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보이지 않는 고릴라

크리스토퍼 차브리스,대니얼 사이먼스 공저/김명철 역
김영사 | 2011년 03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완벽한 것 같지만 불완전한 인간

농구공을 던지는 학생들이 있다. 학생들이 농구공을 서로 던지는 횟수를 헤아리라고 한다. 눈은 정신없이 학생들과 공을 따라다닌다. 횟수를 헤아리고 나면 질문자가 묻는다. 

중간에 등장한 고릴라를 보셨나요?

우리가 세상을 느끼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아무래도 가장 큰 것은 시각이다. 우리는 눈으로 세상을 보고 정보를 입수하고 그 정보를 판단한다. 눈으로 보는 것은 맛이나 촉각 혹은 청각보다 진실이라고 믿기 쉽다. '무언가가 보인다'는 것의 위력은 그렇게 큰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감각은 생각보다 허점이 많다. 그리고 그 허점이 드러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당사자의 마음에 있다. 우리는 흔히 '보고 싶은 것만 본다'는 말을 많이 한다. 이책의 가장 큰 줄기가 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은 그 맹점을 짚어 내고 있다.

학생들이 공을 던지는 것에 온 신경을 집중하다보니 화면 중간에 등장하는 고릴라를 보지 못 한다. 어떻게 저렇게 또렷한 존재를 못 볼 수 있나? 라고 실험 후에 사람들은 이야기하지만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우리 마음이 혹은 뇌가 차단해버렸기 때문이다.

이책을 읽는 동안 참 인간이라는 존재가 세밀하고 정교한 것 같으면서도 생각보다 오류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 생각해보면 책을 읽는 데 집중하면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 데 그런 현상 역시 고릴라를 발견하지 못 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집중이나 자기 최면을 통해 망각이나 오류가 생길 수도 있지만 다른 면에서는 제법 긍정적인 면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셈이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랄까?

아무튼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는 동일하지만 그 정보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은 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 그 정보를 왜곡하는 경우가 우리의 일상에서는 생각보다 많이 일어나는 셈이다. 

운전 중에 전화를 한다던가 DMB를 본다던가 혹은 화장을 하면서도 '나는 괜찮겠지'라고 착각을 하는 것도 외부의 환경을 본인 스스로 극복할 수 있다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문제는 우리가 그 왜곡 혹은 착각을 확신하는 데서 자주 발생하는데 이책을 통해 그런 착각이나 오류가 생기는 상황들을 살펴보고 미리 대비할 수 있다면 이책을 읽은 보람은 충분히 느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 이론을 악용해 국정감사나 청문회에서 정치인들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거나 '분명히 전달했다'는 식의 발뺌을 하는데 써서는 안 되겠지만 말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이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석 부분을 전혀 번역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50페이지가 넘는 주석 부분은 본문을 이해하는데 있어 상당히 도움이 되는데도 김영사의 의도인지 번역자의 의도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그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럴 거면 애초에 주석을 달지 않는 게 낫지 않았을까 싶다. 과거의 서평들을 보니 이 부분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는 없어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