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게코스키의 독서편력

릭 게코스키 저/한기찬 역
뮤진트리 | 2011년 08월

내용     편집/구성  



책벌레들의 우상..사실 제법 많은 책을 읽어 온 나지만 저자의 이름은 생소하다. '어떻게 이 사람을 모를 수 있냐?'고 물으면 할 말은 없지만 말이다. 글 첫머리에 결론을 미리 적어 본다. 행여 어떤 책이건 추천을 받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책을 읽게 되면 후회하게 된다. 

이책은 게코스키라는 저자의 일생에 걸친 일종의 회고록-심하게 말하면 일기장-이지 싶다. 필자와 어떤 코드에서든 공감하기가 극히 어려웠던 나로서는 이책을 선택하게 된 것이 그리 유쾌하지는 않았다. 사실 전제가 잘못되었기 때문인데 나는 뭔가 새로운 책을 추천받기를 바랬기 때문이었다.

물론 각 장별로 책에 대한 내용은 들어가 있다. 그러나 그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찾기는 힘들다. 그리고 내용이 전반적으로 상당히 지역적이고 지엽적이고 또한 개인적이기 때문에 2011년의 한국에 사는 나로서는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았다.

이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게코스키가 선정한 도서들을 통해 직접 자신의 삶에 변화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다. 책장을 덮고 가만히 생각을 해 봐도 역시나 같은 결론이다. 이책의 전개방식 자체가 그렇기 때문인데 저자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어떤 책이 좋다가 아니라 어떤 책을 통해 어떻게 삶이 바뀌어 나갔나를 적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가장 공감이 가는 말은 '내가 읽은 책이 나를 형성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해 나 자신을 알게 되었으며, 나 자신을 통해 그 책들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는 문장이다. 한 사람을 알기 위해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그 사람의 서재를 둘러보는 것처럼 좋은 것이 있을까?

아무튼 이책은 생각보다 폭넓은 인기를 누리기는 어렵지 싶다. 일단 한 번 읽은 다음에 저자가 추천하는 책들을 읽어 보고 그책을 통해 자신의 삶에 변화가 주어보거나 변화가 생긴 다음에 이책을 다시 읽는다면 이책의 진가를 알 수 있겠지만 그런 과정을 몸소 따라가보려는 독자는 생각보다 많지는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끝으로 게코스키가 어쩌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엘리엇의 황무지를 옮겨 본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키우나니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뒤섞나니
기억과 욕망을...

이 문장이 이해가 가는 사람이라면 이책을 어느 정도는 제대로 읽은 것이다.

[도서]나는 궁금해 미치겠다

A. J. 제이콥스 저/이수정 역
살림출판사 | 2011년 07월



일단 책 제목이 독특했다. 이런 제목이면 한 번쯤 겉장을 넘겨 보게 된다. 책의 뒷표지와 띠지에 적힌 내용들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인간처럼 호기심이 강한 동물이 없는데 그런 면에서 이책은 제법 제목을 잘 정했다싶다. 

이책은 총 9가지의 작가의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남장여자 혹은 여장남자 행세는 제법 많은 이들의 공감을 자아낼만한다. 그리고 일상을 아웃소싱하는 실험은 누구나 한 번쯤은 바라는 일이 아닐까? 획기적으로 정직해보기 편은 조금 어색한 감이 있다. 정직을 표현하는 방법들이 썩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스타로 살아보기 편은 꽤나 흥미있는 주제였다. 만약 내가 장동건이나 원빈이 되어 하루를 살아본다면 이제까지 살아온 경험들보다 더 많은 것들을 하루에 느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일상에서 모든 편견과 오류 몰아내기 편은 조금은 억지스러운 면이 없지 않은데 아마도 주제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진행한 내용에 별로 공감이 가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누드모델 되기 편은 굳이 실험이라도 말할 필요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별 다른 느낌이 없었지만 이어지는 조지 워싱턴의 원칙대로 살아보기나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하기 편은 미국이 아닌 한국에 살고 있는 지금의 우리들도 한 번쯤 해볼만한 실험이지 싶다. 

무엇보다 이책에 실린 내용들이 실제로 필자가 실천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자극이 된다. 우리는 많은 경우 '~했으면'이라고 생각만 하거나 공상을 하곤 하는데 그런 상상과 공상들을 직접 실천에 옮기는 일은 드물다. 필자의 여러 실험 중 내 입에 맞는 치약 찾기는 당장이라도 해 볼 수 있는 실험이지만 아마도 이런저런 핑계로(이 순간의 나 역시도) 실천에 옮기기는 어렵지 싶다.

우리는 너무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길들여져 있다. 그러나 그 너무도 당연하다는 것에 대해 과연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해봤는지 되묻고 싶다. 남들이 당연하다고 하니까 나도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그 방식과 그 틀에 자신을 맞추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필자는 그런 당연함에 의문을 제기했고 단지 의문을 제기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자신이 경험을 해보기로 한 것이다. 주제나 내용이야 어쨌건 그와 같은 실천에 많은 점수를 줄 수밖에 없다. 이책을 읽는 내내 '과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나?'라고 나 스스로에게 이것저것 질문을 던졌다.

부록은 제법 신선하다. 본문에서 필자가 직접 사용했던 조지 워싱턴의 110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책들이 본문에만 이러저러하다고 적어 놓고 정작 독자들이 그 방법 혹은 출처를 찾아볼 기회를 주지 않는데 이책에는 당장이라도 바로 실천에 옮겨볼 수 있는 원칙을 적어 놓고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필자가 한 방식을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도 나만의 110가지 원칙 실천법을 만들 수 있다.

그럼에도 뭐랄까.. 끝내 아쉬운 것은 작가의 주관이 너무 많이 들어있다는 점이다. 물론 온전히 작가의 창의적인 실험만으로 이루어지다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하지만 여러 실험들에 좀 더 객관성을 부여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실험 자체에 대한 내용 외에 별로 필요치 않은 사족들도 곳곳에서 눈에 보여 아쉬웠다. 

하지만 이 역시 나의 주관일 뿐이다. 필자가 실험한 9가지 외에도 우리는 더 많은 창의적인 실험을 할 수 있다. 이책은 그런 실험을 바로 지금 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매력적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