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PMP를 혜성처럼 나타난 ‘신제품’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국내 시장에 PMP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04년이다. 하지만 불과 2년도 안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 시장을 맹렬한 기세로 장악해가고 있다. 마치 예전에 워크맨이나 MP3 플레이어가 등장했을 때 못지않은 열풍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용자들을 PMP로 이끌고 있는 것일까?

PMP의 최대 장점은 ‘컨버전스’다. 하지만 무조건 여러 기능들이 한 군데 모여 있다고 해서 반드시 장점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오히려 각 기능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어정쩡한 모습으로 남기 쉽기 때문이다.

PMP는 그런 면에서 보면 가장 성공한 컨버전스 기기의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점은 PMP라는 기기 자체가 ‘들고 다닐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줄임말이듯 멀티미디어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많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있는 데 왜 PMP가 가장 성공한 모델로 꼽히는 것일까? PMP만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 액정 (LCD)

모든 멀티미디어 기기들 심지어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직접 사용자와의 접점이 되는 부분이 바로 액정이다. 특히 PMP가 구현하는 영상 정보의 출력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액정은 기존의 단순히 영상 정보만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장치 단계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특히 PMP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음악 콘텐츠보다는 동영상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는 점, 인터넷의 검색, 사진 보기나 지도 찾기 그리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내비게이션 등의 측면을 고려하면 4.3인치라는 적당한 크기의 PMP 액정은 상당한 강점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4.3인치가 작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휴대성이라는 측면을 감안한 최선의 선택이라는 것이 제조사 측의 설명이다.

액정도 점차 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PMP 초기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큐브의 V43의 액정 사양이 4.3인치 480X272의 1600만 컬러 TFT-LCD에 165cd/㎡의 밝기와 200:1의 명암비였으나 최근 출시를 앞두고 있는 유경테크놀로지스의 P2는 350cd/㎡의 밝기와 400:1의 명암비로 두 배 정도 업그레이드 됐다. (물론 V43의 후속작인 T43은 스펙이 향상됐다)

액정의 밝기와 명암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선명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해졌고 야외에서도 햇빛의 반사 때문에 화면을 볼 수 없는 일이 지금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선명도가 높아지는 것이 오히려 눈에 피로를 줄 수도 있지만 이는 옵션에서 충분히 수정할 수 있으므로 기본 사양이 향상되는 것은 환영할 일이라는 것이 네티즌들의 생각이다.

◆ 중앙연산처리장치(CPU)

PMP는 컴퓨터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컴퓨팅 기기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해 입력한 정보를 CPU를 통해 계산해서 작업하는 과정을 거쳐 PMP가 동작하게 된다. 특히 PMP는 동영상 재생을 주로 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성능이 일반적인 PDA나 휴대폰에 비해 강력하다. 강력한 CPU는 이를 바탕으로 PMP가 보다 다양한 확장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 운영체제(OS)

PMP의 하드웨어적인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가 필수인데 오픈 소스인 리눅스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리눅스의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PMP를 꾸밀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큐토피아를 이용해 게임이나 스케쥴 프로그램, 다국어 사전, 인터넷 접속, 지도 검색 등이 가능하며 V43이 초반에 약진하게 된 배경 중에도 이 큐토피아의 역할이 컸다.

최근 들어 PMP의 운영체제는 리눅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CE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데 CE를 사용하게 되면 오픈소스의 장점을 잃어버리는 대신 MS의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범용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만 PMP에서는 PC처럼 두 개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경의 P2와 같은 제품은 듀얼부팅을 이용해 양 운영체제의 장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듀얼부팅은 아직 PMP에서는 시도된 바 없는 새로운 방식이어서 안정성 문제만 극복한다면 PMP의 활용도가 두 배로 늘어나는 셈이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 확장성

최근의 휴대폰도 멀티미디어 기기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지만 확장성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MP3 플레이어 역시 확장이라는 면에서 보면 주체라기보다는 USB 슬레이브를 이용한 저장장치라는 객체의 입장이 될 뿐이지만 PMP는 이 부분에서 다른 기기들을 압도한다. 특히 USB 호스트 기능을 이용해 다른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점은 PMP의 활용성을 극대화한다.

아울러 보통 2개 정도의 USB 슬레이브 슬롯을 내장하고 있어 외부 DMB 수신기나 휴대용 키보드, 게임패드 등을 결합할 수 있는 점은 PMP를 단순한 비디오 재생기가 아닌 ‘멀티미디어 허브’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게 하고 있다.

PMP가 가지고 있는 이런 장점들은 물론 다른 기기들도 충분히 가능한 것들이지만 유독 PMP에서 강점으로 부각되는 것은 다름 아닌 ‘휴대성’에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특징들을 이동하면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제까지 다른 기기에서는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던 부분들이다. 최근 들어 UMPC와 같은 경량화된 노트북형 PC들이 출현하고는 있지만 PMP의 독주를 따라잡기 어려운 것도 휴대성의 측면에서 약점이 있기 때문이다.

PMP가 완벽한 기기는 물론 아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히 많은 발전의 여지를 남겨 두고 있고 올해를 기점으로 그 발전 속도는 급격하게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점 중의 하나로 꼽히는 안정성도 많이 개선되었고 배터리 시간도 연장되고 있다. 무엇보다 제조사와 사용자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속적인 제품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점은 PMP의 앞으로의 전망을 보다 밝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꼽히고 있다

1. 디지털 컨버전스의 중심에 ‘PMP'가 있다.

2006년 상반기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가 시장에서 탄탄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2004년 겨울 MP3 플레이어 제조사였던 디지털큐브가 ‘PMP1000’으로 국내에 처음 PMP를 선보였을 때만 해도 지금처럼 PMP가 생활 속으로 파고들 것이라고는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다.

‘PMP1000’이 발매된 이후 디지털큐브는 'V43'이라는 AMD CPU를 탑재한 신기종을 출시했고 공전의 대히트를 거두며 PMP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하나의 유행처럼 번져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6년 여름 현재 PMP는 디지털 기기의 중심에 서있다.

초창기 PMP가 단순히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작은 비디오 플레이어정도의 의미를 가졌다면 현재 PMP는 동영상 재생은 물론 DMB와 내비게이션도 기본 사양이 될 정도로 업그레이드되어 있다. 여기에 전자수첩 기능, 리눅스 운영 체제를 이용한 오픈 소스의 활용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추고 있어 말 그대로 ‘PMP 한 대만 있으면 만사 OK’다.

◆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기본, DMB까지

PMP에 통합되는 디지털 기기를 살펴보면 우선 동영상 플레이어가 바탕이 된다. 현재 PMP는 DivX, XviD, MPEG1,2,4는 물론 WMV 7,9 코덱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4.3인치 LCD 액정으로 재생되는 영상은 DVD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라는 이름에 걸맞게 MP3플레이어 기능도 통합되어 있으며 MP3, WMA, OGG, AC3, ACC 코덱 등을 지원하여 현존하는 거의 모든 동영상과 음원의 재생이 가능하다.

여기까지를 1세대 PMP(어디까지나 개인적인...)라고 하면 2세대 PMP는 DMB와 내비게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DMB는 현재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나뉘어져 있으며 SK C&C만이 위성 DMB를 탑재하고 있고 다른 제조사들은 지상파 DMB를 내장하고 있거나 별도의 DMB팩을 판매 중에 있다. 그다지 관련이 없어 보였던 PMP와 DMB는 WBC 중계와 월드컵이라는 특수를 맞아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거두고 있다.

PMP가 내비게이션 영역까지 확대된 것은 PMP의 성장가능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다른 디지털 기기들에 비해 다소 비싼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직장인들의 구매가 늘어났고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굳이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구입하지 않고 PMP 한 대로 해결하려는 성향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내비게이션 업체들이 역으로 PMP를 제조해 판매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 PDA는 이미 흡수, PC 영역까지 노린다

대부분의 PMP들이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기능이 전자수첩과 전자사전이다. 온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면 글자를 입력하는 데 큰 불편이 없는데다가 전자사전의 경우 스타일러스를 이용해 쉽게 검색이 가능하고 음성 지원까지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음성 녹음 기능도 갖추고 있어 PDA 기능은 이미 거의 대부분 흡수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 하반기 출시 예정인 대다수의 PMP들이 기존의 리눅스 운영체제를 윈도 CE 체제로 변화를 줄 방침이어서 MS가 제공하는 엑셀, 워드, 아웃룩 등의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마치 데스크톱 PC에서 작업을 하듯이 PMP를 이용해 오피스 프로그램을 쓸 날도 머지않았다. 여기에 USB 형식의 접이식 외장형 키보드를 결합하면 보다 편리하게 문서 작성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PMP의 이와 같은 기능 확대에 크게 기여한 것은 2~30GB에 달하는 하드디스크다. 데스크톱 PC의 하드디스크 용량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 정도 용량이면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MP3를 듣는 데 큰 무리가 없고 급할 때는 데스크톱 PC에 연결해 외장형 저장장치로 쓰기에도 유용하다.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라면 촬영한 사진을 보관하기에도 제격이다.

◆ PMP 성장의 기폭제, 무선인터넷

앞서 언급한 장점만으로도 상당한 매력을 가진 PMP의 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주는 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현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큐토피아를 이용해 제한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와이브로나 HSDPA가 직접 PMP와 결합해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노트북의 입지마저 흔드는 것이 아니냐는 예측이 있을 정도로 PMP의 발전 기세는 무섭다.

무선인터넷은 PMP의 입장에서 보면 단말기의 활용 범위를 극대화해 주는 장점이 있지만 신규 서비스인 와이브로나 HSDPA의 입장에서도 새로운 적용 영역을 찾은 셈이어서 시너지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PMP가 컨버전스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단순히 몇 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를 완전히 흡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동영상 플레이어로 시작해 MP3P, 포토 앨범,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전자수첩, DMB, 텍스트 리더, 보이스 레코더, 이동식 하드디스크 등의 기능은 전용 디바이스 이상의 성능을 보이고 있고 무선인터넷과 결합을 통해 이 기능들을 100% 이상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점은 상당한 매력으로 작용한다

---------------------------
조금 오래 전에 연속 기획으로 잡아봤던 PMP에 대한 기사입니다. PMP는 확실히 재미있는 기기입니다. 요즘 지하철을 타고 다니다보면 PMP를 이용해 동영상을 보시는 분들이 꽤 많이 있습니다. 다재다능한 기기이고 가격대도 이전에 비해 많이 저렴해진데다가 인터넷이라는 변수가 맞물리면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기기이기도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