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R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렌즈에 대한 고민을 늘 하게 된다. 99년으로 기억하는데 니콘의 F100으로 SLR에 입문한 나로서는 그동안 소위 '장비병'을 거쳤었다. 사진을 찍는 것도 좋아하지만 사진 장비 자체 또한 상당히 좋아하는지라 중형포맷을 제외하면 어지간한 장비들은 써 보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 끝에 내 나름대로 내린 장비 세팅은 의외로 간단했다.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렌즈들을 거치고 거쳐 끝내 정착한 렌즈는 아래의 두 개다. 물론 아쉬운 거라면 광각 영역이다. 20mm 하나만 더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당분간은 조금 미뤄두어야 할 상황이다. 

첫번째 렌즈는 구형 35mm렌즈다. 정식 명칭은 AF NIkkor 35mm f2.0D인 이 녀석은 1995년에 초기 버전이 출시되었고 내가 가지고 있는 렌즈는 2006시리즈로 2006년 이후 발매된 버전이다. 구형 렌즈인데다가 포커싱 소리가 시끄럽기도 하고 뭔가 디자인이 고리타분해 보이기도 하지만 카메라를 들고 나갈 때면 소위 렌즈캡으로 사용하는 녀석이다. 35mm는 오래 전부터 워낙 내 눈에 익숙한 화각이어서 그런지 이 렌즈로 세상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참 편안한 느낌이 든다. 가장 현실감있는 렌즈가 아닐까 싶다.

니콘으로 정착하기 이전에도 콘탁스, 라이카 기종 모두 35mm를 사용했는데 심도만을 이용해 노파인더 촬영도 간단하고 어떻게 찍어도 가장 무난하게 나오는 화각대라는 생각이다. 물론 50mm를 표준으로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넓은 감도 있겠지만 렌즈의 화각이라는게 사실 어느 정도는 익숙함에서 오는 것이지 싶다. 28mm를 사용하는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화각대가 가장 편안하다고 하니 말이다.

두번째 렌즈는 55mm 마이크로다. 원래는 매크로라고 해야 하는데 니콘의 고집인지 굳이 마이크로라 쓴다. 흔히 말하는 접사렌즈인데 1979년에 처음 발매된 렌즈이니 역사도 제법 되는 렌즈다. 그렇다고 골동품은 아니고 시리얼 8번대는 2006년 이후 출시된 렌즈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녀석은 5번대 시리얼로 아마 2003년 정도에 나온 렌즈가 아닐까 싶다. 이 렌즈는 디지털로 넘어 오기 전에도 두번을 구입했다가 내보낸 녀석인데 D700으로 넘어오면서 다시 들인 녀석이다. 예전에는 구하기가 어려워 미국에서 공수를 해오기도 했었다.

니콘의 전형적인 Ai-S타입렌즈다. 이 렌즈는 접사렌즈임에도 풍경에서도 대단한 성능을 보이는 렌즈여서 전천후로 활용하기에 적당하다. 가격도 저렴해져서 중고장터를 뒤져보면 깨끗한 녀석을 10만 원대에 들일 수 있다. (물론 신품을 구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가 열리면서 니콘 수동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반가운 일이다. 

이런 분위기지만 칼 차이즈의 수동렌즈들은 여전히 대단한 가격대를 자랑한다. 특히나 25mm는 여전히 유혹의 대상이긴 하다. 예전같으면 어떻게 장만이라도 해볼까 전전긍긍했겠지만 요즘은 좋은 장비들을 봐도 크게 마음이 가지 않는다. 무엇보다 내 사진 실력이 장비가 달라진다고 해서 크게 나아지지 않음을 알기 때문이고 결정적으로 사진을 찍으러 좀처럼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단렌즈가 좋으냐 줌렌즈가 좋으냐. 밝은 렌즈가 좋으냐 어두운 렌즈도 괜찮냐. 끊임없이 사람들이 묻는 질문이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줌렌즈는 편리하지만 생각을 흐트러뜨린다.내가 단렌즈를 고집하는 이유 중의 하나다. 자동렌즈는 편리하지만 생각의 시간을 빼앗아간다. 내가 수동렌즈를 좋아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편의성과 즉시성을 끝내 포기할 수 없어 LX5를 들였으니 말처럼 실천하기란 또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새삼 생각을 해 본다. 

결국 결론은 자기가 편하면 된다. 사진 역시 자기가 보아 마음에 들면 그만이다. 그렇다고 고가의 장비를 들이는 것을 비난할 필요는 전혀 없다. 그 역시 자기만족이다. 히말라야에 오를만한 옷을 입고 동네 뒷산을 가건 고성능 스포츠카로 마트에 장보러 가건 어디까지나 그건 개인의 문제니 말이다. 사진 장비도 마찬가지다. 200만 원대의 조리개 2.8렌즈를 들고 다니건 번들렌즈를 들고 다니건 그 사람이 좋으면 그만이다. 등산장비가 취미일 수도 있고 자동차 자체가 취미일 수도 있고 카메라나 렌즈 자체가 취미일 수도 있는 것이니까. 


딱히 특별한 말이 필요 없을 듯 하다. HGUC계열로 많이들 좋아하는 킷이다. 조립에 큰 어려움도 없고 나름 만들어놓고 보면 그럭저럭 볼만하다. 물론 하위 킷의 한계는 있지만 도색을 잘 해 주면 그 약점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문화 이야기 >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G] MG XXXG-01W Wing Gundam Ver.Ka  (0) 2011.11.11
[MG090] GAT-X105 Strike Gundam + I.W.S.P  (0) 2011.10.01
[MG] RX-78-5 Gundam G05 EFSF Ver.  (0) 2011.08.21
[HGUC] RX 121-1 GUNDAM TR-1  (0) 2011.07.03
[BB] Force Impulse Gundam  (3) 2011.06.18
한 때 자동차 튜닝에 푹 빠져 살더니 이제는 건프라에 빠져 산다. 뭘 하건 이왕이면 최상품을 구입하고 준비도 철저하게 하자는 주의여서 각종 공구 준비도 만만치 않았는데 키트 역시 MG급으로 결정을 하고 나니 하나하나 따지면 그렇게 큰 비용은 아니지만 어느새 눈덩이처럼 금액이 늘어간다.

그래도 다른 취미(사진같은 것)에 비하면 비교적 저렴하다는 게 위안이라면 위안이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니 흥미를 가지고 즐길 취미라는 것은 대부분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독서가 취미라고 해서 비용이 안 든다고 생각하면 그것도 오해 중의 하나다. 고서나 희귀본 서적을 찾아다니다 보면 사진은 저리가라할 정도니..

과유불급이라는 성어가 있듯이 뭐든지 지나치면 좋지 않다. 그리고 이것을 잘 알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것은 일종의 병이 아닐까?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 마음은 알 수가 없다  (2) 2007.10.16
그리움  (2) 2007.10.02
마이너스는 마이너스를 부르고  (2) 2007.09.20
7년만의 전화 그리고...  (4) 2007.09.17
추한 스캔들을 즐기는 것일까?  (2) 2007.09.13

내 취미라고 하는 것은 가만히 보면 다른 이들에게는 황당한 것이거나 쉽게 접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사진의 경우 지금이야 너도 나도 디지털 카메라 하나쯤은 가지고 있었지만 20년 전에는 카메라라는 것이 사실 흔한 것도 아니었으니 당시로 보면 꽤나 특이한 취미였던 것같다.

자동차의 경우 보통 자동차 동호회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종종 있지만 자신의 차량을 튜닝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역시 이런 면에서 내 자동차 손대기는 보통 사람들에게 꽤나 이해하기 힘든 취미로 보여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요즘 들어 손을 대고 있는 모델링의 경우는 좀 극단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데 주제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건담(애초에 이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는 그나마 다행이다)이다보니 나이 먹고 조립식 장난감이나 만들고 앉아 있다는 소리를 100이면 98 정도의 비율로 듣는다.

희안하게도 내가 무엇에 마음을 붙여볼만한 하면 다른 사람들과는 쉽게 어울리지가 않는다. 이것이 천성적으로 내 성격이 보편적이 아닌 특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인지..아니면 내가 하는 그 무엇에 대해 다른 이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 편협한 것인지 딱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한 가지 말하자면 "해 보지도 않고 평가를 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는 점이다.

그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의 잣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평가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내가 그것을 해보았는데 그다지 좋은 것이 없더라"는 식의 충고는 오히려 감사한 일이지만 정작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그런 걸 어떻게 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보면 꽤나 편견에 빠지기 쉬운 사람이라는 인상만을 내게 던질 뿐이다.

물론 세상이라는 것이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고 둥글둥글 살아가는 것이지만 개성조차 몰각되어 가면서까지 둥글둥글 살아가는 것은 세월에 묻어가기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아닐까? 자기만의 색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것이고 비록 그 색이 타인과 때로는 어울리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는 자기만의 고유함을 가질 필요는 있는 것이다.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년만의 전화 그리고...  (4) 2007.09.17
추한 스캔들을 즐기는 것일까?  (2) 2007.09.13
혼자라고 느끼면  (0) 2007.07.24
화 내는 쇼핑몰과 머리 숙인 우체국  (38) 2007.06.28
오늘의 운세와 평생배필운  (2) 2007.06.22

“취미가 뭐에요?” 라는 질문에 ‘독서’라고 대답하는 것은 진부하다는 말이 있지만 취미를 <틈나는 시간에 즐기는 그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면 내 취미는 사진과 독서다. 이렇게 적어놓고 보면 이력서에 쓰는 전형적인 패턴같기도 하고 가장 만만한 것을 고른 것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는 없지만 엄연한 사실이니 부정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책을 좋아하게 된 것은 순전히 부모님 덕분이다. 어려서부터 무슨 날만 되면 부모님은 내게 ‘책’을 주셨다. 일단 당신들께서 책을 워낙 좋아하시는 데다가 가풍이라고까지 하기는 그렇지만 독서와 클래식 속에서 자란 덕분에 나이가 들어서도 책을 손에서 놓는 일은 거의 없게 됐다.

내 책 읽는 습관은 조금 독특한데 일단 한 권의 책을 집어 들면 내용의 이해여부에 관계없이 죽 읽어 나간다. 그 다음에 어느 정도 시간 차이를 두고 다시 그 책을 읽는다. 물론 다시 읽을 때에는 정독을 한다. 그러면 처음에 빠르게 읽으며 지나쳤던 내용들이 하나 둘 구색을 맞추기 시작한다.

그러고 나서 한참 후에 (기간은 정해져있지 않다) 그 책을 다시 읽는다. 보통 한 권의 책을 세 번 정도 읽는 게 내 독서습관이다. 그 다음에 그 책을 다시 잡게 되면 맨 앞장서부터 읽는 것이 아니라 아무 곳이건 펼쳐진 부분부터 읽는다.

물론 이렇게 책을 읽기에 적당하지 않은 장르도 있다. 추리소설이 바로 그런 류인데 기대를 하고 극장 앞에서 시간만 기다리고 있는 데 누군가 뒤에서 “범인은 심은하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모양이라 조금 난감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결론을 알고 읽게 되면 작가의 논리적 틀이 얼마나 완벽한 지를 따져볼 수 있는 시간이 되니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니다. 즉 나 같은 독자들이 많을수록 작가들은 고민을 많이 해야 하는 셈이다.

각설하고 책을 읽다보면 당연히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생긴다. 여러 번 곱씹어도 보고 다른 서적을 참고해도 이해가 잘 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저자의 말 혹은 역자의 말을 읽는 것이다. 아무래도 저자가 아닌 이상 저자의 의도를 완전히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이니 이런 방법을 사용해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지금까지 읽어 온 책들 중에서 아직도 벽을 넘지 못하는 책들이 있느냐?” 고 누군가 물었는데 대답은 “당연히 많다” 책에 관한 한 잡식성인 성격 탓에 전문적인 지식을 파고들어가는 책들은 역시나 어렵다. 또한 문학작품이라도 그 의미를 잡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런 책들을 골라보면 헤르만 헤세의 ‘유리알유희(Glasperlenspiel)’가 가장 먼저 꼽힌다. 가장 좋아하는 작가 1순위로 꼽는 헤세의 대표작 중의 대표작을 아직도 벽으로 느끼고 있으니 난감한 일이다. 그 다음은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다. 니체 철학에 자극원이 된 이 책은 몇 차례 인내를 가지고 시도를 해봤지만 여전히 벽으로 남아 있다.

오늘부터 다시 읽는 책은 푸코의 ‘광기의 역사(Histoire de la folie l’ ge classique)’다. 이 책 역시 과거에 실패(?)의 전력이 있는 책으로 ‘이번에는 반드시’라고 마음을 다잡고는 있지만 언어의 마술사라 불러도 부족한 푸코 특유의 문장 덕분에 아침 지하철 내내 인상만 쓰고 온 것 같다.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리? 플래너?  (8) 2006.11.1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3) 2006.11.06
Free Hugs  (4) 2006.10.11
좋은 회사의 기준은 무엇일까?  (9) 2006.10.10
또 한 번의 선택의 시간  (3) 2006.09.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