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문학동네에서 무라카미 하루키 에세이 걸작선이 선보였습니다. 하루키에 대해서는 할 말이 참 많은데 제 나름의 기준으로는 '해변의 카프카' 이후 변절했다고 단정을 지어버리고 있던 터라 이전만큼의 호감은 가지고 있지 못하죠. 게다가 1Q84에서 아주 결정타를 날려서 이제는 하루키의 책은 읽지 않겠다고 까지 선언을 해 버렸지요.

그럼에도 그의 신작에는 끌릴 수밖에 없는데 욕을 할 때는 하더라도 일단 읽기는 해야 한다는 묘한 압박에 시달렸습니다. 이번에 나온 에세이 걸작선은 총 5편입니다. 제게는 아주 다행스럽게도(!) 과거의 글을 모아놓은 것이지요. 즉 '변절 전의 하루키'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충분히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스스로 합리화하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리고 집어든 책은 바로 이 '세일러복을 입은 연필'입니다.

50편의 짧은 단편들이 모여 있는데 그가 주간 아사히에 연재한 글들이라는군요. 실려 있는 단편들은 굉장히 사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데 이제까지 접하지 못 했던 하루키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어 꽤 흥미 있었습니다. 물론 50편 모두가 흥미진진한 것은 아니고 어떤 작품은 지루하기도 하더군요. 그런데 페이지를 넘겨 가던 중에 압권인 단편을 발견했는데 책의 제목과도 같은 '세일러복을 입은 연필'편입니다. 이 단편이야말로 하루키답다는 말이 절로 나오더군요.

"F심 연필은 세일러복을 입은 여학생 같지 않습니까?"

술자리에서 나온 이 문장이 어떻게 느껴지시나요? 정말 하루키다운 문장입니다. 물론 그가 직접 한 말은 아니지만 이후 그의 행동을 보면 웃음이 절로 날 정도죠. 그리고 그 묘사가 참 하루키답기에 이책에서는 이 단편을 추천해봅니다.

아무튼 사물에 대한 인식의 부여..랄까요. 그런 것을 참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우연치 않게 듣게 된 자기가 쓰는 연필이 여고생 같다는 말이 그 자리를 떠나서도 머릿속에서 영 떠나지 않고 연필을 볼 때마다 그런 묘한 생각이 드는 현상에 빠져 꽤나 고생을 하는 그의 모습이 아주 적나라합니다. 그것도 하필이면 성적인 의미 부여여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 하고 난감해 하는 모습이 재밌습니다. 

꽤 재밌는 상황이지요? 아마 일상 생활 중에 저런 식으로 의미 부여가 되는 경우를 제법 많이 겪어 보시지 않았을까 생각이 됩니다. 아침에 가장 먼저 보는 버스가 1번 버스면 하루종일 재수가 좋을 거라고 집을 나섰는데 1번이 연달아 온다던가 하면 하루종일 싱글벙글 하게 되죠. 실제로는 아무 일도 없었더라도 하루를 마무리 할 시간이 되면 어쩐지 흐뭇합니다. 

그런데 그 의미부여가 하루키의 경우처럼 성적인 거라면 꽤나 난처한 상황도 많겠지요. 그것도 잠시라도 떼어놓을 수 없는 어떤 물건에 그런 의미가 새겨지면 말이죠. 그런 경험들이 혹시 있으신가 모르겠네요. 있으셔도 여기에 답글을 다실 정도로 대담한 분은 안 계시겠지만요..^^

아무튼 오랜만에 만나는 하루키는 오래 전 하루키에게서 받았던 강한 인상을 조금이나마 되돌려주었습니다. 앞에 하루키의 변절이라고 적었는데 그건 어디까지나 제가 느끼기에 그렇다는 것이니 크게 신경 쓰실 바는 아닙니다. 뭐랄까 '상실의 시대'로 알려져 있는 '노르웨이의 숲'에서 보였던 인간 자체에 대한 탐구와 감정의 묘사가 이후에는 점점 상업적으로 확대된데서 온 저만의 아쉬움이니까요. 

언젠가 1Q84에 대한 이야기를 써 볼 기회가 있을진 모르겠지만 '그는 더 이상 내가 아는 하루키가 아니다'는 문장으로 요약할 정도랄까요..


베르나르 베르베르. 천재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남자다. 그리고 작가다. 사실 나는 이 사람의 책에 대한 선입견이 제법 컸는데 뭐랄까 인기에 영합하는 그렇고 그런 류의 작가 중의 한 사람은 아닌가 오해하고 있었다. 마치 최근의 하루키와 같은 그런 느낌이었다. 그래서 그의 책은 전혀 읽지 않았었는데 반전이 이루어진 것은 '타나토노트'였다.

이후로 그의 책을 마치 스펀지에 물을 빨아들이듯이 읽었는데 흔히 알려진 3부작이 준 정신적 충격은 대단했다. 물론 '신'의 마지막 결론 이후 꽤 오랜동안의 사색이 필요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나무'는 단편집이다. 그의 다른 책처럼 독자의 부담이 비교적 적은 책이다. 물론 페이지가 적을 뿐이지 담겨 있는 내용들을 고민하자면 또 끝도 없다. 그럼에도 군더더기없이 짧게 끊어지는 맛이 일품이다. 초창기의 하루키 작품을 읽는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던 것도 사실인데 읽어나가는동안 하루키의 단편과 제법 공감이 되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으니 말이다.

이책에 실린 단편들 그리고 그 단편에서 이어져나오는 장편들을 굳이 연결지을 필요는 없다. 책을 읽는 동안에는 그 책의 내용 그러니까 내 눈 앞에 보이는 활자에 푹 빠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아니 오히려 눈 앞에 펼쳐진 내용들을 모두 소화하기에도 벅차기 때문에 굳이 생각의 영역을 지나치게 확장할 필요는 없다는 게 내 생각이다.

이책은 특히나 연관성이 대단히 넓은 책이기에 무엇보다 '단절'작업이 크게 요구된다. 그래야 내용을 제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워낙에 신출귀몰한 이야기와 구성 그리고 영역을 가지고 있는 베르베르이기에 이 방법이 이책을 읽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나 나름대로 정해버린 것이다. 물론 수많은 연관성들을 모두 아울러 가며 읽는 것도 나쁠 것은 없다. 하지만 오직 이책에만 빠져보고 싶다면 그다지 권하고 싶지는 않다.

그도 그럴 것이 무려 18편이나 되는 단편들이 담겨 있다. 각각의 내용에 대한 이야기는 모음집에서는 별로 의미가 없을 듯 하여 적지 않겠지만 아무 작품이나 눈이 가는 것을 골라 읽어도 충분하다. 가능하다면 베르베르의 장편들을 읽은 다음에 쉬어 가는 시간에 읽어보면 어떨까 싶다. 그의 장편이 주는 피로감을 풀기에 이 단편들은 제법 치밀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어느 작품의 어느 부분만을 네모난 모양으로 잘라서 찍어보았다. 이것으로도 의미의 전달은 충분하다. 굳이 모든 문장을 한데 엮어 순서대로 맞추어 놓지 않더라도 말이다. 나는 이 문장이 꽤나 마음에 든 모양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