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정말 오랜만에 이준구 교수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물론 강단의 선생님을 뵌 것이 아닌 책으로 만나게 된 것이지만 평소의 이 교수의 스타일이 그대로 녹아있는 책이어서 무척이나 반가웠다.

이 교수는 이 책의 제목을 "쿠오바디스 한국 경제"라고 붙여 두었다. 왜 쿠오바디스라는 말을 넣었을까는 저자의 머리말만 읽어 보아도 알 수 있다. 이 정도로는 경고의 의미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는지 부제가 "이념이 아닌 합리성의 경제를 향하여"다. 조중동이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쓴다면 제법 재미있게 나올 문구가 아닌가 싶다. 이 교수가 일부러 이런 문구를 선택한 것도 한 판 붙어보자는 의욕에서가 아닐까 싶다.

이준구 교수는 재정학의 전문가이고 미시경제를 오래 공부한 학자다. 덕분에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본인은 그렇게 보수적이지는 않다고 반론을 펼치기도 했지만 아무튼 이준구 교수는 이번 정권에 들어서 소위 '좌빨'인사가 됐다. 학생들에게 보수적인 교수라는 타이틀을 받던 입장에서 갑자기 좌익의 선구자가 되어 버린 이 교수 본인도 상당히 당황스러웠을 것 같다.

이 책에는 이 교수가 왜 좌빨이 되었는지 그 과정을 객관적인 사실과 주관적인 감정으로 적어 내려가고 있다. 단초가 된 대운하 사업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분들이 이 교수의 글을 읽어보셨겠지만 상당히(?) 과격해 보인다. 이념지향적인 정권이 펄펄 뛰는 것은 당연하고 조중동이 들썩일 만도 한 글이다. 하지만 이 교수는 그런 분위기 자체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단정 짓고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 자체가 워낙에 보수적이다보니 조금만 그 범주에서 벗어나도 금세 빨간색으로 보인다는 말이다. 순수한 비판조차 쉽지 않은 이번 정부의 색깔에 대한 시각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하다.

이 교수가 책 처음에 적고 있는 부분 특히 "신문을 펴들고 그 안을 들여다볼 필요도 없다. 어느 신문인지만 알면 내용도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언론사의 칼럼이라도 이름만 가리면 누가 썼는지 분간이 가지 않을 정도로 똑같다"는 문장은 대체 내가 지금 21세기를 살고 있는 것인지 중세 봉건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인지 생각하게 할 정도로 우울한 대목이다.

이 책의 뛰어난 장점은 각 장의 머리에 "독자에게 드리는 글"이 들어있다는 점이다. 학자로서 이 교수는 상당히 대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는 교수 중의 한 분이다. 그런 성향이 그대로 반영된 이 글에는 각 장의 글들을 어떤 의도에서 쓰게 되었는지 당시의 상황과 본인의 심정을 적고 있다. 독자 입장에서는 마치 강의실에서 직접 교수와 대면하는 듯한 인상을 받을 수 있어서 좋고 저자 입장에서도 곡해의 우려가 있는 부분을 미리 독자들에게 주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편집의 묘미가 두드러진다.

상당히 최근에 나온 책이고 바로 우리의 현실이 직접적으로 묘사되고 있어 시간이 지나면 그 의미가 사라질 것 같지만 오히려 현실에 대한 사례의 적용이 상당히 구체적이고 논리적이라는 점에서 관련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일종의 사례집으로 매우 유용할 것 같다.

조금 걱정되는 점이라면 집권 세력이나 기득권 세력이 보기에 이 책은 말 그대로 "반역문서. 선동문서"에 가깝다. 서울대학교 교수라는 국가의 녹을 먹었던 사람이 이럴 수 있나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 교수가 굳이 이 책을 낸 것은 그의 서문의 제목 그대로 "마지못해 사회비평의 붓을 든 것"인데 설마 그럴 리야 없겠지만 선생께 피해가 가지 않았으면 싶다. 그리고 이런 것까지 생각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