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 아마도 학창 시절 한두 번쯤은 들어본 이름일테다. 뭔가 이름이 특이해서 미술사조를 구분할 때 어렵지 않게 초현실주의라고 끼워 맞출 수 있었던 그 사람이다. 우리가 달리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여기까지가 대부분이 아닐까 싶다. 흘러내리는 느낌의 시계 그림(기억의 영속성)까지 기억한다면 시험 대비를 열심히 한 축에 속하지 않을까?
 
살바도르 달리는 화가이면서 조각가이고 또 영화제작자이기도 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의 표현 그대로 미치광이였다. 초현실주의를 하니 미칠 수도 있지 않냐고 물을 수도 있지만 그가 활동하던 당시에는 그런 의식보다는 달리 본인 스스로의 내면에서 흘러나오는대로 자유롭게 그리고 만들어낸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그런 그의 작품과 일상에서의 행동들이 일반인(?)들이 보기에 미친 것처럼 보였을테고 이 시크한 화가는 그런 반응을 오히려 즐기며 스스로를 미치광이 취급해 버린다.


남들이 바라보는 시선을 그대로 인정해버리면 아무 문제가 없다. 남들이 미쳤다고 하니 그렇다고 대답해버리면 다른 이들도 할말이 없고 본인 스스로도로 아무렇지도 않게 미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달리는 평생 이 미친 삶을 살았는데 피카소와 프로이트 같은 또 다른 미친 사람들로부터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이책에는 그런 내용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말 그대로 극도로 세속적이고 욕망을 감추지 않으며 세상의 신중함과 '~척하기'를 그대로 배척해버린 달리는 한창 나이에 이책 즉 자서전을 집필한다. 자서전을 미리 써 두면 그에 맞는 삶을 살 수있다는 이유인데 한편으로는 말이 안 되는 것 같으면서도 일면 달리다운 생각이지 싶다. 총 3개의 파트 14개의 단락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원서를 보지 않아 알 수는 없지만 문체 자체가 말 그대로 건방지고 솔직하다. 아무 거리낌이 없다. 그런 성격이 아니었다면 그의 작품 또한 나오지 않았을테지만..

그러나 한 사람, 그의 평생의 사랑이었던 갈라에 대해서만큼은 유연하고 온화한 모습도 보인다. 당시 사람들은 갈라와 함께 있을 때의 달리는 마치 다른 사람같았다고 증언하는데 극도로 정신을 소모하는 일이 많았던 달리에게 유일하게 평온을 줄 수 있었던 (혹은 본인 스스로가 그렇다고 최면을 걸었던) 존재였기에 그런 행동과 생각이 가능했을듯 하다.

아무리 자서전이라고 해도 절정기의 시기에 자신의 과거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아니 좀 더 강하게 들춰내어 공개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후의 자신에 대한 평가가 완전히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인데 달리는 오히려 자신의 과거의 꿈, 정욕, 망상, 집착과 같은 감정들을 조금은 과장스럽게 그리고 자유롭게 묘사할 수 있었던 그의 정신에 경의를 표한다. 아무리 스스로가 자신이 있어도 쉬운 일은 아니었을텐데..

달리의 작품들은 선뜻 와닿지는 않는다. 사람에 따라서는 혐오스럽게 느낄 수도 있는데 아마도 너무나 적나라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내면에 감추어진 자기만의 비밀을 들추어낸 듯한 느낌. 그 느낌을 그의 작품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프로이트 역시 그런 활동을 했었는데 그래서인지 두 사람에게는 극단적인 평가가 늘 뒷따르고 있다. 우선 달리의 작품들을 찾아보자. 

붙여진 제목과 잘 어울리지 않는 작품들이라고 생각되겠지만 가능한 많은 작품들을 보고난 후에 이책을 읽어보자. 왜 그가 그런 작품을 만들게 되었는지 무엇보다 어떤 마음에서 그런 의도가 나왔는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세상을 집어 삼키려는듯한 강렬한 그의 광기어린 작품들이 만들어진 이면에는 그의 책 첫머리에 적혀 있듯 "그의 야심은 과대망상적 광기처럼 멈출 줄 모르고 커져만 갔"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아무튼... 누군가 미쳤다면 그를 미치게 한 이유가 있을테다. 무작정 미친 사람이라고 등을 돌리기 전에 그 이유를 들어본다면 그의 광기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이책은 스스로 미쳤다고 공언한 달리의 삶과 사랑과 작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비록 그 문체 역시 선뜻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부분이 많지만 말이다.

책의 내용과 별도로 책 자체에 대해 이야기하면 책의 판형이 조금 애매해 한손으로 들고 읽기는 어려운 편이다. 책의 분량(457페이지)이 제법 되기 때문에 어려운 면도 있지만 가로가 긴 모양이라 두손으로 받쳐 들고 읽어야 한다. 아쉬운 점은 뭐랄까 초현실주의의 대가인 달리의 책이라는 점에 너무 얽매인 것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보통의 다른 책들과 다른 디자인과 내부 구성이다. 표지를 거의 통째로 접어 버린 책날개는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들고 읽기'를 더 어렵게 만들었다.

달리의 책이기 때문에 디자인 역시 초현실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는지는 몰라도 형식적인(약간은 어설픈)면에 치우쳐진 느낌이 강해 오히려 글을 읽는데 방해가 됐다. 달리에 대한 소개글을 가로로 보게 한 것은 아직도 이유를 모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