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 한자로 '無情'이다. 뜻풀이를 보자면 '남의 사정에 아랑곳하지 않음.' 이라는 의미가 있다.

다른 표현을 빌려보자면 '삭막'이라는 단어가 이 '무정'과 일맥상통한다.

요즘의 우리네 삶이 정이 없고 삭막해진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디지털'이 미친 영향이 압도적이지 않을까. '편리'를 위해 끝을 모르고 발전하고 있는 기술의 뾰족함에 아날로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몸과 마음이 이리저리 찟기고 있는 모습이다. 집 밖으로 나가 몇 걸음만 걸으면 고개를 푹 숙인 채 스마트폰 속의 세상에 빠져 있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모습들이 더 이상 어색하거나 낯설지 않다

스스로 세상과 벽을 만들어 가고 있는 셈이다. 누구도 스마트폰 속에 빠져들라고 강요한 적이 없는데도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다들 거북목이 되어 거리를 떠 돈다. 디지털이라는 거창해보이는 단어에 빠진 유령들이 거리를 가득 메우고 있다.

'영화일 뿐이지'라며 가볍게 넘겨버린 데몰리션맨의 세계가 현실 속에서 벌어질 날도 얼마 남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두려운 것은 그런 세상이 바로 눈 앞의 현실로 펼쳐져도 우리는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오랜만에 스캔한 필름들을 뒤적여본다. 한 장 한 장 마운트 되어 박스 안에 들어있는 아날로그 세상을 형광등에 비춰본다. 내개 남은 얼마되지 않는 슬라이드들은 그렇게 방 한 구석에서 먼지에 덮여 가고 있지만 난 이것들을 버릴 생각은 없다. 고장난 턴테이블 위에 낡은 LP판을 올려보는 어리석음일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름의 한복판으로 시계바늘이 움직인다. 가만히 있어도 등 뒤로 땀이 흐르는 계절이다. 

여름이니 어쩌겠어? 라고 생각하는 외에 달리 방법은 없어 보인다.

어제 서점에서 한참을 들여다본 실존주의 몇몇 문장이 여전히 두통을 불러오는 밤이다.

담배를 끊은 지 한 달이 되어 간다. 엄밀하게 말하면 연초를 끊은 것이지만...

2014년 여름은 이렇게 흘러간다.


Nikon F5, 135mm f/2 DC, Soft filter, LS-40



겨울은 내게 매년 어김없이 커다란 기억의 선물 보따리를 안겨 주곤 했다. 올 겨울은 아직 뭔가 크게 기억이 될만한 일은 없지만 1월과 2월이 남아 있으니 무슨 일이 일어날지 한편에서는 기대도 되고 한편에서는 불안한 마음도 없지는 않다. 겨울은 무채색의 계절이고 무채색과 어울리는 사진은 역시 흑백이다. 흑백사진은 언뜻 보면 색이 없는 것같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컬러사진보다 더 많은 빛의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디지털로 넘어오면서 흑백현상이라는 단어가 사라져버리고나서는 좀처럼 흑백 사진을 찍지 않게 되지만 그래도 역시 사진은 흑백..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분명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컬러인데 왜 흑백이 주는 느낌이 더 강할까 생각을 해본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흑백 사진을 찍을 때 좀 더 신경을 쓰는 것도 한 원인이 아닐까 한다. 흑백사진을 찍을 때는 소위 존 시스템을 머릿속에서 부지런히 계산해야 한다. 여기는 얼마고 저기는 얼마니 전체적으로 얼마나 나오겠다..이런 계산을 하고 구도를 잡고 조리개와 셔터 속도를 조절하고 하는 그 모든 과정이 순식간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사실 흑백 사진을 찍는 일은 꽤나 고된 작업이기도 하다. 


요즘이야 그냥 RAW모드로 차라락 찍어 버리고 집에 와서 컴퓨터로 수정을 하면 되니 예전의 그런 고됨이 없어 편리할지는 몰라도 왠지 사진에 영혼이 없는 느낌이 든다. 막말로 쨍하고 화려한 사진은 많지만 마음에 와 닿는 사진은 갈 수록 적어진다는 말이다. 사진을 마우스로 이리저리 클릭해서 만들어낸다는 게 여전히 어색하지만 이것도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면 받아들여야 할텐데 그게 쉽지가 않다. 

하지만 세상이 변화하고 있는데 계속 제자리에 앉아서 '디지털 세상은 반갑지 않아. 아날로그가 제일이야'라고 외쳐보아야 그저 과거에 집착하는 것일뿐이다.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아날로그를 찾아야 그것이 제대로 아날로그를 즐기는 법이다. 나는 여태 이런 생각은 하지 않고 변화된 세상이 낭만이 없네 하며 팔짱만 끼고 있었던 모양이다. 이래서는 그저 과거에 매여 사는 꼴밖에 되지 않는데도 말이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영혼이 있네 없네 하는 것도 같은 속좁음이다. 그래도 옛것이 좋아라고 하기보다 좋은 옛것을 요즘의 것과 어울리게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흑백 사진은 인화물을 받아 들고 그것을 바라보고 있으면 마음에 뭔가 쿵하고 내려 앉는 것들이 있다. 물론 이 모든 느낌들이 나 혼자만 느끼는 그런 것이라 해도 나는 그런 느낌이 좋다. 현상된 슬라이드를 라이트박스에 비추어 보는 일보다 흑백 사진이 인화된 인화지가 더 반가운 것이 내 사진 생활의 특징이라면 특징이었다. 지금도 방 한 구석에 가지런히 쌓여 있는 필름 보관함과 인화된 사진 앨범을 열어보면 그렇게 오래된 내 추억들이 하나 둘 현실처럼 느껴지곤 한다. 분명 2차원의 종이인데도 말이다.

디지털로 넘어온 지금도 흑백에 대한 미련은 여전하다. 하지만 아직 디지털 카메라로 적극적으로 흑백 사진을 만들어본 적은 없다. 다음에 카메라를 들고 나가면 온전히 흑백만으로 찍어볼 생각이다. '디지털이니 현상도 안 되고 아날로그의 느낌이 없어!' 라고 계속 이야기하는 것보다 그래도 이 녀석들을 가지고 이전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를 연구해보는 것이 더 낫기 때문이다. RAW모드에도 흑백 모드가 있다. 단순히 컬러 사진을 흑백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흑백으로 이미지를 잡아내는 것인데 아직 이 모드는 사용해본 적이 없다.

디지털로도 이전의 필름 카메라가 만들어낸 느낌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도구가 아니라 그 도구를 이용하는 사람이다. 만약 디지털 카메라를 들고 필름 카메라로 만들어냈던 그 느낌을 만들어낼 수 없다면 기계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내가 변한 것일 것이다. 과거가 아름답고 추억이 아름답다고 느끼면서 현재에는 그런 기억을 만들려 하지 않는 것 역시 내가 변한 것일뿐이다. 바라봐야 하는 것은 더 이상 지난 기억이 아니라 지금 눈을 뜨고 바라보는 오늘의 하늘이다.


Leica M6, Summicron 35mm f/2.0 asph, Ilford PanF, LS-40



나는 손글씨를 즐기는 편인데 아마 어려서 어머니께서 억지로(?) 글씨 연습을 시킨 것의 영향이 크지 않나 싶기도 하다. 아무튼 그런 이유인지는 몰라도 손으로 글을 쓰는 것에 별다른 거부감은 없고 오히려 가능하면 손으로 무언가 쓰는 경향이 있다. 얼마 전에 연필 관련 글을 쓰기도 했지만 사실 내가 가장 오래 써온 필기구는 만년필이다. 한때는 만년필 동호회에서 맹활약(?)을 하며 온갖 종류의 만년필을 두루 섭렵했었는데 결과적으로 내 손에 남아있는 만년필은 현재 2자루다. 몽블랑의 P146과 펠리칸의 M250 이 두 펜은 일기나 뭔가 심각한 글을 쓸 때 사용한다. 라미의 비스타도 있지만 이 펜은 일상용이랄까 그런 용도로 사용한다. 덧붙여 플래티넘의 1회용 만년필인 프레피도 있는데 이 만년필은 워낙 소모성이 강해서 별도로 분류하기는 애매하지 싶다.


펠리칸의 만년필은 참 종류가 많은데 역시 숫자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250이라는 말은 쉽게 말하면 200시리즈 중 하나라는 의미다. 이전에 M205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배럴(만년필의 몸통)과 캡 등에 크롬이나 백금(또는 은) 도금이 되어 있을 때 5을 뒤에 붙인다. M250은 펠리컨의 표준형 만년필로 생각하면 된다. 100시리즈도 있지만 성인 남성이 쓰기에는 조금 작은 편이고 200급으로 올라가면 길이가 어느 정도 적당하다 싶은 느낌이 든다. M200과 이 녀석의 차이는 촉이 금도금이냐의 여부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아쉽게도 M250은 이제 단종이 되었다고 한다.


펠리컨이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이 만년필을 만든 독일의 회사 이름이자 로고다. 시대에 따라 캡과 촉에 새겨지는 아기새의 모양과 숫자가 달라지는데 오래 전 모델의 경우 아기새가 두 마리고 요즘 모델은 한 마리다. M250의 경우 현재 단종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비교적 현대 모델인지라 한 마리의 아기새가 보인다. 이전에 꽤 오래 사용했던 M150은 새가 두 마리였다. 가끔 내 손에 익을대로 익은 그 녀석이 그리울 때가 있지만 요즘은 이 녀석에 정을 붙여보려고 노력 중이다. 아래 촉 사진을 자세히 보면 아기새가 두 마리 있는 게 보인다.


M250은 14K금도금이 되어 있는데 금도금 촉(닙)의 경우 부드러운 것이 장점이라 하지만 이것도 제품마다 워낙 편차가 커서 딱 어떻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촉 아래 적혀 있는 EF란 Extra Fine의 약자로 아주 얇다는 의미지만 유럽 제품들이 그렇듯이 아주 가늘지는 않다. 그래도 펠리컨 제품은 비교적 가는 편이고 한글이나 한자를 적기에 크게 어려움은 없다. 더 얇은 촉은 일본 제품인 세일러나 플래티넘 것이 있다. 금촉의 특징이라면 스테인리스 촉에 비해 서걱거리는 느낌이 적고 대신 미끄러지는 느낌이 강하다는 점이다. 사람마다 이 느낌에 대한 평가는 다르지만 종이에 펜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 더 좋은 내게 금촉은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


펠리컨의 만년필은 배럴 안에 잉크를 넣는 방식이다. 플런저 방식이라고 하는데 사람에 따라 편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촉 채로 잉크병에 담근 다음 잉크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남아 있는 잉크의 양은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약간 투명한 창을 통해 알 수 있다. 펠리컨 제품은 통상 다른 제품에 비해 잉크가 많이 들어가 고시용 만년필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러고보니 지금 내게 남은 만년필은 모두 이런 방식이다. 잉크를 넣기 위해 어느 정도 수고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녀석들인데 내게는 그것이 더 정겹다.

펠리컨이라는 이름은 클립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저 클립을 자세히 보면 눈도 달려 있다. 펠리컨의 머리 모양을 표현한 것인데 제조사별로 자신들이 내놓은 제품의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몽블랑의 하얀별처럼 펠리컨은 저 클립을 통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뭐랄까 저 모양이 그리 근사해보인다고는 말하기 어렵겠다. 이것도 사람 취향이기는 하지만...


내게 남은 두 개의 만년필이다. 왼쪽의 몽블랑은 촉이 화려하고 펠리컨은 수수하다. 두 펜 모두 이리듐(펜촉 끝부분을 구성하는 금속)도 쌩쌩하고 아마 죽기 전까지 써도 저 두 펜 모두 닳게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두 펜 모두 소장용이 아닌 순수한 필기용이다. 만년필을 소장하는 재미도 쏠쏠하다고 하지만 나는 글을 쓰는 재미가 더 쏠쏠하다. 두 촉 모두 EF지만 글을 써 보면 몽블랑이 펠리컨의 두 배 정도는 굵다. 

요즘은 전자문서가 보편화되어 만년필을 들고 결재란에 서명을 할 일도 없어졌다. 그런 면에서 만년필이 그나마 대중적으로 쓸모가 있던 시대도 지나가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필름 카메라가 이제는 골동품이 되어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가듯이 만년필도 이제는 필기구가 아닌 소장용 수집품 대열에 끼는 것 같아 아쉬운 느낌이다. 이 녀석들을 한참 보다가 방 구석에 놓여 있는 작은 박스를 열어본다. 작은 상자 하나를 가득 메우고 있는 잉크들과 노트들... 역시 난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인가보다.

어찌 되었건 이 두 펜은 남은 내 인생을 함께 할 펜들이다. 내 손에 온 지 이제 3년이 조금 지났으니 이전에 사용하던 M150의 세월을 채우려면 10년도 더 넘는 시간을 글을 써야 한다. 이 녀석들이 적어 나갈 앞으로의 나의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그리고 세월이 지나 빛바랜 잉크로 적혀 있는 그 글들을 다시 읽게 되는 날의 내 마음은 어떨까...

내년 정도에는 필름 카메라를 다시 들여볼까 생각을 해 본다. 사진에 가장 푹 빠져 지내던 시절 항상 내 손을 떠나지 않던 니콘의 F3와 F5를 다시 내곁에 두고 싶은 마음이다. 이젠 흑백필름이나 슬라이드를 현상해 주는 곳도 거의 없어졌지만...



경복궁을 자주 찾는 것은 고즈넉함과 그 안에서 느낄 수 있는 평화로움이 아닐까 싶다. 삶의 각박함 속에서 평화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은 참 다행스러운 일인데 각자 개인이 그 평화를 찾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도시적인 느낌이 적은 공간을 찾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 싶다.


꽤 오래 전..아마 10년은 더 된 필름 스캔이다. 디지털과 달리 필름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바란다. 아날로그란 그런 것이다. 수치화되어 0아니면 1, 이런 식으로 딱딱 끊어져서 변하는 것이 아니라 물흐르듯이 점점 퇴색되어 간다. 그것이 세월이고 시간과는 다른 흐름이다.


소위 쨍하고 또렷한 사진이야 얼마든지 만들 수 있지만 흐릿하고 원래 무슨 색이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사진은 오로지 세월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 물론 이것도 디지털 보정을 통해 가능하겠지만 자연스레 세월 속에 녹아난 감성과 감정을 숫자로 표현하는데는 분명 한계가 있지 싶다.

요즘은 연탄을 보기가 쉽지 않다. 내게 연탄은 뭐랄까 아날로그의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직접 불을 붙여줘야 하고 타 들어가는지 지켜봐줘야 한다.

까맣던 놈이 안간힘을 내 다 타고 나면 하얗게 질려버린다.

삶도 별반 다를 바 없지 않나...

불과 10년 전의 사진인데... 이젠 거리에서 이런 풍경을 보기가 쉽지 않다.

세상이 변하는 속도가 너무나 빠르다.

아날로그와 낡은 책장이 향에 취해 있기엔 말이다...

F3/T, MF 35mm f/1.4, LS40
 

 

'사진 이야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인사동 거리  (0) 2012.03.18
사랑..해 본 적 있어?  (4) 2012.02.09
8월, 고양이, 아르바이트  (0) 2011.08.04
신촌역  (0) 2011.06.12
철탑 뒤로 비친 달을 그리며  (0) 2011.06.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