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 심농의 메그레 시리즈가 2011년이 되서야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셜록 홈즈와 메그레를 비교할 수 있는지는 논외로 하고 해외에서 그의 인기는 결코 부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심농 본인의 나름대로 복잡한 개인사도 이슈거리였지만 메그레 반장이라는 인물 역시 꽤나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메그레 시리즈를 읽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시대적 배경이다. 셜록 홈즈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의 인물(!)이라면 메그레 반장은 1930년 경의 인물이다. 역사에 대해 박식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장소적 배경이나 인물의 성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필요한 작업이지 싶다.

이 시대적인 상황은 감안하지 않는다면 소설을 읽는 내내 뭔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193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격변의 시대였다.세계 공황, 세계 대전 등 우리 역사에서 가장 긴박한 장면들이 스쳐 지나간 순간이었고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메그레 시리즈 역시 그러한 시대적인 상황들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메그레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심농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초기 작품이라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정확하게 짜여진 추리 구조라던가 뭔가 독자의 호기심을 확 풀어줄만한 "꺼리"가 잘 보이지 않는다. CSI류의 첨단 범죄수사물에 길들여진 우리네들에게는 더더욱 그렇게 느껴질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내가 이책을 읽으면서 색다르게 느낀 점은 추리소설임에도 마치 심리소설과 같은 인상을 받았다는 점이다. 물론 많은 추리소설들이 주인공들의 세밀한 심리상태를 다루고 있지만 수상한 라트비아인의 인물들에게서는 개개인의 인생사, 삶의 역정 등과 그에서 비롯된 현재의 고단함 심리상태가 잘 드러나고 있다.

범인들 혹은 피의자들의 고단한 심리가 그대로 묻어나는만큼이나 그들을 대하는 메그레의 태도 역시 그 시대와 그 인간들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메그레를 성공적으로 만든 요소라고 생각한다.

"가지"..

"경찰서로 말입니까?"

"아니.."

위의 짧은 대사에서 우리는 메그레를 읽을 수 있다. 아니 그렇게 메그레를 읽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책을 다 읽고났을 때...멋진 추리로 시원시원하게 사건이 해결되었다는 느낌보다 각각의 등장인물들의 아픔이나 상처 그리고 그것들을 나름의 방식으로 해결하려한 메그레의 노력이 더 기억에 남았다. 통쾌하다는 느낌보다 씁쓸한 느낌도 없지 않았는데 이 역시 독자로 하여금 자신이 창조한 세계에 몰입하도록 만든 심농의 기술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래서인지 추리소설이라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데 이런 점 때문에 독자마다의 호불호가 갈릴 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심농의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심농을 그리고 메그레를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리게 된 계기가 된 책이다. 역사적인 면에서도 제법 가치가 있다.


열린책들에서 나온 책을 좋아하는 여러 이유 중의 하나는 장정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덕분에 같은 책임에도 양장본을 추가로 구입한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아무튼 이번에 읽은 조르주 심농의 수상한 라트비아인은 '역시 열린책들'이라는 기존의 생각을 한층 더 해 주었다.

처음 책을 받았을 때 표지가 양장이 아니어서 겉표지가 없이 배송이 되었나 싶기도 했는데 이번 메그레 시리즈의 장정은 이렇게 나올 모양이다. 두꺼운 종이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고 있는 점이 특이한데 전체적으로 책이 가벼워 한손으로 읽기도 좋고 실로 꿰매는 사철 방식은 조금은 과격하게(?) 책을 읽어도 거뜬히 버텨준다.

덕분에 복잡한 오전 출근 시간에 내려야할 역을 무려 두 정거장이나 그냥 지나치고 말았으니 적어도 '나'라는 개인에 한정해 보면 심농에게 펀치를 한 방 맞은 셈이고 메그레 반장에게 푹 빠진 셈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