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도 지난 지 2주가 넘었습니다. 23일이면 우리 24절기 중 '처서'지요. 더위가 물러간다는 절기입니다. 올 여름은 유난히 더워서였는지 참 견디기 힘들었는데 어느샌가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찬기운도 느껴집니다. 그리고 머지않아 가을입니다. 가을은 '아, 이제 가을인가?'라고 생각할 즈음이면 이미 가고 없는 특이한 계절입니다. 달로 따져보면 10월 정도가 그나마 가을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올해는 뭐랄까요 -이제껏 살아오면서 그렇지 않은 적이 없겠지만- 유난히 스펙타클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인생이 여러 번 바뀌는 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직 올해가 몇달이나 더 남아 있으니 -벌써 이런 말을 하게 되다니요- 어떤 일들이 더 생길지 참 흥미진진해지기도 합니다.

발이 아프다는 핑계아닌 핑계로 사진을 찍으러 밖을 다니지는 못 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덕분에 북한산 일정도 가을이나 되어야 갈 수 있을 것 같고요. 사실 사진이라는 게 어디를 가야 찍을 수 있는 건 아니지요. 이 또한 게으름과 나태함을 감추기 위한 핑계가 아닐까 합니다. SLR이 무겁다고 서브카메라까지 들여놓고서 그놈 역시 제습함에서 쿨쿨자고 있으니까요..

마음은 여전히 허전합니다. 가을이 오고 그 가을이 깊어가면 그 허전함은 더해지겠지요. 살아가면서 가장 가까운 벗이 바로 이 허전함이라는 녀석이 아닐까요. 이 녀석이 항상 곁에 있으니 떨쳐버리고 싶어 이런 일도 저런 일도 해 보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올해는 연초부터 달라붙은 이 녀석이 영 떨어질 줄을 모르고 더 품으로 파고들고 있으니 웃어야할지 울어야할지 모르겠네요.

세월은 가고 나이는 먹어가고 추억은 쌓여갑니다.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가게 될지 전혀 알 수 없는 삶인데도 우리는 너무나 당연스럽게 내일을 이야기하고 다음 주를 이야기하고 내년을 이야기하며 살아가지요. 부질없는 상상이지만 이제까지 살아온 날들 중에 혹은 만났던 사람 중에 혹은 가졌었던 물건 중에... 딱 한 가지만 그대로 되돌려준다면 어느 것을 고르시겠습니까?


Nikon D100, AF-S Nikkor ED 17-35mm f/2.8D 


관계란 묘한 것이어서 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에는 어지간해서는 긍정보다 부정의 감정이 크게 작용하지만 막상 그 관계가 끝나고 나면 부정보다는 긍정의 감정이 크게 작용한다. 사람과의 관계건 혹은 사물과의 관계건 그래서 그 관계가 끝난 후에 자신의 실수나 더 잘 하지 못 했던 것들에 대한 회한의 감정이 종종 머릿속을 가득 채울 때가 있다.

허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난 후의 보상심리일 뿐이다. 다시 만난다면 혹은 다시 그것을 갖게 된다면 이번에는 이렇게 더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다짐과 스스로에 대한 약속은 이미 끝이 나 버린 관계에 대해 자신의 '탓'이 아님을 그래서 불가피한 것이었음을 자신에게 납득시키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나도 몇 번인가 그런 생각을 했지만 결국 생각이 다다른 곳은 '다시' 만나거나 '다시' 갖게 되더라도 이전과 달라지지 않을 거라는 점이다. 적어도 그 '대상'이 같다면 행동이나 생각은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 차라리 그 마음과 다짐으로 새로운 이를 만나거나 새로운 것을 들이는 것이 더 낫다. 

관계가 깨진다는 것은 스스로 '알고 있는 이유' 이외의 수도 없이 많은 '알지 못 하는 이유들' 때문이다. 그 알지 못 하는 이유들은 끝끝내 해소될 수 없기에 '되돌림'은 오히려 서로에게 남겨진 상처를 더 벌어지게 할 뿐이다.

다시 되돌이키는 것이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는 '나'를 버릴 때다. 내가 상대에게 혹은 어떤 사물에 완전히 몰입되어 내 존재가 사라질 지경에 이른다면 그땐 비로소 과거의 어떤 오류나 엇갈림도 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된다는 것은 '인간'이라는 전제 하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신에 귀의한다거나 어떤 신념에 스스로를 버리는 경우가 드문 예일 뿐..


Nikon D300, AF-S 35mm f/1.8G


살다보면 자의에 의해서건 혹은 타의에 의해서건 꼭 가보고 싶었던 길을 걷지 못 하게 되는 일이 종종 있다. 대부분 '할 수 없지'라고 생각하고 잊고 사는 것이 앞으로 살아갈 날들을 생각하면 바람직한 일이지만 그래도 못내 아쉬움이 남은 그길에 대한 동경과 아쉬움은 특히나 일상에 지치고 사람에 치일 때면 불쑥 머리를 강하게 치고 지나가곤 한다.

그래서 '아, 전에 그길을 갔더라면 지금 이렇지는 않을텐데...'라는 생각을 하곤 하는데 정말 생각지도 않게 그길을 다시 가야 하는 상황이 자신의 눈 앞에 펼쳐지면 그 감격이란 참 대단한 것이다. 물론 그길이 언제나 쭉쭉 뻗어있는 신작로가 아닌 그리고 아제까지 살아온 삶의 어떤 모습보다도 힘든 여정임을 잘 알고 있더라도 말이다.

몇 번인가를 돌고 돌아 다시 여기 섰다. 막상 서 보니 두려움도 생긴다. 다시 돌아갈 수만 있다면 반드시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하던 일이 현실이 되니 두려운 것이다. 사람이란 이렇게 간사하다. 늘 손에 닿을 수 없는 것을 바라고 희망한다. 그러면서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과 가고 있는 길에 대해 불만을 늘어놓곤 한다.

이제 다시 그길에 서서 나는 어떤 삶을 살 수 있을까 내게 물어본다. '돌아만 갈 수 있다면...'이리고 늘 바라기만 했던 그 여정의 출발점에 이제 나 홀로 서 있다. 오래 전 묻어두었던 길인지라 어디부터가 길의 시작이고 가장자리인지 보이지도 않고 이정표조차 세월의 무게를 버티지 못해 쓰러져 있는 이길에 단지 내 몸뚱이 하나만 가지고 서게 됐다.

이제 흔한 문구를 인용하며 걸어나가는 수밖에


"운명아 비켜라 용기 있게 내가 간다!" -니체


Nikon D300, AF NIkkor 35mm f2.0D


향원정은 여름에 가야 제맛인데 무엇보다 연꽃이 활짝 핀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어떤가 모르겠지만 예전의 향원정은 말 그대로 옛정취가 물씬 풍기는 그래서 시간의 개념조차 잊게 되던 그런 곳이었다. 위 사진은 16mm인데 아마 요즘은 찾아보기 힘든 렌즈가 아닐까 싶다. 어안렌즈 특유의 느낌을 살리기에 적당한 바디를 쓰지 못해 아쉬웠던 날...

연꽃을 담아보려 이리저리 노력을 해봐도 쉽지 않은 것은 역시나 거리. 당시 D1x와 200mm 렌즈였는데도 좀처럼 마음에 드는 꽃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꽃이라는 게 피고지는 때가 있는 법인데 어느 날 갑자기 찾아가 왜 꽃이 없냐고 항의를 해봐야 무지한 자신을 드러내는 일일 뿐...

살아가는 일은 결국 순리대로 따라가는 것이 상선(上善)이다. 즉 물처럼 살아가는 동안에 가장 좋은 삶을 살게 되는 것이지 싶다. 그럼에도..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음에도 우리네 삶은 물처럼이 아닌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의 삶을 보다 추구하는 모양새다. 꽃처럼 때가 되면 꽃을 피우고 때가 되면 조용히 물러나 다음 개화를 기다리는 마음.. 그것을 우리네 인간은 참 갖기가 어렵다.

허나..어렵다 생각하면 또 끝이 없는 법.. 물의 흐름을 따라 꽃의 순리를 이해하는 마음을 얻기 위해 살아가는동안 노력해야한다. 그것이 살아가는 이유이자 목적이 된다면 그래도 괜찮지 않을까?


SLR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렌즈에 대한 고민을 늘 하게 된다. 99년으로 기억하는데 니콘의 F100으로 SLR에 입문한 나로서는 그동안 소위 '장비병'을 거쳤었다. 사진을 찍는 것도 좋아하지만 사진 장비 자체 또한 상당히 좋아하는지라 중형포맷을 제외하면 어지간한 장비들은 써 보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 끝에 내 나름대로 내린 장비 세팅은 의외로 간단했다.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렌즈들을 거치고 거쳐 끝내 정착한 렌즈는 아래의 두 개다. 물론 아쉬운 거라면 광각 영역이다. 20mm 하나만 더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당분간은 조금 미뤄두어야 할 상황이다. 

첫번째 렌즈는 구형 35mm렌즈다. 정식 명칭은 AF NIkkor 35mm f2.0D인 이 녀석은 1995년에 초기 버전이 출시되었고 내가 가지고 있는 렌즈는 2006시리즈로 2006년 이후 발매된 버전이다. 구형 렌즈인데다가 포커싱 소리가 시끄럽기도 하고 뭔가 디자인이 고리타분해 보이기도 하지만 카메라를 들고 나갈 때면 소위 렌즈캡으로 사용하는 녀석이다. 35mm는 오래 전부터 워낙 내 눈에 익숙한 화각이어서 그런지 이 렌즈로 세상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참 편안한 느낌이 든다. 가장 현실감있는 렌즈가 아닐까 싶다.

니콘으로 정착하기 이전에도 콘탁스, 라이카 기종 모두 35mm를 사용했는데 심도만을 이용해 노파인더 촬영도 간단하고 어떻게 찍어도 가장 무난하게 나오는 화각대라는 생각이다. 물론 50mm를 표준으로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넓은 감도 있겠지만 렌즈의 화각이라는게 사실 어느 정도는 익숙함에서 오는 것이지 싶다. 28mm를 사용하는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화각대가 가장 편안하다고 하니 말이다.

두번째 렌즈는 55mm 마이크로다. 원래는 매크로라고 해야 하는데 니콘의 고집인지 굳이 마이크로라 쓴다. 흔히 말하는 접사렌즈인데 1979년에 처음 발매된 렌즈이니 역사도 제법 되는 렌즈다. 그렇다고 골동품은 아니고 시리얼 8번대는 2006년 이후 출시된 렌즈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녀석은 5번대 시리얼로 아마 2003년 정도에 나온 렌즈가 아닐까 싶다. 이 렌즈는 디지털로 넘어 오기 전에도 두번을 구입했다가 내보낸 녀석인데 D700으로 넘어오면서 다시 들인 녀석이다. 예전에는 구하기가 어려워 미국에서 공수를 해오기도 했었다.

니콘의 전형적인 Ai-S타입렌즈다. 이 렌즈는 접사렌즈임에도 풍경에서도 대단한 성능을 보이는 렌즈여서 전천후로 활용하기에 적당하다. 가격도 저렴해져서 중고장터를 뒤져보면 깨끗한 녀석을 10만 원대에 들일 수 있다. (물론 신품을 구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가 열리면서 니콘 수동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반가운 일이다. 

이런 분위기지만 칼 차이즈의 수동렌즈들은 여전히 대단한 가격대를 자랑한다. 특히나 25mm는 여전히 유혹의 대상이긴 하다. 예전같으면 어떻게 장만이라도 해볼까 전전긍긍했겠지만 요즘은 좋은 장비들을 봐도 크게 마음이 가지 않는다. 무엇보다 내 사진 실력이 장비가 달라진다고 해서 크게 나아지지 않음을 알기 때문이고 결정적으로 사진을 찍으러 좀처럼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단렌즈가 좋으냐 줌렌즈가 좋으냐. 밝은 렌즈가 좋으냐 어두운 렌즈도 괜찮냐. 끊임없이 사람들이 묻는 질문이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줌렌즈는 편리하지만 생각을 흐트러뜨린다.내가 단렌즈를 고집하는 이유 중의 하나다. 자동렌즈는 편리하지만 생각의 시간을 빼앗아간다. 내가 수동렌즈를 좋아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편의성과 즉시성을 끝내 포기할 수 없어 LX5를 들였으니 말처럼 실천하기란 또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새삼 생각을 해 본다. 

결국 결론은 자기가 편하면 된다. 사진 역시 자기가 보아 마음에 들면 그만이다. 그렇다고 고가의 장비를 들이는 것을 비난할 필요는 전혀 없다. 그 역시 자기만족이다. 히말라야에 오를만한 옷을 입고 동네 뒷산을 가건 고성능 스포츠카로 마트에 장보러 가건 어디까지나 그건 개인의 문제니 말이다. 사진 장비도 마찬가지다. 200만 원대의 조리개 2.8렌즈를 들고 다니건 번들렌즈를 들고 다니건 그 사람이 좋으면 그만이다. 등산장비가 취미일 수도 있고 자동차 자체가 취미일 수도 있고 카메라나 렌즈 자체가 취미일 수도 있는 것이니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