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컴퓨터는 온갖 잡소리들로 윙윙거린다. 본체를 뜯어 이리저리 위치를 바꾸어도 보고 몇몇 부품은 갈아도 보지만 그 소음은 여전하다. '처음에 살 때는 안 이랬는데.. 왜 이럴까..' 차츰 그 소음이 귀찮고 거슬리기 시작한다. 손에 익어 편하기는 하지만 이제껏 잘 지내오다가 갑자기 삐걱대니 언짢아진다. 그래도 큰 마음 먹고 장만할 때는 평생을 이 녀석들과 함께 하자는 의욕도 높았는데 이제는 바라보기만 해도 어쩐지 정이 떨어진다. 

실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마도 어느 장치 한 두개일 텐데 그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다보니 곁에 있는 키보드도 마음에 들지 않고 모니터도 화질이 안 좋은 것만 같다. 어느 날인가는 집에 들어와 컴퓨터를 켜려고 하는 순간 케이스 디자인이 너무 오래되어 답답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성능과는 별 상관도 없는 디자인이나 색상도 이젠 불만이 되어 버린다.

결국 스스로 할 수 있는 노력들을 다 했다고 생각하고 다른 제품으로 바꿔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슬슬 새로 나온 컴퓨터를 알아본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녀석에 비해 값도 저렴하면서 성능은 더 좋아 보인다. 지금 가지고 있는 녀석은 오래 같이 지냈을 뿐이지 장점은 도통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새것을 들이게 된다. 이왕 바꾸는 거 모니터며 키보드며 쓸만한 것들도 죄다 바꾼다. 새술은 새부대에..라지 않느냐며..

이전의 것에 대한 기억은 가끔 새것이 손에 익숙지 않을 때 잠깐잠깐 든다. '그래도 이전 것은 편하게 다룰 수 있었는데...' 하지만 이미 어디론가 처분해 고철이 되어 버린 녀석을 다시 찾아올 수는 없다. 그냥 새로 들인 녀석에 최대한 정을 붙이는 수밖에 없다. 새것이 완전히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전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하고 여기저기 좋다는 소문도 내본다.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자신의 선택이 틀렸다는 것이니 그것을 받아들이기가 영 내키지는 않은 탓이다.

그 소음만 참고 아니 그 소음조차 나와 함께 하면서 생긴 관계의 연속으로 생각하고 자연스레 받아들였으면 됐을텐데 시간이 지나면서 함께 해 온 장점은 묻혀버리고 단점만 보이게 된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시간이 지나면 새로 들인 컴퓨터도 낡게 된다. 그러면 앞서 겪었던 고민을 다시 하게된다.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스스로 찾을 수 없었기에 또 다시 교체를 해야 하는 상황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것이 자신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신하는 방법이니까..

우리는 살아가는동안 위와 같은 과정을 무수히 반복한다. 어떤 것이 정답이냐.. 그에 대한 해답은 물론 어디에도 없다..


내 인생에서 데미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었다. 사춘기 시절 데미안을 접하고 두 개의 세계와 아프락사스에 대한 생각에 온통 사로 잡혀 지냈으니 말이다. 스스로의 판단력이 부족했던 그 시절..어쩌면 대중적으로 너무 알려져 있는 두 개의 세계, 그리고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로 시작하는 문구는 한창 갈등과 사춘기적 방황에 시달리던 내게 마치 밤하늘을 가득 메운 불빛과 같았다.

결국 당시 나는 나의 감정을 데미안에 투영했는데 문제는 데미안 전반에 펼쳐진 긍정적인 그리고 개혁적인 시각보다 부정적이고 현실도피적인 시각에 집중함으로써 어린 시절의 나의 치기를 합리화해버렸다는데 있었다. 내가 이 부정적인 데미안에서 빠져 나오기까지는 무려 십 수년의 시간이 걸렸는데 데미안의 후속이라고 해도 좋을 싯다르타를 통해서였다.

학창 시절 이후 나는 다시 이책을 읽지 않았다. 아마도 두려움이 컸기 때문인데 방황과 고독..얼룩진 감성을 합리화하고 나 스스로를 위로했던 길고도 길었던 시절들이 사실은 내 일방적인 오해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도 다시 이책을 읽기는 쉽지가 않다. 싯다르타를 통해 결국 데미안이 내게 말하고자 하는 것을 알아차렸음에도 선뜻 용기가 나지 않는다.

물론 과거의 데미안에 빠져 있던 나를 현실의 데미안을 찾는 나로 돌리기 위해서는 읽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안다. 그럼에도 한편에서는 무언가 그 상태 그대로 잠시만 놔두고 싶은 마음도 있달까...삶에 있어 어느 정도는 실수와 잘못을 남겨 두고자 하는 또 하나의 어리석음이라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지금으로써는 당분간 그대로 감정을 놓아두는 편이 낫겠다 싶다. 이 또한 나의 치기라면 달리 변명의 여지는 없다.

이책을 읽는 이들에게 혹은 읽고자 하는 이들에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세상에 떠도는 말로 지레 짐작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인격이 존재하듯 사람은 그 나름대로 느끼는 감정과 감성이 다르다. 그런데도 자기 스스로는 어딘가로 던져 두고 남들이 말하는(혹은 광고문구에) 단어나 문장에 혹해 자신의 판단을 보류한다면 그것만큼 위험한 일은 없지 싶다. 무엇보다 책을 책 자체로 받아들일 수 없고 결과적으로 책을 읽고 나서도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수많은 책들이 모두 마찬가지다. 다만 굳이 내가 이 데미안을 예로 들어 이야기하는 것은 온전히 내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가능하다면 책에 대한 아무런 선입견없이 들어가자. 비단 책을 읽는 것에만 한정되는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말이다.


요즘 블로그나 블로거들을 보면 이게 왠 난장판인가 싶을 때가 많다. 기껏해야 인터넷 상에 홈페이지를 만든 것일 뿐인데 벌써부터 파벌이 나뉘고 누가 파워블로거네 아니네 수익이 어떻고 그야말로 난리가 아니다.

블로거가 뭐 대단한 사람이라고 그러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블로그가 앞으로의 미래를 좌우할 컨텐츠도 아니다. 이미 10년 전에 아니 그 이전부터 있었던 홈페이지일 뿐이다. 사람들이 착각을 하는 것은 블로그에 너무 길들여진 나머지 그리고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을 합리화하기 위해 블로그를 과대포장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파워블로거..그들이 여론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기업의 매출에 큰 영향을 줄까? 블로그의 접속자 수가 많다고 해서 천하를 얻은 것처험 의기양양하지만 결국 우물안 개구리일 뿐이다. 하지만 정작 본인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 이미 중독되어 있으니 말이다.

나 역시 블로그를 꾸려가면서 착각에 종종 빠진다. 내가 블로그의 주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몇몇 대기업(?)의 손아귀에서 헤어나지 못할 뿐이다.  그네들이 만들어준 틀 안에서 그네들의 구미에 맞는 글을 쓰며 한 두푼의 광고 수익이나 리뷰에 웃어야 하는... 이런 것이 블로그라면 블로그의 미래는 밝을 리가 없다.

내가 관심있게 보는 블로그는 그래서 편안한 블로그다. 접속해보면 왠지 미소가 지어지고 다음 날이면 다시 들어가보고 싶은 곳. 사실 이런 블로그는 많지가 않다. 그리고 대개 인기가 없다. 그래도 그런 블로그들은 본연의 인간적인 냄새가 난다. 내 블로그를 포함해 상업성에 찌든 블로그들과는 애초에 수준이 다른 것이다.

ps) 오늘(11월 12 일)자 http://bloggertip.com/ 의 메인글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