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당 스님은 트위터에서 먼저 알게 되었다. 虛虛堂이라는 법명에는 비운다는 의미가 크다. 언젠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스님은 "내가 찾는다고 해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비워버리면 스스로 찾아온다"라는 것을 깨달았다 했다. 그래서 허허당이다. 비움으로써 아픔을 위로할 수 있는 것이 스님만의 특기(?)인지도 모르겠다.

(스님에게 예의는 아니지만) 스님의 외모를 보면 부드러움과는 거리가 멀어보인다. 스님이 아니라면 제법 무서운 인상일 수도 있겠다 싶다. 실제로 스님의 글들은 매섭다. 그리고 강하다. 나약해지고 약해지는 마음에 꾸중을 하는 듯 하다. 처음 스님이 올리는 글들을 읽을 때는 아팠다. 남의 속도 모르고 저렇게 강하게 이야기를 할까 싶었다. 하지만 스님이 옳았다. 무조건 감싸주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다.

머물지 마라.. 상처에 머물지 마라고 스님은 이야기한다. 그러고보면 살아가는동안 얼마나 오래 지난 상처에 머물기만 했는가 돌아보게 된다. 머물고 있음으로 인해 상처가 아물지 않았다. 떠나 있어야 상처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될 텐데 그 상처에 자리를 잡고 머물고 있으니 상처가 아물 틈이 없다. 조금 아물라 치면 또 상처를 들여다보고 '아직도 낫지 않았네..'라고 푸념을 해 왔다. 상처는 내가 더 키워갔던 셈이다.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책 속에 담긴 글들은 어쩌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들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마치 처음 듣는 것처럼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는 것은 역시 글을 쓰는 이의 마음이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같은 글도 누가 어떤 마음에서 우러나 쓰느냐에 따라 읽는 이에게는 천지차이로 다가온다. 내가 느낀 스님의 마음은 '안타까움'이다. 늘 주저주저하며 놓지 못 하고 하루하루 버티듯 살아가는 우리네 삶에 대한 안타까움...

변함이란 삶을 지탱해가도록 도와주는 지렛대같은 역할을 한다.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면 살아가는 의미를 찾을 수는 없다. 무엇이든 달라지기에 오늘을 살며 내일을 꿈꿀 수 있다. 비록 다가오는 내일이 오늘보다 나은 하루가 아니더라도 나에게는 늘 새로운 삶이기에 살아볼만한 것이 아닐까.

책에는 빈 공간이 많다. 짧막한 글에 커다란 그림 그리고 넓은 공간이 함께 하고 있다. 그 빈 공간은 읽는 이가 채워넣어야 한다. 그것이 스님이 던지는 또 하나의 메시지인지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내게는 그렇게 보인다. 스님이 던진 이야기와 그림을 읽고 보고.. 내가 그 이야기와 그림에 대한 답을 적어 나가면 이책은 나만의 책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스님은 그림을 배운 적이 없단다. 그래도 스님은 그림을 잘 그린다. 잘 그린다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보다 나은 표현을 찾기는 힘들다. 스님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진다. 위안이 된다는 말이 적당하지 싶다. 그림의 대부분은 상반신을 담고 있고 그중에서도 얼굴이다. 얼굴에는 사람의 모든 것이 드러난다. 오욕칠정의 감정이 모두 담겨 있는 것이 얼굴이다. 스님의 그림은 이곳에 가면 더 많이 볼 수 있다.

문득 나는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나로 인해 다른 이들이 행복할 수 있는 얼굴일까? 아니면 나로 인해 다른 이들이 불행해지는 얼굴일까? 얼굴은 하루에도 수 만 번 변한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감정들이 고스란히 얼굴에 담겨 밖으로 퍼져 나간다. 표정은 마치 냄새와 같아서 기쁜 얼굴에 담긴 행복이건 슬픈 얼굴에 담긴 불행이건 바로 다른 이들에게 옮겨가 버린다. 얼굴은 그렇게 삶의 향기를 내뿜는 법이다. 오랜만에 마음이 차분해지는 책을 읽었다. 며칠 어느 산사에 들어가 생활을 하다 나온 느낌이다. 

책은 그리 두껍지 않다. 종이 냄새가 물씬 난다. 아마 글 내용이나 그림이 그런 느낌을 더해 주는지도 모르겠다. 굳이 앞부분부터 읽을 필요도 없다. 마음 가는대로 아무 곳이나 펼쳐 읽으면 된다. 이 또한 이책이 가진 매력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