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배와 보고 온 신기전. 사실 후배가 신기전을 보러 가자고 했을 때 무슨 영환지 몰랐다. 이것저것 검색해보고서야 세종 때를 배경으로 한 신무기 개발에 대한 영화라는 것을 안 정도였으니 최근 내 문화지수가 얼마나 바닥권인지 짐작할 수 있었다.
아무튼 정재영, 허준호라는 연기파 배우를 앞세운 점에 끌려 보기로 했다. 줄거리에 대해서는 딱히 적을 이야기는 없다. 이미 많이 공개도 되어 있고 끝까지 보고 나서 느낀 점이지만 줄거리는 이 영화를 보는 데 있어 크게 의미가 없지 싶다. 그래도 궁금한 분들이 있다면 아래 그림을 클릭..
이 영화에 대해 참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가고 있다. 나름 전문 영화평론가(난 이 사람들을 잘 믿지 않는다)들의 혹평이 있을 법한 영화라는 것은 끝까지 보고 나니 충분히 예상된 일이었고 서핑을 좀 해보니 역시나 혹평 일색이다. 그나마 우호적인 블로거들마저 없었다면 오랜 시간을 들여 졸작을 만든 셈이 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제작의도를 살펴봐도 이 영화는 나름대로 애국심을 끌어내기 위한 요소가 강하다. 그 때문에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 않지만 나라 사정이 안 좋으니 억지로 만든 영화라는 식으로 평가를 하는 것은 옳지 않아 보인다.
다만 영화 중간에 적벽대전을 연상시키는 장면이 나온 점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긴 한데(어느 부분인지는 두 영화를 다 본 이라면 상상이 될 것이다) 우리 나라만의 고유한 전술이나 전법들에 대한 고증과 그의 구현이 이루어졌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한다. 물론 이 부분은 TV에서 방영되는 사극도 마찬가지인데 제대로된 고증이 없으면 자주성을 찾기란 요원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전체적으로 제법 볼만한 영화였다고 생각되는데 영화를 본 후 여운은 딱히 남지 않는 점이 아쉬웠다. 극중 긴장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적은 점, 그리고 한은정의 어정쩡한 역할이 아쉬웠지만 복잡한 생각없이 스크린에 빠져 들 수 있는 점은 매력이라 할 수 있겠다. 2회를 평일에 봐서 그런지 메가박스에 10명 남짓 있었던 점도 좋았던 점...
굳이 비교평가를 하자면 최근 크게 실망한 X파일보다는 나았다...
원본 포스팅을 하고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후에 장면장면을 한 번 다시 되짚어 보았다. 그리고 여전히 마음 속에 남는 아쉬움은 이왕 우리 것을 살리려고 했으면 좀 더 자극적으로 살렸으면 어땠을까 하는 점이다.
아무튼 정재영, 허준호라는 연기파 배우를 앞세운 점에 끌려 보기로 했다. 줄거리에 대해서는 딱히 적을 이야기는 없다. 이미 많이 공개도 되어 있고 끝까지 보고 나서 느낀 점이지만 줄거리는 이 영화를 보는 데 있어 크게 의미가 없지 싶다. 그래도 궁금한 분들이 있다면 아래 그림을 클릭..
이 영화에 대해 참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가고 있다. 나름 전문 영화평론가(난 이 사람들을 잘 믿지 않는다)들의 혹평이 있을 법한 영화라는 것은 끝까지 보고 나니 충분히 예상된 일이었고 서핑을 좀 해보니 역시나 혹평 일색이다. 그나마 우호적인 블로거들마저 없었다면 오랜 시간을 들여 졸작을 만든 셈이 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제작의도를 살펴봐도 이 영화는 나름대로 애국심을 끌어내기 위한 요소가 강하다. 그 때문에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 않지만 나라 사정이 안 좋으니 억지로 만든 영화라는 식으로 평가를 하는 것은 옳지 않아 보인다.
다만 영화 중간에 적벽대전을 연상시키는 장면이 나온 점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긴 한데(어느 부분인지는 두 영화를 다 본 이라면 상상이 될 것이다) 우리 나라만의 고유한 전술이나 전법들에 대한 고증과 그의 구현이 이루어졌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한다. 물론 이 부분은 TV에서 방영되는 사극도 마찬가지인데 제대로된 고증이 없으면 자주성을 찾기란 요원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전체적으로 제법 볼만한 영화였다고 생각되는데 영화를 본 후 여운은 딱히 남지 않는 점이 아쉬웠다. 극중 긴장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적은 점, 그리고 한은정의 어정쩡한 역할이 아쉬웠지만 복잡한 생각없이 스크린에 빠져 들 수 있는 점은 매력이라 할 수 있겠다. 2회를 평일에 봐서 그런지 메가박스에 10명 남짓 있었던 점도 좋았던 점...
굳이 비교평가를 하자면 최근 크게 실망한 X파일보다는 나았다...
원본 포스팅을 하고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후에 장면장면을 한 번 다시 되짚어 보았다. 그리고 여전히 마음 속에 남는 아쉬움은 이왕 우리 것을 살리려고 했으면 좀 더 자극적으로 살렸으면 어땠을까 하는 점이다.
'문화 이야기 >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가 결혼했다 (4) | 2008.10.21 |
---|---|
렌탈마법사 (2007) (2) | 2008.10.04 |
마리아 오자와, 그리고 포르노그래피 (2) | 2008.09.08 |
에덴의 동쪽을 봐야할 하나의 이유 (0) | 2008.08.23 |
극장판「공의 경계」제5장 '모순나선' PV (0) | 200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