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대한(?) 프로젝트를 이제야 옮기게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친한 친구 녀석과 "우리 대학에 들어가면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우리나라 국보와 보물들을 찾아보자" 라는 작은 약속을 했었지요.  그런데 둘 다 대학에 똑 떨어지고 저는 어찌어찌 해결을 했지만 그 녀석이 무려 4수를 하는 바람에 이 계획은 어느샌가 잊힌 기억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일상이라는 이름으로 시간이 분주하게 지나면서 그 시절의 소박한 그러나 정말 하고 싶었던 그 꿈은 '전에 그런 생각을 했었지'라고 이야기하는 정도로 생각할 뿐이었죠. 하지만 이제 비록 혼자지만 그 생각을 옮겨 보려 합니다. 이대로 미뤄두기엔 너무나 아까운 어린 날의 바람이었기 때문이고 우리 역사를 잘은 모르지만 막연하게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 한 가지라면 독거노인인지라 일상이 조금 자유롭다는 것 정도일까요?

블로그 카테고리는 일단 국보와 보물 그리고 사적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보는 현재 310 여개가 있고 보물은 1,700여개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적지는 510여군데가 됩니다. 단순한 계산으로는 대략 2,500가지가 됩니다. 하루에 하나씩 찾아가면 6.8년이 걸리지요. 제가 로또에 당첨이 되어 먹고 사는 걱정이 없다면 7년 정도 계획을 잡고 이 작업을 해보겠는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지요. 하지만 저 2,500가지 중에 현실적으로 다가설 수 없는 것들이 있으니 숫자는 제법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시작은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시대적 배경은 근현대사부터 시작할 생각이니 생각보다 숫자는 아주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 언제 끝이 나는 작업이 될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시간이 하염없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그래도 죽기 전까지 하다보면 제법 많은 우리나라의 유산들을 이 블로그 안에 모아놓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모든 작업은 저 혼자 진행할 예정입니다. 사진을 찍고 글을 쓰는 일은 사실 불가분의 관계죠. 그러니 굉장히 멋진 사진이나 글을 기대하시는 분들께는 조금 부족할 수도 있겠습니다. ^^;

고민 중인 것은 글의 형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부분인데 디자인은 영 할 줄 모르는데다가 그럴만한 시간적 여건도 지금은 부족한지라 일단 손이 가는대로 적어보고 진행이 되는 과정에서 손질을 해볼까 합니다.  '그냥 하면 되지 뭘 글까지 쓰나?' 싶기도 하지만 제 자신에 대해 목표 의식을 부여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갑자기 블로그에 역사 유물이 등장하게 되면 궁금해하실 분이 혹시 계실까 싶어 적어 봅니다.

그냥 글만 적기 뭐해서 오래 전 찍은 사진을 한 장 같이 올립니다. 많이들 보신 경복궁 경회루입니다. 1412년 건축되었고 대한민국 국보 224호입니다. 국보 지정은 1985년 1월 8입니다. 이글에는 이 정도로 그치겠지만 다른 글에서는 좀 더 상세히 제가 아는 한도에서 역사적인 배경을 적어볼까 합니다. 물론 기존의 교과서들을 많이 참고해야겠지요. 제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가 벌써...;

한 가지 바람이라면 우리 유산에 대한 관심이 좀 더 많았으면 합니다. 외국에 알릴 우리만의 고유한 무엇들이 지금은 너무나 찾아보기가 힘이 듭니다. 우리가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첨단 스마트폰이나 자동차가 아니라 우리의 의식주였으면 합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오면 무엇을 보여줘야 할까요? 초등학생들도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인데도 그런 것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 기존에 있는 것들조차 사라져가고 있지요. 국수주의를 하자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우리 뿌리는 알고 살면 어떨까 하는 바람입니다. 아마 글의 시작은 내일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내일 가 볼 곳은 서울의 중심부의 어느 동네인데 생각보다 이곳을 아는 분은 극히 적으리라 생각이 되는 장소입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이 아니었다면 아마 우리나라가 세계에 지금처럼 알려지지는 못 했을 것입니다. 영국 같은 나라에서는 올림픽을 보고나서야 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있는 것을 알았다고 하니 그동안 우리나라의 존재가 세계사적으로 얼마나 미미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푸른숲에서 출간된 "세계의 교과서 한국을 말하다"는 그런 의미에서 상당히 직설적입니다. 교과서라고 하는 것은 교육의 근간이 되는 자료인데 이를 통해 어린 학생들의 역사관이나 세계관이 정립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 중요성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현대가 지구촌 시대라고 해도 사실 당장 내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들도 모두 알기가 어려운데 굳이 나라의 일까지 알기는 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의 내용이 어쩌면 한 사람이 평생 가지고 갈 지식의 전부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책은 그런 점에 착안하고 있다는 점이 우선 특별합니다. 전 세계의 40여 개국의 500가지가 넘는 교과서를 일일히 들여다보고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세계 각국이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선진국의 대열로 접어드는 대한민국과 세계가 바라보는 아시아 변방의 작은 나라의 격차는 제법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의 역사를 정확하게 세계 각국에 알리는 것은 정부의 역할임에도 역대 어느 정부도 변변하게 우리의 정확한 모습을 세계에 알린 적이 없지 않나 싶습니다. 오히려 민간단체인 반크와 같은 곳이 있었기에 그나마 지금 정도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아쉬운 생각이 많이 듭니다.




저자는 우리나라에 대한 잘못된 정보의 원인을 이와 비슷하게 진단하고 있습니다. 잘못된 외국 교과서를 수정하도록 할만큼의 정확한 자료도 부족하고 연구나 개발도 부족하다고 꼬집고 있습니다. 너희 교과서에 이런이런 부분이 틀렸다. 그 근거로 이 자료를 봐라..고 말한만한 자료가 우리는 턱없이 부족한 것입니다.

우리는 삼성이나 LG와 같은 소위 글로벌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저자가 찾아간 멕시코에서는 이들 기업을 일본의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태반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기업에도 책임이 있지만 역시 국가적인 홍보가 부족한 탓이라고 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430페이지가 넘는 제법 두꺼운 분량의 이책에는 상당히 자세한 실제 사례들이 실려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읽는 입장에서는 술술 넘어가지는 않습니다. 편한 마음으로 읽는 책이라기보다는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기에 제격인 책이라고 하겠습니다. 아마 국내의 어느 책도 이 정도로 자세한 실제 사례들을 담고 있지는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례를 가능한 많이 소개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목적으로 써진 책인지라 읽기가 쉽지 않은 점만 빼면 자료로서의 소장가치는 매우 높은 책이라고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