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손글씨를 즐기는 편인데 아마 어려서 어머니께서 억지로(?) 글씨 연습을 시킨 것의 영향이 크지 않나 싶기도 하다. 아무튼 그런 이유인지는 몰라도 손으로 글을 쓰는 것에 별다른 거부감은 없고 오히려 가능하면 손으로 무언가 쓰는 경향이 있다. 얼마 전에 연필 관련 글을 쓰기도 했지만 사실 내가 가장 오래 써온 필기구는 만년필이다. 한때는 만년필 동호회에서 맹활약(?)을 하며 온갖 종류의 만년필을 두루 섭렵했었는데 결과적으로 내 손에 남아있는 만년필은 현재 2자루다. 몽블랑의 P146과 펠리칸의 M250 이 두 펜은 일기나 뭔가 심각한 글을 쓸 때 사용한다. 라미의 비스타도 있지만 이 펜은 일상용이랄까 그런 용도로 사용한다. 덧붙여 플래티넘의 1회용 만년필인 프레피도 있는데 이 만년필은 워낙 소모성이 강해서 별도로 분류하기는 애매하지 싶다.


펠리칸의 만년필은 참 종류가 많은데 역시 숫자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250이라는 말은 쉽게 말하면 200시리즈 중 하나라는 의미다. 이전에 M205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배럴(만년필의 몸통)과 캡 등에 크롬이나 백금(또는 은) 도금이 되어 있을 때 5을 뒤에 붙인다. M250은 펠리컨의 표준형 만년필로 생각하면 된다. 100시리즈도 있지만 성인 남성이 쓰기에는 조금 작은 편이고 200급으로 올라가면 길이가 어느 정도 적당하다 싶은 느낌이 든다. M200과 이 녀석의 차이는 촉이 금도금이냐의 여부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아쉽게도 M250은 이제 단종이 되었다고 한다.


펠리컨이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이 만년필을 만든 독일의 회사 이름이자 로고다. 시대에 따라 캡과 촉에 새겨지는 아기새의 모양과 숫자가 달라지는데 오래 전 모델의 경우 아기새가 두 마리고 요즘 모델은 한 마리다. M250의 경우 현재 단종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비교적 현대 모델인지라 한 마리의 아기새가 보인다. 이전에 꽤 오래 사용했던 M150은 새가 두 마리였다. 가끔 내 손에 익을대로 익은 그 녀석이 그리울 때가 있지만 요즘은 이 녀석에 정을 붙여보려고 노력 중이다. 아래 촉 사진을 자세히 보면 아기새가 두 마리 있는 게 보인다.


M250은 14K금도금이 되어 있는데 금도금 촉(닙)의 경우 부드러운 것이 장점이라 하지만 이것도 제품마다 워낙 편차가 커서 딱 어떻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촉 아래 적혀 있는 EF란 Extra Fine의 약자로 아주 얇다는 의미지만 유럽 제품들이 그렇듯이 아주 가늘지는 않다. 그래도 펠리컨 제품은 비교적 가는 편이고 한글이나 한자를 적기에 크게 어려움은 없다. 더 얇은 촉은 일본 제품인 세일러나 플래티넘 것이 있다. 금촉의 특징이라면 스테인리스 촉에 비해 서걱거리는 느낌이 적고 대신 미끄러지는 느낌이 강하다는 점이다. 사람마다 이 느낌에 대한 평가는 다르지만 종이에 펜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 더 좋은 내게 금촉은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


펠리컨의 만년필은 배럴 안에 잉크를 넣는 방식이다. 플런저 방식이라고 하는데 사람에 따라 편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촉 채로 잉크병에 담근 다음 잉크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남아 있는 잉크의 양은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약간 투명한 창을 통해 알 수 있다. 펠리컨 제품은 통상 다른 제품에 비해 잉크가 많이 들어가 고시용 만년필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러고보니 지금 내게 남은 만년필은 모두 이런 방식이다. 잉크를 넣기 위해 어느 정도 수고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녀석들인데 내게는 그것이 더 정겹다.

펠리컨이라는 이름은 클립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저 클립을 자세히 보면 눈도 달려 있다. 펠리컨의 머리 모양을 표현한 것인데 제조사별로 자신들이 내놓은 제품의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몽블랑의 하얀별처럼 펠리컨은 저 클립을 통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뭐랄까 저 모양이 그리 근사해보인다고는 말하기 어렵겠다. 이것도 사람 취향이기는 하지만...


내게 남은 두 개의 만년필이다. 왼쪽의 몽블랑은 촉이 화려하고 펠리컨은 수수하다. 두 펜 모두 이리듐(펜촉 끝부분을 구성하는 금속)도 쌩쌩하고 아마 죽기 전까지 써도 저 두 펜 모두 닳게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두 펜 모두 소장용이 아닌 순수한 필기용이다. 만년필을 소장하는 재미도 쏠쏠하다고 하지만 나는 글을 쓰는 재미가 더 쏠쏠하다. 두 촉 모두 EF지만 글을 써 보면 몽블랑이 펠리컨의 두 배 정도는 굵다. 

요즘은 전자문서가 보편화되어 만년필을 들고 결재란에 서명을 할 일도 없어졌다. 그런 면에서 만년필이 그나마 대중적으로 쓸모가 있던 시대도 지나가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필름 카메라가 이제는 골동품이 되어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가듯이 만년필도 이제는 필기구가 아닌 소장용 수집품 대열에 끼는 것 같아 아쉬운 느낌이다. 이 녀석들을 한참 보다가 방 구석에 놓여 있는 작은 박스를 열어본다. 작은 상자 하나를 가득 메우고 있는 잉크들과 노트들... 역시 난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인가보다.

어찌 되었건 이 두 펜은 남은 내 인생을 함께 할 펜들이다. 내 손에 온 지 이제 3년이 조금 지났으니 이전에 사용하던 M150의 세월을 채우려면 10년도 더 넘는 시간을 글을 써야 한다. 이 녀석들이 적어 나갈 앞으로의 나의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그리고 세월이 지나 빛바랜 잉크로 적혀 있는 그 글들을 다시 읽게 되는 날의 내 마음은 어떨까...

내년 정도에는 필름 카메라를 다시 들여볼까 생각을 해 본다. 사진에 가장 푹 빠져 지내던 시절 항상 내 손을 떠나지 않던 니콘의 F3와 F5를 다시 내곁에 두고 싶은 마음이다. 이젠 흑백필름이나 슬라이드를 현상해 주는 곳도 거의 없어졌지만...



미도리 다이어리입니다. 크기는 130X185입니다. 무선이기 때문에 조금 애로가 있을 수도 있지만 세로글을 쓸 때는 편합니다. 미도리 노트는 모든 잉크에 적응력이 매우 좋더군요. 뒤로 비치는 경우가 적습니다. 가격이 비싼 것이 흠이긴 하죠..그리고 펜 특성을 거의 타지 않는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이겠습니다. 단점이라면 잉크 고유의 특성을 좀 무시한다는 점인데..  

예를 들어 Herbin 사파이어블루처럼 좍 퍼지는 잉크도 번짐을 억제해 버립니다. Herbin잉크 특유의 느낌을 원하는 분에게는 별로 적합하지 않을 듯합니다.

몽블랑 146 EF입니다. 제 EF의 경우는 조금 흐름이 많은 편이고 현대식 몽블랑의 EF 닙은 두께 개념이 없어서 글씨체가 살지는 않습니다. 좀 더 크게 적으면 나아지긴 하는데 어느 정도 작게 쓰는데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잉크는 까렌다쉬 카본입니다


역시 146EF입니다. 무선노트의 장점은 기분에 따라 세로글을 쓰기 무난하다는 점이죠. 일전에 적었던 귀천입니다. 잉크는 Herbin 사파이어 블루입니다. 번짐을 억제하고 있는게 보입니다. 원래의 사파이어블루는 상당히 번집니다.


아직 까칠까칠한 펠리칸 M205입니다. 잉크는 파커 퀸크 블루입니다.



잉크 번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딥펜에는 매우 궁합이 잘 맞습니다. Brause 361과 세일러 젠틀 블랙입니다.


전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미도리 종이를 사용해본 결과는 앞에서 적은 것처럼 번짐이 억제되고 펜의 특성 그리고 잉크의 특성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점은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으니 쓰시는 분이 취향에 맞게 종이를 고르시면 될 것같습니다.


163시리즈의 경우는 만년필의 145에 대응하는 크기다. 만년필을 146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성펜은 162로 가는게 맞지만 아무래도 내 손이 그리 크지는 않은 모양인지 162보다는 163이 좀 더 필기하기에 좋은 느낌이 든다. 사실 163은 여성분들에게 어울리는 펜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보통 펜 동호회 등에서 활동하다 보면 '버건디'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Burgundy라는 단어인데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에서 만들어지는 포도주를 말한다. 즉 버건디라고 발음하기 보다는 부르고뉴라고 해야 맞지 않나 싶지만...

아무튼 영어식으로 버건디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적색 계열인데 아주 붉은 적색이라고 보기도 뭐한 약간 애매한 색이랄까?




몽블랑 만년필의 경우는 필기감이 좋기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건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만년필의 경우는 글쎄..라고 생각된다. 제대로 된 몽블랑의 필기감을 느끼려면 한정판으로 가야하고 또 M촉을 써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즉 우리가 주변에서 비교적 자주 접하는 몽블랑 만년필의 필기감은 썩 좋은 편은 아닌 셈이다.

이것은 특히 볼펜과 수성펜으로 가면 확연히 드러나는데 몽블랑 볼펜이나 수성펜의 필감은 최악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좋지 않다. 만약 몽블랑 볼펜이나 수성펜을 갖게 되었다면 리필은 차라리 파커 것이 더 낫고 조금 더 유연한 필기감을 원한다면 까렌다쉬를 고르면 되겠다. 몽블랑의 대중적인 명성이 어느 정도는 마케팅의 힘이라는 반증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 잉크는 일단 자부심이 대단해보입니다. 블랙이라는 문구도 없이 'carbon' 이 한 단어뿐입니다.



전반적인 잉크의 느낌은 점성이 제법 높습니다. 잉크가 번지지 않고 한곳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Brause 361입니다. 워낙 많이 써서 닙이 다 닳았네요. 수명이 그리 길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잉크의 색을 보세요.



제가 사용해 본 검정 잉크 중에서 이렇게 진하게 나오는 잉크는 처음이네요. 글은 햄릿이 자기를 버린 것을 탓하는 오필리어에게 하는 대사 중의 한 부분입니다. 원래 자기 성질이 그 모양이라 당신을 사랑한 적이 없다고 하는군요..


몽블랑이 잉크 흐름이 좋은 덕에 빡빡한 카본도 이어 쓰는데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만 굵기 적응이 안 되어서 들쑥날쑥합니다. 세필 펜에 카본을 넣었더라면 자연스러운 이어쓰기는 어렵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까렌다쉬 잉크는 세 병이 있는데 가장 놀란 잉크는 이 카본입니다. 물론 블루 스카이의 경우도 상당한 진함을 보여주긴 했지만 이 잉크만은 못합니다. 진하기로 말하면 정말 최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진한 검정으로 유명한 오로라는 이 잉크에 비하면 흐릿한 수준이고 몽블랑이나 파커 퀸크는 물 빠진 검정 수준이 되어 버립니다.. 아직 누들러 잉크는 써보지 않아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카본을 따라오기는 어렵지 않을까..추측만 해봅니다.

까렌다쉬 잉크가 상당한 퀄리티를 보임에도 역시 높은 가격과 30ml라는 적은 양은 쓰는 이에게 제법 부담을 줍니다. 그럼에도 종이 위에 표현되는 색을 보고 있자면 그 비용이 크게 아쉽지는 않을 듯합니다. 또 무척이나 무거운 잉크병은 문진으로 쓰기에도 아주 좋습니다.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필기구의 경우는 자기 손에 맞는 것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글씨만 잘 써지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글쓰기를 즐기는 그리고 만년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내 손에 맞는 그리고 내 글씨를 제일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펜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게 됩니다.

한참 카메라에 빠져 있을 때에도 내게 맞는 장비를 찾기 위해 참 많은 노력이 들었었는데 만년필에 와서도 역시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더군요.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비교적 빠른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손에 맞는 펜을 찾았다는 점입니다.


이번에 영입한 펜은 146라인 중 P옵션이 붙은 펜으로 클립과 장식부가 크롬 처리된 펜입니다. 흔히 CT(Chrome Trim)라고 불리지요. 저는 금장보다는 이런 스타일을 좋아하는데 일전에 소개한 펠리칸의 경우도 205 즉 CT였습니다.



몽블랑 마이스터스튁 라인은 146까지도 닙은 14K입니다. 149로 올라가야 18K를 사용하는데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14K가 부담은 덜한 편입니다. 금 함량이 높아지면 아무래도 닙이 쉽게 다칠 우려가 많지요. 물론 필자에 따라서는 금의 함량이 높은 것을 좋아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막상 찍어 놓고 보니 지포와는 별로 어울리지 않는군요.. 저 지포가 약간 특이한데..티타늄 도금이 된 녀석입니다. ^^



146의 닙은 시대에 따라 그 모양과 디자인이 변해왔는데 80년대 146의 경우는 닙이 단색입니다. 단색의 경우를 보통 원톤닙, 현대 146처럼 금과 백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를 투톤닙이라고 합니다. 닙에 세공된 글자나 문양은 아무래도 현대펜이 보다 선명합니다.



왼쪽이 구형 146이고 오른쪽이 오늘 들어온 신입인 현대 146입니다. 클립 부위의 색으로 GT(Gold Trim)와 CT를 구분합니다. 몽블랑에서는 P 즉 Platinum이라는 단어를 써서 이를 구별하지만 P모델이 가격이 약간 상위일 뿐 근본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현대의 몽블랑의 닙 디자인이나 색상보다 구형 닙을 선호합니다. 디자인이나 색상은 단조롭지만 오히려 그 모습이 더 인간적이라는 생각에서죠. 역시 현대의 몽블랑은 정감어린 느낌이 든다기보다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기계적인 느낌이 드는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자필은 적지를 못했는데 세척을 하고 말리는 중이라 그렇습니다. 시필을 해 보니 현대 EF는 확실히 구형 EF보다 굵게 나옵니다. 하긴 몽블랑 만년필에서 글씨의 굵기를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는 일이긴 하죠.

대충 이렇게 해서 제 만년필 라인업(?)은 구성을 1차적으로 마쳤습니다. 146은 흑색 계열, M205가 청색 계열 잉크를 사용할 예정이고 국내 저명한 닙마이스터께 폴리싱을 의뢰한 팔콘이 도착하면 세밀한 문서 작성용으로 쓸 예정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