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할 때 서로 주고받는 대화들은 참 절절하기가 그지 없어서 당장 단 하루라도 상대가 없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별을 앞둔 시점에서는 그 감정과 언어의 표현이 극에 다다라게 되는 데 상대의 기억을 평생 안고 가겠다거나 다른 사랑을 하지 않고 살아가겠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주고 받거나 마음 속으로 다짐을 하곤 한다.

그러나 시간이란 감정을 무디게 하기 십상이다. 어지간한 의지 혹은 이전의 대상에 대한 확신이 없고서는 하루하루 날이 바뀔 때마다 감정 역시 변화하기 마련이다. 헤어진 지 한 달 만에 다른 이와 결혼을 했다는 소식을 듣는 일도 있는데 애초에 이건 서로의 관계가 사랑이라 부르기는 어려운 관계였을 뿐이다. 그러고보면 나 역시 살아오는 동안 나 스스로의 경험 그리고 주변의 경우를 종합해보면 이말이 어느 정도 타탕하지 않나 싶다.

어쩌면 그렇게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감정에 취해 이리저리 흔들리며 방황하는 것보다 나은 것일지도 모른다. 사랑이 밥먹여주지 않는다고 믿는다면 더더욱 그렇다. 흔히 사랑과 착각을 하는 감정이 연민, 외로움에 대한 보상 혹은 성욕이다. 상대가 안쓰러워 보여서 정을 주다보니, 혼자라는 외로움때문에 그리고 성욕을 풀기 위하여..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사랑이라 부를 수는 없다. 중첩은 될 수 있지만 독립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결국은 자기중심적인 해소책에 불과하다. 사랑은 이유없이 상대가 존재한다는 자체를 바라보는 것이다. 앞선 감정들은 본인은 사랑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 자기자신의 순수한 이기심일 뿐이기에 상대가 누구라도 별반 차이는 없는 감정이다. 잠시 마음이 아프고 힘들다면 그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변명을 하기 위해 합리화하는 과정일 뿐이다. 그리고 새로이 나타난 대상에 금방 몰입하게 된다. 그러고나선 앞선 과정들을 또 다시 겪게 된다. 상당히 많은 관계들이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내 지난 기억 속에서 과연 순수하게 상대만을 바라보았던 적은 언제였나 물어본다. 낭패스럽게도 쉽게 답이 나오지 않는다. 나 역시 내 이기심을 감추고 욕망을 추구한 것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날이 갈 수록 순수한 사랑을 찾기는 어렵다. 다시 말해서 내가 그만큼 때가 타고 있다는 말이고 이 때를 지우지 않는다면 사랑이라는 말을 꺼내는 것조차 부끄러운 일이지 않을까 싶다.

만약 사랑에 실패했다거나 아직 사랑을 찾지 못 했다면 그것은 상대의 탓도 아니고 나를 못 알아봐주는 것도 아니다. 순전히 자기자신의 문제고 자기 탓이다.


이 사진은 제법 오래 전 재개발로 동네 전체가 허물어지던 어느 동네를 찾았을 때 찍은 사진이다. 이유야 어찌 되었건 삶의 기반을 두고 있던 집이 헐린다는 느낌은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그러나 그런 일들이 우리네 삶 속에서 제법 적지 않게 일어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공간이 허물어지는 것.. 그것은 물리적인 공간일 수도 혹은 정신적인 공간일 수도 있다.

당시 나는 이 사진을 찍을 때 그리고 그 동네를 걸으며 그 사람들이 혹은 그 동네가 안쓰럽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뒤돌아 생각해보니 얼마나 나의 오만스러움과 착각이 당시의 나를 감싸고 있었는지 부끄러움에 얼굴이 화끈거려 온다. 흔히 재개발 지역, 혹은 공사장의 인부들의 모습, 시장의 상인 등을 프레임에 담으며 삶의 모습을 느끼고 싶다곤 하지만 그것은 사진을 찍는 이의 교만스러움 외에 다른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네들의 삶 속에 직접 들어가 오욕칠정의 모든 감정을 함께 겪지 않고서 어느 날 카메라 하나 달랑 매고 그 동네를 한 번 휙 둘러보고 그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 소리인가...

사진가는 겸손해야 하고 피사체와 공감할 수 있어야 하는데 어린 시절의 내 사진..그리고 지금의 내 사진 역시 피사체와 너무나 동떨어진 그런 먼 거리의 사진들이 대부분이다. 파인더 안을 들여다봤을 때 그런 감정이 느껴진다면 카메라를 내려놓고 한 발 더 다가설 필요가 있다.


Contax Aria, Distagon 35mm f/2.8, LS-40 필름 스캔


어머니와 길상사를 들르기로 하고 한성대 입구역에 도착하니 시간이 조금 남아 길 건너에 있던 아름다운가게를 찾았다. 잘 뒤져 보면 생각보다 좋은 물건들을 찾을 수 있는지라 이것저것 보고 있었는데 어머니가 "얘, 이거 봐라!"며 나를 부르셨다. 어머니 손에 들린 것은 작은 소 인형..

이 별로 귀엽지도 않고 어디 하나 뚜렷한 개성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인형을 왜 어머니는 그렇게 기뻐하며 나를 부르셨을까. 사실 이 인형은 우리집에 있던 인형이다. 워낙 인형을 좋아하시는 어머니의 성격 탓에 집안에 제법 인형들이 많았는데 이 녀석하고 꼭같이 생겼지만 크기만 좀 더 큰 녀석이 1988년 우리집에 있었단다.


나도 이 녀석을 제법 오래 봐왔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아무래도 낡을 수밖에 없었고 어머니는 여기저기 튿어진 곳을 실로 꿰매며 계속 간직해오셨다. 그리고 아마 몇 년 전인 것으로 기억하는데 더 이상 인형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집에서 내보냈는데 전의 그 녀석과 꼭 같은 크기만 좀 작은 녀석을 찾은 것이다.

인연(글쎄 인형과 인연을 이야기한다는 것에 반감을 가질 분도 계시겠지만)이라는 것이 참 오묘한 것이어서 아침에 불쑥 길상사에 가겠다고 집을 나선 것. 한성대 입구에 생각보다 일찍 도착해 셔틀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남았다는 것. 길 건너에 아름다운가게가 보인 것과 그 안에 이 녀석이 있었다는 것은 그저 인연이라고밖에 달리 설명할 길은 없었다.

남들에게는 그저 작은 소모양을 한 인형이고 크게 매력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팔리지 않고 그렇게 남아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머니에게 이 인형은 한 세월을 같이 해 온 복덩이요 재산이었던 것이다. 

세상의 모든 가치라는 것은 결국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고 그 결정은 살아오는 동안의 경험과 기억들이 바탕이 된다. 인형 하나 가지고 무슨 철학이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삶이란 그렇게 복잡한 것 같으면서도 단순한 것이다. 

아무튼 이 작은 인형은 어머니에게 지난 20여년의 시간을 잠시 되돌릴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이 정도면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은가?


멀쩡하게 보이는 것 같은 공간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면 애초에 어떤 것이었는지도 모를 정도로 왜곡되기도 한다.

당연하게 생각되는 것들도 엇갈려 바라보면 전혀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어느 것이 맞느냐... 

애초에 어느 것도 맞고 틀리고 가치를 개입시킬 문제가 아니다.

어느 것도 원천적으로는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빨래집게는 어느 방향으로 있는 것이 정상일까?

평소의 빨래집게는 집게가 하늘을 보고 있다.

그리고 양말이라도 한짝 집으려면 집게가 땅을 향한다.

빨래를 집으라고 존재하는 것이니 땅을 보는 것이 마땅하다 해야할까

아니면 줄에 걸었을 때 가장 자연스러운 하늘을 보고 있는 것이 마땅하다 해야할까


오래 전 필름 스캔 폴더를 뒤적이다보면 별별 사진들이 다 나오는데 그 사진을 찍을 당시의 느낌을 이미 잊었다면

지금의 느낌대로 그 사진을 해석해도 괜찮으리라. 어차피 사진을 찍은 것은 '나'니 말이다.

어쩌면 그 당시의 나와 현재의 나가 전혀 다른 존재라는 모 철학자의 의견에 따르면

과거 내가 찍은 사진을 내 마음대로 해석하는 것은 촬영자에 대한 모독이 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아무려면 어떨까.. 어차피 그때의 나는 지금의 나를 생각한 적이 없을 테니 말이다.


'사진 이야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만에 찾은 인형  (1) 2012.04.25
어둠, 빛, 혼란 혹은 궤적  (0) 2012.04.16
가지 않은 길 혹은 가지 못한 길  (4) 2012.04.06
바람  (0) 2012.04.02
일상 그리고 한가함  (0) 2012.03.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