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작을 읽을 때는 굉장한 전율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톨스토이나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을 읽게 되면 보통 그런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번에 읽게 된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를 그 전율의 서책 목록에 덧붙인다. 프랑스 대혁명이라는 인류 역사상 가장 중대한 격변기를 다루고 있는 이 소설은 겉으로 드러난 혁명의 충격만큼이나 인간의 내면을 철자하게 파고 들어 있어 사실 읽기가 쉽지만은 않은 책이다.

사실 우리에겐 조금 낯선 이책이  -물론 방대한 독서량을 자랑하는 분들에게는 실례가 되겠지만- 우리에게 친근한 느낌으로 다가선 것은 크리스토퍼 놀란이 다크나이트라이즈의 일부 장면을 이책의 내용을 모티브 삼아 만들었다고 밝힌데서 비롯된다.프랑스 혁명과 배트맨이라니? 그게 대체 무슨 관계지? 한발 더 나아가 책의 결말부분에 이르러서는 그리스도교의 예수의 모습마저 볼 수 있다. 아마 내가 잡아낸 부분보다 더 많은 관계들이 이책에는 들어있을 것이다. 한번의 독서로 모든 것을 느낄 수는 없다. 적어도 두세 번은 곱씹어 읽어볼 책이다.

아래 사진은 이책의 초판본인데 영문 제목을 들여다보자. 'Tales'라고 써도 되지만 디킨스는 'A Tale'을 택했다. 작가의 의도는 이 모든 이야기가 한편의 이야기라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책은 하나의 이야기만 담고 있지는 않은데 여러 이야기들이 결국은 하나로 모이고 그것이 디킨스가 바랐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난 여전히 각각의(Each)라는 단어가 이책에 좀 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도저히 하나의 이야기로만 읽고 넘기기에는 아까운 까닭이다. 그렇다면... 왜 차라리 'The'를 붙이지는 않았을까? 두고 생각해볼 일이다.

펭귄클래식에서 출간된 이책은 주석까지 합쳐 588면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어서 처음 책을 집어들고나면 '이책을 언제 다 읽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지만 책장을 넘기다보면 어느새 프랑스 혁명 당시의 런던의 어느 길거리를 걷고 파리의 어느 선술집에 앉아 있는 듯한 느낌이 들고 그 분위기에 흠뻑 취해있다보면 마지막장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고전 특히 명작이 주는 감동이란 대개 그런 것이어서 현대 문학 작품들이 좀처럼 줄 수 없는 일종의 은총에 가까운 매력이다.

혁명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기본으로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인 명예, 사랑, 재물 등에 대한 끊임없는 욕망과 갈등이 휘몰아친다. 물론 책이 씌여진 시기를 생각하고 디킨스의 장황한 어투를 생각하면 쉽게 쉽게 문장이 읽어지지는 않지만 그 안에 펼쳐진 방대한 서사시를 읽어나가다보면 그런 부수적인 어려움이 오히려 반갑기까지 하다. 

이책의 주제는 사실 독자가 선택하기 나름이라고 생각된다. 목숨을 내줄만큼 숭고한 혹은 무의미할 수도 있는 '사랑'일까? 시대의 풍파 속에서 갈등하고 충돌하는 '계급'일까? 아니면 그 모든 것을 끌어안는 "욕망"일까? 어느 주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줄거리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는 것이 이책만이 가지고 있는 큰 특징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그 주제들만 따로 끌어내어 연결을 시켜도 훌륭한 한권의 책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책의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Recalled to Life"

Water

Darkness and light

Social justice


책을 읽어가다보면 책의 문체가 희곡에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실제로 두 도시 이야기는 지컬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외국에서는 6편의 영화와 한편의 TV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국내에서 구해볼 방법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이야기는 런던에서 파리로 이동하며 시작되고 결국 파리에서 런던으로 돌아오며 끝이 난다. 런던파리라는 두 도시에서 우리는 마치 흑 아니면 백과도 같은 극단적인 상황들에 직면하게 되고 그 극단이 부딪혀 서로를 파괴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참 아이러니하게도 양 극단의 종말은 '너무나도 비슷함'으로 마무리된다. 아마 이 소설만큼 극단적으로 인간의 감정의 대립을 묘사한 소설은 많지 않을 듯하다. 복수와 용서, 미움과 사랑이라는 이 양극단의 감정은 최종장에 이르러 마치 예수의 순교와 같은 대속으로 마무리된다.

이 소설의 주해를 달고 있는 리처드 맥스웰은 이 양극단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 지혜의 시대이자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이자 의심이 세기였으며, 빛의 계절이자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면서 곧 절망의 겨울이었다." 그리고 이 양극단은 파리와 런던이라는 두 도시에서 처절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사실은 파리가 곧 런던이고 런던이 곧 파리였던 셈이다. 세상 어느 곳에서건 인간의 이런 모습은 다르지 않음이고 또한 그 해결 방법 역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디킨스는 이야기하고 싶었던지도 모를 일이다.

디킨스는 여느 작가와는 달리 '소외'에 초점을 둔 작가였다. 혁명이라는 세상이 소용돌이치는 그 와중에도 귀족이나 혁명 세력이 아닌 소시민들 그것도 철저하게 바닥으로 내동댕이 쳐진 나약한 소시민들의 삶에 집중한다. 이점에서는 우리는 까뮈를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역사를 이야기할 때 그 역사의 중심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보통 관심을 둔다. 어느 왕이 어떠했고 어느 수상이 어떠했고 혹은 어느 신하가 어떠했고는 자세하게 다루지만 정작 그들의 지배하에 있었던 대다수의 사람들 -즉 우리들- 에 대해서는 좀처럼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지배자는 수가 적고 피지배자는 수가 많아 일일히 이름을 언급하기 어렵다는 식의 이론은 철저하게 권력과 힘에 기댄 역사서술일 뿐이다. 그럼에도 이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사실 중요한 것은 '어느 왕'이 아니라 '갑돌이와 갑순이'인데 우리는 갑돌이와 갑순이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래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안타까운 노릇이다. 디킨스는 바로 그 '우리'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 그래서 그 내용이 처절하고 진솔하고 때로는 뼈에 사무치기까지 한다.

소설의 마지막에 예수의 모습으로 죽어간 주인공의 모습은 어떤 이들에게는 한없이 나약한 모습으로 비칠지도 모르겠다. 사랑하는 이를 위해 죽는다는 어쩌면 정말 소설에서나 있음직한 이야기가 등장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디킨스는 그 죽음.. 예수의 대속(Redemption of Christ)과도 같은 그 죽음을 결코 값싸게 다루고 있지 않다. 숭고한 죽음이란 아주 평범한 사람에게도 가능한 것이라는 점. 이점은 그의 마지막 말에서 등장하는데 바로 다크나이트인 웨인이 그의 유언장에 적은 그 내용이다.

'I see a beautiful city and the the brilliant people rising from this abyss. I see the lives, for which I lay down my life. Peaceful, useful, prosperous and happy. I see that I hold a sanctuary in their hearts And in the hearts of their decedents. Generations ends. That's the far, far better thing that I do...than I had ever done. and It's a far, far better rest that I go to...'

두 도시 이야기는 이렇게 끝이 난다.

"...내가 지금 하려는 행위는 지금까지 해온 어떤 행동보다 훨씬 더 숭고하다. 지금 내가 가려는 길은 지금까지 걸었던 어느 길보다 훨씬 평안한 길이리라"

앞서 마지막 장에 한참을 머물게 된다고 적었는데 실제로 그렇다. 사실 책의 줄거리나 내용을 인용하지 않는 것이 내 서평의 원칙이라면 원칙인데 이 마지막 문장을 적지 않고서는 이책이 주는 강렬한 느낌을 옮겨오기 어려울 것같아 적어본다. 

결국 중요한 것은 각자의 개인의 삶이다. 그 삶에는 귀하거나 천한 것이 있을 수 없고 누구도 인간이라는 존재인 이상 고귀하고 가치가 있는 것이다.

--------


다음뷰와 반디앤루니스에서 선정하는 금주의 리뷰에 선정되었네요. 감사드립니다. (__)




이제 극장에서 내려갈 때가 다 되어서 그런지 극장 안에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간간히 연인들이 보이고 홀로 온 몇몇의 사람들이 전부였다. 프로메테우스의 열풍이 한 번 세차게 휩쓸고 지나갔지만 내가 이 영화에 대해 알고 있던 점은 리들리 스콧과 에일리언 뿐이었다. 영화를 보러가기 전에 영화에 대한 정보와 토론들을 미리 읽지 않은 것은 감독 이름과 에일리언이라는 두 단어만으로도 제법 많은 편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도 역시 고정관념을 떨칠 수는 없었고 리들리 스콧이라는 이름으로 인해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장면장면이 대체 무슨 의미인가 심각하게 고민을 할 수밖에 없었다. '저 장면은 왜 등장했을까?' 이런 생각이 영화를 보는 것을 상당히 방해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흐름은 놓치지 않으려 애를 썼다.

리들리 스콧의 영화는 제목에 주제가 함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인류에게 불을 선사한 대가를 치러야 했던(혹은 아직도 치르고 있을) 프로메테우스라는 제목은 왜 지어진 것일까. 그리고 위에 보이는 영화 포스터 중간에 써 있는 다분히 중의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저 문장이 이 영화의 주제일까?

결론적으로 어떠한 해답도 영화를 보는 동안 찾아낼 수는 없었다. 리들리 스콧이 어떤 의도를 했건 해석은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이 영화에 대한 나만의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장면들을 다시 한 번 머릿속에서 되돌려 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깔려 있는 복선들이나 상징이 워낙 많아서 좀처럼 '이것은 이래서 이렇다'라는 판단을 내리기는 쉽지가 않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렇게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의 리들리 스콧의 작품들과의 단절이 필요했다. 그렇게 놓고 보면 적당한 킬링 타임용 SF물로 변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SF물로 보기에는 액션성(액션을 할만한 주인공도 없었다)이 우수한 것도 아니고 흔한 러브라인(일부러 끊어버리는 의도가 눈에 보일 정도)도 없다. 그래픽 기술이 좋긴 하지만 최대한 끌어올린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재미도 별로 없고 뚜렷한 주제도 없는 맹탕같은 영화였을까...

화면에 비춘 장면들만을 놓고 보면 첫장면과 마지막 장면이 이 영화의 전부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어느 존재인가가 인류를 만들어냈고 인류는 그 존재를 찾아나서게 된다는 것. 이것이면 충분했다. 우리 인간은 인류가 생긴 이래 이 질문을 해 왔고 미래에도 여전히 유효할 질문. 철학과 과학에도 등장하고 신학이나 문학에도 등장하고 누구라도 한 번쯤 생각해봤을 '나는 누구이고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라는 질문이 이 영화의 주제라는 생각이다. 그러니 당연히 답이 나오지 않는다.

결국 누구나 다 아는 그리고 아무도 풀지 못 하는 질문을 하기 위해 리들리 스콧은 이 영화를 만든 셈이다. 그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는 블레이드 러너 역시 내 해석은 동일하다. 그렇기에 영화를 보고 나와도 뭔가 찜찜함을 지울 수 없었던 것이다. 풀리지 않을 의문을 다시 확인한 셈이었으니 말이다. 


우리네 삶은 뭔가 대단해보이지만 어느 누구의 삶도 자연의 순환법칙에서 예외일 수 없다. 언젠가 과학기술이 아주 발전해 순리를 거스르는 때가 오기는 하겠지만 적어도 이글을 쓰고 읽는 이들에게는 해당은 없겠지 싶다. 

인류의 역사는 우주 아니 지구의 역사에 비해서 보잘 것없이 짧고.. 인간의 삶이라 해도 고작 100년을 버티기조차 힘든데 우리네들은 그 짧은 시간동안 무엇을 그리고 욕망할까.. 특히 더 많이 가지고 싶은 욕망.. 

참 속물적이라 생각하면서도 그 누구도 이 욕망 앞에서 자유롭지는 않겠지 싶다.

그 대상이 물질적이건 정신적이건 인간은 무엇인가를 더 자신의 손 안에 넣고 싶어 한다. 손 안에 넣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될지언정 일단 손으로 그것을 잡아 내것으로 하고자 하는 욕망이 그 어느 생물보다 강하다. 

반면 자연은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다. 딱 균형이 유지될 정도만 바란다. 자연의 아주 작은 일부일 뿐인 인간은 왜 그리도 바라는 것이 많을까..

당장 나 스스로도 그 욕망에서 자유롭지 않다. 역시 정신적인 것이건 물질적인 것이건 말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솔로몬의 독백을 '당신은 다 가져봤으니 하는 말 아니오'라고 비난하며 '나도 일단 그렇게 가져보기라도 했으면 좋겠군요'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가진다는 것. 소유라는 것은 대체 무엇인지...

생각이 많은 것도 병이다. 생각 역시 소유하려는 욕망에서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생각조차 버리는.. 그런 연습을 해야 한다.


Nikon F5, AF-S Nikkor ED 17-35mm f/2.8D, LS-40, HDR Converted


이 사진은 제법 오래 전 재개발로 동네 전체가 허물어지던 어느 동네를 찾았을 때 찍은 사진이다. 이유야 어찌 되었건 삶의 기반을 두고 있던 집이 헐린다는 느낌은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그러나 그런 일들이 우리네 삶 속에서 제법 적지 않게 일어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공간이 허물어지는 것.. 그것은 물리적인 공간일 수도 혹은 정신적인 공간일 수도 있다.

당시 나는 이 사진을 찍을 때 그리고 그 동네를 걸으며 그 사람들이 혹은 그 동네가 안쓰럽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뒤돌아 생각해보니 얼마나 나의 오만스러움과 착각이 당시의 나를 감싸고 있었는지 부끄러움에 얼굴이 화끈거려 온다. 흔히 재개발 지역, 혹은 공사장의 인부들의 모습, 시장의 상인 등을 프레임에 담으며 삶의 모습을 느끼고 싶다곤 하지만 그것은 사진을 찍는 이의 교만스러움 외에 다른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네들의 삶 속에 직접 들어가 오욕칠정의 모든 감정을 함께 겪지 않고서 어느 날 카메라 하나 달랑 매고 그 동네를 한 번 휙 둘러보고 그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 소리인가...

사진가는 겸손해야 하고 피사체와 공감할 수 있어야 하는데 어린 시절의 내 사진..그리고 지금의 내 사진 역시 피사체와 너무나 동떨어진 그런 먼 거리의 사진들이 대부분이다. 파인더 안을 들여다봤을 때 그런 감정이 느껴진다면 카메라를 내려놓고 한 발 더 다가설 필요가 있다.


Contax Aria, Distagon 35mm f/2.8, LS-40 필름 스캔



마르크스..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의 어떤 시기에는 금기시되는 이름이었다. 막스 베버도 오해를 사곤 했었던 시절이니 칼 마르크스라는 이름은 아무래도 조심스러운 그러나 한편에서는 호기심의 대상인 양면성을 가진 그런 존재였다. 대학 시절 김수행 선생의 자본론을 들고 다니며 폼을 잡았지만 정작 그안에 담긴 내용들은 거의 소화해내지 못했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 지금 류동민 교수의 마르크스을 만나게 되었다.

이책은 마르크스의 저작은 아니다. 정치경제학 교수인 저자가 마르크스 철학을 이 시대의 상황에 대입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책이다. 쉽게 풀어쓴 책이지만 마르크스 철학의 큰 틀을 가능한 많이 담고자 노력을 한 까닭에 쉽게 읽히지는 않는다. 아니 글자글자를 읽어가는 동안 제법 오랜 생각을 해야한다는 표현이 옳을 것 같다.

류동민 교수는 마르크스 철학을 사랑과 희망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마르크스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다. 아마도 시대적인 흐름에 의해 마르크스가 왜곡된 탓이리라. 류 교수는 마르크스 철학과 오늘날 우리나라의 현실을 연결지어 이야기를 풀어간다. 그래서인지 공감되는 부분이 많고 이해가 조금 쉬워진다. 마르크스와 시대 모두를 이해하지 않고는 쓰기 어려운 작업을 담담히 이어가고 있다.

류 교수가 사랑과 희망을 마르크스에 대입한 이유. 그것이 이책의 주제다. 책의 마지막장을 덮을 때 독자 스스로 그 해답을 어렴풋하게나마 깨닫는다면 필자의 노고는 위로받을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어려울 것 같지만 천천히 그리고 꼼꼼하게 문장을 읽어가다보면 '왜'라는 처음의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책을 읽기전 우선 제목을 들여다봤다. "마르크스가 내게 아프냐고 물었다" 아프다...아프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 아픔은 사람마다 느끼는 것이 다르고 그 원인 역시 제각각일테다. 실연이 원인일 수도 있고 경제적인 것이 원인을 수도 있고 세태가 혹은 정치하는 모양새가..등등 나를 둘러 싼 모든 것들이 나를 아프게 하는 원인일 수 있다. 

류 교수는 이런 원인들 그리고 그 해결책을 마르크스로부터 찾는다. 그리고 참 신기하게도 우리를 아프게 한 많은 원인들이 마르크스의 언어로 풀이가 되어 가는 것을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느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체제의 바깥에서 체제를 전체로서 비판하는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견해를 바탕으로 관계성을 끌어 내고 연인들의 관계로 이어간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은 서로의 사람이라는 관계 속에서만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그 사랑이 갖는 진정한 한계를 깨닫지 못합니다'라고 류 교수는 풀어 간다. 그리고 그 관계의 바깥에서 그 체계를 성찰할 때 그 사랑의 한계를 깨닫게 된다고 설명 한다. 책 전체가 대개 이런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어 마르크스 철학의 딱딱함과 인간적인 부분들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저자가 서두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책은 인간의 개인적인 소외에서 출발하여 사회적인 관계로 그리고 그 사회적인 관계에서 규정되는 개인으로 돌아오는 흐름을 타고 있다. 그리고 그 관점은 비록 마르크스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과는 다를지 몰라도 마르크스를 이해하는데는 더없이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동안 마르크스라는 이름만 들어도 고개를 저었다면 류 교수가 이끄는 여행에 참가해보자. 조금은 친근해진 마르크스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니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