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접하는 따뜻한 느낌의 책이다. 글만 떼어놓아도 수필집으로 적당하고 사진만 떼어놓아도 사진집으로 적당하다. 적당한 글과 사진이 책장을 쉬이 넘기게 해 주는 책이다. 

인도라는 곳은 우리에게 어쩌면 막연한 동경의 대상인지도 모르겠다. 인도의 삶과 철학을 주제로 한 여러 미디어들이 있어서겠지만 한 번쯤은 가 보고 싶다고 느끼는 장소가 아닐까 싶다.

사진작가 고빈이 부러운 점은 무엇보다 인도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는 점 그리고 그네들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사각의 공간에 담을 수 있었다는 점이다. 사진이 참 편안한 느낌인데 주로 아이들 사진이 많다. 아이들은 꾸밈이 없다. 좋으면 좋고 싫으면 싫다. 그 모습이 인간의 아니 모든 생명체의 본연의 모습인데 그 모습을 참 예쁘게 담아내고 있다.


사진은 그 사진을 찍는 순간 완성된다. 내가 사진에 대한 의견을 바꾼 것인데 이 문장을 읽고 나와는 다른 의견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지만 결국은 같은 말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마치 과거의 기억을 찍듯이 현재를 찍는다. 과거에 대한 집착과 미련을 셔터버튼을 누르는 순간 날려 버리는 것이다. 작가의 개인사를 알 길은 없지만 작가 역시 삶에 대한 나름대로의 많은 고민과 여정이 있지 않았나 싶다. 


책의 구성은 괜찮다. 조금 긴 산문(작가의 여행기)을 처음에 싣고 페이지마다 작은 제목과 짧은 글 그리고 사진을 담고 있다. 딱히 처음부터 읽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아무 페이지나 넘겨 보아도 좋을 그런 구성인데 이점이 꽤나 마음에 든다.

작가의 글이 죽죽 늘어지지 않고 짧고 간결하게 전달하고 싶은 말만 적고 있는 점도 강한 인상을 준다. 사진에 대한 설명은 너무 많으면 오히려 독자들에게 해가 된다. 기행문 부분의 글은 조금 아쉬운 데 뭐랄까..작가만의 고유한 여행에 대한 느낌의 기록이라기보다는 과거의 어느 작가의 문체를 따온 듯한 느낌이 들었다. 시간이 지나면 자기만의 색이 담긴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다.


책장을 넘기며 그리고 마지막 장을 덮으며 역시 인도는 언젠가는 가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을 보니 작가의 생각이 전달이 잘 된 것 같다. 물론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을 찾아가보는 것도 그리고 그곳에서도 충분히 이런 글과 사진을 담을 수 있겠지만 지금의 삶의 터전이 되는 공간과는 전혀 다른 곳으로의 여행이 그래도 좀 더 매력적이다.

종이가 잉크를 잘 먹는 탓에 사진들이 전반적으로 어둡게 나온 점은 아쉬웠다. 작가의 느낌을 담은 사진을 좀 더 독자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었을텐데..라는 아쉬움..그럼에도 종이에서 뿜어져 나오는 특유의 냄새는 마음을 편하게 해 준다.  디지털이 결코 따라올 수 없는 아날로그만의 휴식 같은 느낌..바로 그 느낌이다.

밝게 웃는 아이들과 동물들의 모습 그걸로 충분했다.



저는 건강한 리뷰문화를 만들기 위한 그린리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잉크는 일단 자부심이 대단해보입니다. 블랙이라는 문구도 없이 'carbon' 이 한 단어뿐입니다.



전반적인 잉크의 느낌은 점성이 제법 높습니다. 잉크가 번지지 않고 한곳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Brause 361입니다. 워낙 많이 써서 닙이 다 닳았네요. 수명이 그리 길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잉크의 색을 보세요.



제가 사용해 본 검정 잉크 중에서 이렇게 진하게 나오는 잉크는 처음이네요. 글은 햄릿이 자기를 버린 것을 탓하는 오필리어에게 하는 대사 중의 한 부분입니다. 원래 자기 성질이 그 모양이라 당신을 사랑한 적이 없다고 하는군요..


몽블랑이 잉크 흐름이 좋은 덕에 빡빡한 카본도 이어 쓰는데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만 굵기 적응이 안 되어서 들쑥날쑥합니다. 세필 펜에 카본을 넣었더라면 자연스러운 이어쓰기는 어렵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까렌다쉬 잉크는 세 병이 있는데 가장 놀란 잉크는 이 카본입니다. 물론 블루 스카이의 경우도 상당한 진함을 보여주긴 했지만 이 잉크만은 못합니다. 진하기로 말하면 정말 최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진한 검정으로 유명한 오로라는 이 잉크에 비하면 흐릿한 수준이고 몽블랑이나 파커 퀸크는 물 빠진 검정 수준이 되어 버립니다.. 아직 누들러 잉크는 써보지 않아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카본을 따라오기는 어렵지 않을까..추측만 해봅니다.

까렌다쉬 잉크가 상당한 퀄리티를 보임에도 역시 높은 가격과 30ml라는 적은 양은 쓰는 이에게 제법 부담을 줍니다. 그럼에도 종이 위에 표현되는 색을 보고 있자면 그 비용이 크게 아쉽지는 않을 듯합니다. 또 무척이나 무거운 잉크병은 문진으로 쓰기에도 아주 좋습니다.


전에도 만년필에 대한 이야기를 적은 적이 있지만 난 펜을 무척이나 좋아한다. 그렇다고 대단한 명필은 아니지만 펜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왠지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뭐랄까 좀 더 정리가 잘 되는 느낌이다. 아마도 e-book으로 책을 읽는 것보다 종이책을 읽는 것이 더 눈에 잘 들어오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닐까


기존에 사용 중인 만년필은 일상에서 메모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펠리컨의 M150과 플래너에 작은 글씨를 기록하기 위한 세일러의 프로핏이다. 아버지가 주신 파커 제품은 쓰지는 않고 보관만 하고 있다. 역시 만년필하면 아마 파커가 가장 먼저 생각나기 쉬운데 그런 면에서 보면 펠리컨이나 세일러는 조금 낯선 브랜드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만년필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꽤나 친숙한 이름이다.

그리고 3번째 만년필은 좀 더 이름이 낯선 비스콘티다. 소위 조금 잘 나가는(?) 만년필이라면 몽블랑이나 (그라폰)파버카스텔, 오로라 등을 떠올리는 분들도 계실텐데 비스콘티는 여전히 낯선 이름이다. 하지만 이 메이커도 만년필에 관심이 좀 있다면 꽤나 낯익은 이름이 아닐까 싶다. 비스콘티의 특징은 본체의 재질인데 셀룰로이드를 사용하고 있다. 만년필을 식물성으로 만들다니? 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그만큼 처음 잡았을 때의 그립감이 부드럽다.

내가 구입한 제품은 비스콘티의 여러 제품 중에 가장 저렴한(?) 반 고호 미디 모델이다. 색상은 바닐라 색으로 만년필이라면 검정을 고집하는 분들에게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비스콘티의 경우 모든 제품이 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같은 색상을 택하더라도 100% 같은 제품은 없는 것도 특징이다.

무게는 캡이 상당히 무겁고 전체적으로 무게 중심이 펜촉이 있는 앞쪽으로 쏠려있다. 극히 가벼웠던 M150이나 프로핏에 비하면 육중한 느낌도 든다. 필기감은 역시 명불허전인데 금촉의 경우 스틸촉에 비해 종이면에 닿는 소리가 거의 없다. 스틸촉이 사각사각하는 느낌이라면 금촉은 스윽스윽하는 느낌이다.

다만 잉크는 비스콘티의 제품은 나랑은 조금 안 맞는 듯하다. 하긴 기존의 잉크도 어느 정도 말려서(?) 쓰는 스타일이니 묽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잉크는 역시 세일러 잉크와 몽블랑 잉크인데 일단 비스콘티 잉크에 적응을 해 보는 것도 나쁘진 않은 것 같다.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만년필을 쓴다는 것이 첨단과는 거리가 먼 일일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인간적인 느낌을 스스로 받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 아닐까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