었다는 느낌보다 각각의 등장인물들의 아픔이나 상처 그리고 그것들을 나름의 방식으로 해결하려한 메그레의 노력이 더 기억에 남았다. 통쾌하다는 느낌보다 씁쓸한 느낌도 없지 않았는데 이 역시 독자로 하여금 자신이 창조한 세계에 몰입하도록 만든 심농의 기술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래서인지 추리소설이라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데 이런 점 때문에 독자마다의 호불호가 갈릴 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심농의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심농을 그리고 메그레를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리게 된 계기가 된 책이다. 역사적인 면에서도 제법 가치가 있다.


열린책들에서 나온 책을 좋아하는 여러 이유 중의 하나는 장정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덕분에 같은 책임에도 양장본을 추가로 구입한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아무튼 이번에 읽은 조르주 심농의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역시 열린책들'이라는 기존의 생각을 한층 더 해 주었다.

처음 책을 받았을 때 표지가 양장이 아니어서 겉표지가 없이 배송이 되었나 싶기도 했는데 이번 메그레 시리즈의 장정은 이렇게 나올 모양이다. 두꺼운 종이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고 있는 점이 특이한데 전체적으로 책이 가벼워 한손으로 읽기도 좋고 실로 꿰매는 사철 방식은 조금은 과격하게(?) 책을 읽어도 거뜬히 버텨준다.

덕분에 복잡한 오전 출근 시간에 내려야할 역을 무려 두 정거장이나 그냥 지나치고 말았으니 적어도 '나'라는 개인에 한정해 보면 심농에게 펀치를 한 방 맞은 셈이고 메그레 반장에게 푹 빠진 셈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마키아벨리에 대해 갖고 있는 선입견은 "피도 눈물도 없는 냉정한 인간" 정도가 아닐까.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도덕적인 일도 서슴지 않는 냉혈한이라는 시각도 있다. 나 역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군주론을 직접 읽기 전에는 사실 이책을 굳이 읽을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판단이라는 것은 자신이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남들의 이야기만 듣고 지레 손사래를 쳐 버린다면 그것처럼 위험천만한 생각도 없지 않을까 싶다. 마치 인터넷에서 영화평을 보고 나서 "아, 난 이 영화는 안 봐야겠어" 라거나 "이렇게 재미있는 영화가 있나!"라는 반응을 보이는 것과 별로 다를 바가 없다.

남들의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남들의 이야기다. 즉 하나의 의견으로 생각해야지 타인의 의견이 무조건 맞는 것처럼(비록 그가 저명한 사람일지라도) 생각하고 자신의 경험을 사전에 차단해버리는 것은 스스로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내치는 꼴이 된다.

서론이 길었는데 아무튼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16세기라는 시대적 관점에서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건 모든 고전 -굳이 고전이 아니더라도 소설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다- 에 있어 공통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군주론이 집필된 시점은 16세기 이탈리아다. 르네상스라고도 하는 낭만적인 이름으로도 불리는 시기였지만 정치적으로는 마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혼란기였다.

중국의 전국시대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통일한 것이 한비자의 법가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당시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어지러운 시기에 등장한 군주론을 현대적 시각에서 무조건적으로 폄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된다. 역자도 적고 있듯이 "정치가 더러운 것임은 모두가 인정하는 것이 아닌가?" 현재의 우리도 누군가 정치를 한다면 어느 정도 뇌물도 받겠거니 생각하고 비리도 있겠거니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그것을 어느 정도는 수긍하고 들어간다. 모순이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역자는 "단기적 전망에서 비윤리적인 것일뿐 장기적 전망으로 보면 결국 윤리적인 것보다 더 윤리적이라는 마키아벨리의 주장은 우리가 속으로는 그럴수도 있지..라고 생각하는 것을 있는 것을 너무도 적나라하게 드러냈기에 불편하다"고 이야기한다. 바로 이점이 군주론의 핵심이 아닐까 싶다. 

국가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서는 어떤 수단이나 방법도 허용된다는 국가지상주의의 정치 이념인 마키아벨리즘. 단기적으로 보기에는 비도덕적이고 잔인해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국가의 안정과 평화를 이끌어낸다는 그의 사상이 비단 당시의 이탈리아에서만 타당한 이론이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 이미 현대의 우리도 이와 같은 정치 논리를 수 없이 보고 있으니 말이다. 

그렇다고 무조건적으로 그의 주장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마키아벨리즘 역시 하나의 주장이고 하나의 사상일 뿐이다. 그의 사상에 동의하고 실천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독자의 몫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주장이나 사상에 대해 비판을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이책을 읽고 그를 비난하건 추종하건 그 역시 독자의 자유다. 

펭귄클래식에서 출간된 이책은 상당히 가벼워 들고 다니면서 읽기에 적당하다. 물론 주제 자체야 지하철의 흔들리는 차내에서 고민하기에는 부적합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번역도 자연스러워(군데군데 오타가 있기는 하다) 마키아벨리의 주장을 이해하기에 쉽게 되어 있다. 

 
'RX-78-5 Gundam G05 E.F.S.F. Prototype Mobile Suit of Space Battle Use' 라는 긴 이름이 붙은 이번 건프라가 사실상 내가 본격적으로 건프라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는 작품이다. 작품이라는 말을 붙이기는 여러모로 민망한 구석이 많지만 단어의 의미 그대로라면 '만든 물건'이니 그다지 문제는 되지 않을 듯하다.


건담이라면 역시 우주세기가 핵심이고 아무로 레이와 샤아를 떠올리는 올드팬이다보니 요즘 잘 나가는 시드류에는 그다지 익숙하지 못하다. 줄거리며 구성을 아무리 봐도 0079로 시작하는 오래 전 건담이야기가 내게는 더 맞는다. 그래서 건프라 역시 초기 건담 위주로 시작을 해보려고 하는 데..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진 시기가 오래되다 보니 최근의 시드와 비교해서 화려함이 떨어지는 것을 어쩔 수 없다.


건담 4호기에 같이 출시됐지만 5호기를 선택하게된 가장 큰 이유는 역시 개틀링건이다. 별도로 도색을 해주었으면 좋았을 것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당분간 도색은 별로 생각이 없기에 그냥 둔 점이 조금 밋밋한 느낌이 들긴한다. 전체적인 조립 난이도는 높은 편은 아니어서 처음 만들어보는 MG킷치고는 비교적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었다.


HG킷에서 시작을 할까 하다가 바로  MG킷으로 건프라를 시작한 것은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저 어려서 조립식을 좀 많이 만들어봤다는 자만심에서라면 맞을 것이다. MG(Master Grade)킷은 세부 묘사가 잘 되어 있고 가동성이 우수하며 사출색 자체가 별도의 도색이 없어도 잘 나온다는 장점이 있다.

 
역시 세부적인 묘사는 만족스러웠고 가동성도 좋은 편이었지만 손 부분이 조금 헐겁고 고정이 잘 안되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좌측에 보이는 것이 90mm 개틀링건인데 이 역시 고정이 쉽지 않았다. 도색은 먹선을 넣는 것으로 마무리를 했는데 게이트와 접합선 문제만 잘 해결할 수 있으면 굳이 추가적인 도색은 하지 않아도 좋을 것같다. 

 
건프라를 시작하는 데뷔작으로는 상당히 만족스러운 제품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물론 요즘은 아니지만..) 도 장점이다. 다만 MG킷임에도 게이트(런너에서 본체를 떼어낼 때 생기는 찌꺼기)처리가 쉽지 않은 점과 접합선이 가끔 어긋나는 부분이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특히 ABS수지로 되어 있는 부품의 경우는 게이트 처리가 유난히 어렵기도 하다. 전체적으로는 90점 이상을 줄 수 있는 제품이다. 64번째 MG킷이다.

'문화 이야기 >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G090] GAT-X105 Strike Gundam + I.W.S.P  (0) 2011.10.01
[HGUC] RGM-79 POWERED GM  (0) 2011.09.12
[HGUC] RX 121-1 GUNDAM TR-1  (0) 2011.07.03
[BB] Force Impulse Gundam  (3) 2011.06.18
내가 본 일본 드라마 추천작들  (2) 2010.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