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손글씨를 즐기는 편인데 아마 어려서 어머니께서 억지로(?) 글씨 연습을 시킨 것의 영향이 크지 않나 싶기도 하다. 아무튼 그런 이유인지는 몰라도 손으로 글을 쓰는 것에 별다른 거부감은 없고 오히려 가능하면 손으로 무언가 쓰는 경향이 있다. 얼마 전에 연필 관련 글을 쓰기도 했지만 사실 내가 가장 오래 써온 필기구는 만년필이다. 한때는 만년필 동호회에서 맹활약(?)을 하며 온갖 종류의 만년필을 두루 섭렵했었는데 결과적으로 내 손에 남아있는 만년필은 현재 2자루다. 몽블랑의 P146과 펠리칸의 M250 이 두 펜은 일기나 뭔가 심각한 글을 쓸 때 사용한다. 라미의 비스타도 있지만 이 펜은 일상용이랄까 그런 용도로 사용한다. 덧붙여 플래티넘의 1회용 만년필인 프레피도 있는데 이 만년필은 워낙 소모성이 강해서 별도로 분류하기는 애매하지 싶다.


펠리칸의 만년필은 참 종류가 많은데 역시 숫자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250이라는 말은 쉽게 말하면 200시리즈 중 하나라는 의미다. 이전에 M205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배럴(만년필의 몸통)과 캡 등에 크롬이나 백금(또는 은) 도금이 되어 있을 때 5을 뒤에 붙인다. M250은 펠리컨의 표준형 만년필로 생각하면 된다. 100시리즈도 있지만 성인 남성이 쓰기에는 조금 작은 편이고 200급으로 올라가면 길이가 어느 정도 적당하다 싶은 느낌이 든다. M200과 이 녀석의 차이는 촉이 금도금이냐의 여부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아쉽게도 M250은 이제 단종이 되었다고 한다.


펠리컨이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이 만년필을 만든 독일의 회사 이름이자 로고다. 시대에 따라 캡과 촉에 새겨지는 아기새의 모양과 숫자가 달라지는데 오래 전 모델의 경우 아기새가 두 마리고 요즘 모델은 한 마리다. M250의 경우 현재 단종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비교적 현대 모델인지라 한 마리의 아기새가 보인다. 이전에 꽤 오래 사용했던 M150은 새가 두 마리였다. 가끔 내 손에 익을대로 익은 그 녀석이 그리울 때가 있지만 요즘은 이 녀석에 정을 붙여보려고 노력 중이다. 아래 촉 사진을 자세히 보면 아기새가 두 마리 있는 게 보인다.


M250은 14K금도금이 되어 있는데 금도금 촉(닙)의 경우 부드러운 것이 장점이라 하지만 이것도 제품마다 워낙 편차가 커서 딱 어떻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촉 아래 적혀 있는 EF란 Extra Fine의 약자로 아주 얇다는 의미지만 유럽 제품들이 그렇듯이 아주 가늘지는 않다. 그래도 펠리컨 제품은 비교적 가는 편이고 한글이나 한자를 적기에 크게 어려움은 없다. 더 얇은 촉은 일본 제품인 세일러나 플래티넘 것이 있다. 금촉의 특징이라면 스테인리스 촉에 비해 서걱거리는 느낌이 적고 대신 미끄러지는 느낌이 강하다는 점이다. 사람마다 이 느낌에 대한 평가는 다르지만 종이에 펜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 더 좋은 내게 금촉은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


펠리컨의 만년필은 배럴 안에 잉크를 넣는 방식이다. 플런저 방식이라고 하는데 사람에 따라 편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촉 채로 잉크병에 담근 다음 잉크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남아 있는 잉크의 양은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약간 투명한 창을 통해 알 수 있다. 펠리컨 제품은 통상 다른 제품에 비해 잉크가 많이 들어가 고시용 만년필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러고보니 지금 내게 남은 만년필은 모두 이런 방식이다. 잉크를 넣기 위해 어느 정도 수고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녀석들인데 내게는 그것이 더 정겹다.

펠리컨이라는 이름은 클립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저 클립을 자세히 보면 눈도 달려 있다. 펠리컨의 머리 모양을 표현한 것인데 제조사별로 자신들이 내놓은 제품의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몽블랑의 하얀별처럼 펠리컨은 저 클립을 통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뭐랄까 저 모양이 그리 근사해보인다고는 말하기 어렵겠다. 이것도 사람 취향이기는 하지만...


내게 남은 두 개의 만년필이다. 왼쪽의 몽블랑은 촉이 화려하고 펠리컨은 수수하다. 두 펜 모두 이리듐(펜촉 끝부분을 구성하는 금속)도 쌩쌩하고 아마 죽기 전까지 써도 저 두 펜 모두 닳게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두 펜 모두 소장용이 아닌 순수한 필기용이다. 만년필을 소장하는 재미도 쏠쏠하다고 하지만 나는 글을 쓰는 재미가 더 쏠쏠하다. 두 촉 모두 EF지만 글을 써 보면 몽블랑이 펠리컨의 두 배 정도는 굵다. 

요즘은 전자문서가 보편화되어 만년필을 들고 결재란에 서명을 할 일도 없어졌다. 그런 면에서 만년필이 그나마 대중적으로 쓸모가 있던 시대도 지나가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필름 카메라가 이제는 골동품이 되어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가듯이 만년필도 이제는 필기구가 아닌 소장용 수집품 대열에 끼는 것 같아 아쉬운 느낌이다. 이 녀석들을 한참 보다가 방 구석에 놓여 있는 작은 박스를 열어본다. 작은 상자 하나를 가득 메우고 있는 잉크들과 노트들... 역시 난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인가보다.

어찌 되었건 이 두 펜은 남은 내 인생을 함께 할 펜들이다. 내 손에 온 지 이제 3년이 조금 지났으니 이전에 사용하던 M150의 세월을 채우려면 10년도 더 넘는 시간을 글을 써야 한다. 이 녀석들이 적어 나갈 앞으로의 나의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그리고 세월이 지나 빛바랜 잉크로 적혀 있는 그 글들을 다시 읽게 되는 날의 내 마음은 어떨까...

내년 정도에는 필름 카메라를 다시 들여볼까 생각을 해 본다. 사진에 가장 푹 빠져 지내던 시절 항상 내 손을 떠나지 않던 니콘의 F3와 F5를 다시 내곁에 두고 싶은 마음이다. 이젠 흑백필름이나 슬라이드를 현상해 주는 곳도 거의 없어졌지만...


저는 손으로 무언가를 쓰는 것을 무척 좋아합니다. 특히 만년필과 연필을 좋아하는데 둘 다 전형적인 아날로그라는 매력이 있지요. 만년필 이야기는 한참 오래 전에 적어 놓은 것이 있고 연필이야기도 이전에 한 편 써 두었는데 오늘 새로운 녀석을 들여 놓아 기쁜 마음에 글을 적어 봅니다.

오늘 도착한 녀석은 이녀석입니다. 파버카스텔은 육각 연필의 시조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카스텔 9000은 그중에서도 유서가 깊은 연필이지요. 아마 100년은 더 되었을 겁니다. 파버카스텔과 스테들러 두 회사는 필기구를 좋아하는 분들께는 제법 친숙한 이름이지 싶습니다. 스테들러가 갑자기 왜 나오는지는 잠시 후에 나옵니다. ^^

오늘 데려온 녀석들은 심 경도가 5B인데요. 아마 4B까지는 학창 시절에 미술 시간에 많이들 써보셨을텐데요 5B는 조금 낯설죠? 보통 흔한 연필이 HB니까 5B면 제법 진하고 무른 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 박스를 열었을 때 나는 나무 냄새도 참 좋습니다.

카스텔 9000은 오늘 입양한 5B까지 해서 3종류의 경도를 가지게 됐네요. 가장 아래 6B가 보이시죠? 카스텔 9000은 경도가 7B인 녀석까지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가장 위에 보이는 요상한 녀석은 한창 장비병(?)에 걸렸을 때 무리해서 장만했던 UFO라는 녀석입니다. 저거 사고 눈물 많이 흘렸지요. 결국 아까워서 쓰지도 못 하고 사진 찍을 때만 등장합니다..;

아무튼 5B라면 심이 훨씬 빨리 닳게 되지요. 그만큼 연필의 수명이 줄어든다고 할 수 있는데 몽당연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찾아보다가 펜슬홀더라는 녀석을 찾았습니다.

바로 이녀석인데 앞서 적은 스테들러의 제품입니다. 스테들러는 파버카스텔을 압도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필기구 회사지요. 스테들러가 연필을 만든 지는 거의 400년이 다 되어간답니다. 아마 지금 책상 위에 한두 개쯤 이 회사의 제품이 있으시지 않을까요? 스테들러의 대표적인 연필은 옐로우펜슬입니다. 정말 쉽게 볼 수 있는 연필이지요. 

세 자루의 옐로우펜슬이 거의 지우개 부분만 남을 정도로 남았습니다. 보통 몽당연필이 되면 뒷부분을 깎아 모나미 볼펜에 끼워 쓰곤 하는데 이녀석처럼 뒷부분에 지우개가 달려 있으면 그것도 쉽지 않지요. 이녀석들을 펜슬홀더에 끼워주면 됩니다.

이렇게 되는데 아주 짧은 몽당연필에서부터 반 정도 남은 연필까지 수납(?)이 가능합니다. 재질은 알루미늄 비슷한데 그립 부분은 무게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약간 무겁습니다. 이런 식으로 몽당연필을 끼워 쓰면 더 이상 깎을 수 없을 때까지 연필을 쓸 수가 있게 됩니다. 물론 연필 뒤에 달린 지우개를 책상 위에 튕기는 잔재미는 더 이상 없겠지만요.

가격은 저렴한 편 -전혀 저렴하지 않습니다- 은 아니지만 연필을 많이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꽤 매력적인 제품이 아닐까 싶네요. 쓴다고 닳는 것도 아니다보니 관리만 잘 해 주면 하나 장만해서 평생 쓸 수 있지 않을까요?

배송료 맞추느라 덤으로 주문한 에너겔 두 자루입니다. 이 펜은 명성(?)은 이미 들었지만 써 보기는 처음인데 뭐랄까요 잉크가 콸콸 나오네요 정말. 기존에 쓰던 제트스트림에 비교할 정도도 아니고 잉크 새는 만년필 수준이랄까요. 디자인은 어딘가 어색하고(다른 펜보다 깁니다) 그립감도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닌데 잉크 하나는 압권입니다. 덕분에 빨리 닳을테니 그리 오래 쓰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필기구 이야기를 써봤습니다. 한참 글을 쓰는 것에 집중하던 때에는 만년필이며 종이며 잉크 이야기를 많이 했었는데 만년필을 책상 속에 고이 넣어둔 터라 언제 다시 만년필과 잉크 이야기를 쓸런지는 모르겠네요. 사실 만년필도 이제 제게 남아 있는 게 두 자루뿐이라 적을 말도 많이 없긴 합니다. ^^



163시리즈의 경우는 만년필의 145에 대응하는 크기다. 만년필을 146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성펜은 162로 가는게 맞지만 아무래도 내 손이 그리 크지는 않은 모양인지 162보다는 163이 좀 더 필기하기에 좋은 느낌이 든다. 사실 163은 여성분들에게 어울리는 펜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보통 펜 동호회 등에서 활동하다 보면 '버건디'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Burgundy라는 단어인데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에서 만들어지는 포도주를 말한다. 즉 버건디라고 발음하기 보다는 부르고뉴라고 해야 맞지 않나 싶지만...

아무튼 영어식으로 버건디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적색 계열인데 아주 붉은 적색이라고 보기도 뭐한 약간 애매한 색이랄까?




몽블랑 만년필의 경우는 필기감이 좋기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건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만년필의 경우는 글쎄..라고 생각된다. 제대로 된 몽블랑의 필기감을 느끼려면 한정판으로 가야하고 또 M촉을 써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즉 우리가 주변에서 비교적 자주 접하는 몽블랑 만년필의 필기감은 썩 좋은 편은 아닌 셈이다.

이것은 특히 볼펜과 수성펜으로 가면 확연히 드러나는데 몽블랑 볼펜이나 수성펜의 필감은 최악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좋지 않다. 만약 몽블랑 볼펜이나 수성펜을 갖게 되었다면 리필은 차라리 파커 것이 더 낫고 조금 더 유연한 필기감을 원한다면 까렌다쉬를 고르면 되겠다. 몽블랑의 대중적인 명성이 어느 정도는 마케팅의 힘이라는 반증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공부를 다시 하기로 마음 먹은 다음 가장 먼저 장만한 것이 필기구였습니다. 특히 만년필은 초등학교 때부터 손에 익숙해져 있어서 이번에는 남은 평생을 쓸 3자루의 펜을 장만할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렇게 처음 장만했던 것이 이전에 잠시 소개한 비스콘티였는데 이 펜은 동생의 생일선물로 보내주었죠. 그동안 동생에게 뭐 하나 제대로 해준 적이 없는 데다가 사회에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녀석이니 고급펜 하나는 있어야 겠다 싶어서 보내주었죠.

제가 구상하고 있는 3자루의 펜은 검정 잉크를 담은 주 필기용 펜과 청색 잉크를 담은 펜 그리고 아주 얇은 글씨를 쓸 수 있는 정리용 세필펜 이렇게 3자루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잉크는 청색 계열인데 이렇게 보면 사실 두 자루 모두가 주력펜이 되는 셈이죠. 아무튼 전에도 한 번 적었던 것 같은데 어떤 물건(이건 조금 더 넓게 해석하면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을 구입할 때는 그 방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제품을 장만하는 것이 소위 수업료를 가장 덜 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한참 사진에 빠져 있을 때 뼈저리게 겪은 부분이기도 하죠.   




제가 가지고 있는 필통(?)인 펜파우치입니다. 비교적 흔한 몽블랑의 시에나 3구 파우치인데 딱 3자루의 펜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녀석을 어떤 펜들로 채울까 고민을 제법 오래했죠. 만년필은 제조사의 특색에 따라 닙이라고 불리는 펜끝이 강성이나 연성이냐로 일단 구분을 해 볼 수 있습니다. 강성이란 닙이 잘 휘지 않는 강직한 느낌을 주는 것이고 연성이란 마치 붓처럼 사용자가 자유롭게 압력을 주어 글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한 펜입니다. 물론 강성펜도 굵기 조절은 가능합니다. ^^ 저는 강성펜이 제  필기 스타일에 가장 맞는데 그런 면에서는 워터맨과 오로라 제품이 가장 적절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파우치를 열어 보면 2자루의 펜이 들어 있습니다. 왼쪽에 보이는 것은 몽블랑 P145입니다. 연성촉인 몽블랑이지만 이 녀석은 EF촉이고 그 중에서도 상당히 까칠한 펜인지라 지금도 길들이는데 꽤나 애를 먹는 녀석입니다. 검정이나 블루블랙을 주로 사용하고 있죠. 오른쪽에 보이는 펜은 저렇게 봐서는 뭔지 짐작도 안 가는 펜입니다.





이렇게 꺼내 놓으면 조금 구별이 되려나요? 흔히 소개글로 자주 보이는 리틀 에드슨이나 요트 모양의 우아한 자태..는 사실 그다지 느낌이 오지 않는 펜으로 워터맨의 까렌입니다. 까렌의 특징은 나중에 다시 포스팅을 하겠지만 촉이 잘 마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비행기로 이동을 할 때 잉크를 담아 움직일 수 있는 몇 안 되는 펜이기도 하고 공부를 하다보면 펜을 멈추는 시간이 제법 많은데 다른 펜들이 그 사이에 펜촉의 잉크가 말라버리는 것에 반해 까렌은 제 테스트로는 20분은 가볍게 버텨줍니다. 심각한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제격이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가격만으로 보면 까렌이 145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인지도는 아무래도 145가 높죠. 대신 까렌은 까렌으로 145는 몽블랑으로 인식되는게 보통입니다.




이렇게 2자루를 구비하는데도 제법 많은 시간과 비용과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하나가 남았는데 위에도 적었듯이 세필이 가능한 아주 얇은 펜이 마지막으로 들여놓을 펜이죠. 위의 두 펜 모두 촉은 EF 즉 Extra Fine으로 얇은 편이지만 제가 원하는 얇은 정도는 정말 얇은 하이테크 포인트 정도의 펜이어야 합니다. 그 대상은 그러다보니 자연히 일본산 만년필로 정해졌고 아마 세일러의 펜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다만 고민은 세일러의 라인업 중에서 무엇을 선택하느냐 정도가 남아 있는 셈이죠.

세일러 펜 역시 상위 라인으로 올라가면 가격대가 만만치 않고 이미 2개의 펜(동생 선물로 준 것까지 합하면 3자루)을 장만하느라 허리가 휠 대로 휜 상태라 아마 다음 달 월급날이 지나야 마지막 녀석을 들여놓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어쨌건 만년필을 장만할 때도 애초에 한방(?)을 크게 저질러 버리니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것은 확실히 줄었습니다.

물론 145가 몽블랑 라인업에서 가장 하위에 있는 기종이고 몽블랑의 진가는 149다라던가 리틀 에드슨이 아니라 진짜 에드슨을 써봐야 하는 것이 아니냐 혹은 워터맨의 정점에 있는 세레니떼의 필기감을 느껴보라는 등의 주변의 충동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수집가가 아닌 실사용가로서 제가 가진 두 자루만 해도 과분할 지경이니 그런 유혹들은 그저 달나라의 토끼 방아소리만큼이나 유혹은 되지 않습니다. (다만 확신은 할 수 없는 것이 인간의 나약함입니다)


이탈리아의 만년필 제조사 중에 비스콘티라는 곳이 있습니다. 상당히 고가의 만년필을 만드는 곳 중의 하나인데 비스콘티의 특징은 예술성을 강조하는 데 있는 듯한 느낌이 강합니다. 일전에도 한번 소개를 했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만년필은 비스콘티의 반 고흐 시리즈입니다. 시리즈라고 하기는 조금 어색한데 색상만 다르기 때문이죠. 물론 데몬스트레이션 버전인 크리스탈이 있긴 하지만 기본틀은 반 고흐입니다.



반 고흐 시리즈는 상당히 많은 색상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지금 보이는 것은 바닐라 색상입니다. 사실은 오션을 원했지만 재고가 없다고 해서 들여놓은 펜인데 막상 잡아보면 그리 촌스럽다는 느낌은 들지 않습니다. 이 시리즈에 반 고흐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반 고호의 강렬한 색상에 영감을 얻어 제작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무게 중심이 상당히 아래쪽에 있어서 필기하기가 제법 수월하고 금촉 특유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부드러운 필기감을 보여 줍니다. 비스콘티 만년필은 셀룰로이드라는 식물성 소재로 제작되고 모두 수작업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같은 제품이라도 실제로 같은 것은 하나도 없는 자신만의 펜이라는 점이 장점이지요.




14k의 촉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촉에 비해 상당히 큰 편입니다. 중간에 하트홀도 큼직큼직 해서 잉크의 흐름이 좋은 편에 속합니다. 몽블랑과 굳이 비교하자면 절제된 흐름이랄까요. 닙 사이즈는 F 로 반 고흐 시리즈에는 EF촉은 없는 것 같습니다.




상당히 깔끔한 뒷모습입니다. 전체적으로 만년필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려는 이탈리아 장인들의 손길이 느껴지는 제품이 비스콘티입니다. 개인적인 바람이라면 평생 글만 쓰고 싶은 것인데 아마 중세 수도원의 필사본을 만드는 수도사가 전생이 아니었을까 생각을 해 봅니다. 아마 지금 인생을 다시 결정할 수 있는 선택의 순간이 부여된다면 그 길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 고흐에 추천할만한 잉크는 역시 제가 제일 좋아하는 블루인 제이허빈의 사파이어 블루입니다. 이 사파이어 블루는 잉크의 흐름이 아주 좋은 만년필에서 본연의 색을 보여주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몽블랑의 145의 경우 아무래도 EF촉이다보니 반 고흐에 비해서는 제대로 색을 뽑아주지 못하더군요. 만년필을 단지 글을 쓰는 이상으로 느껴보고 싶은 분이라면 비스콘티 제품을 추천해 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