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부활 1

레프 톨스토이 저/박형규 역
민음사 | 2003년 11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톨스토이 문학의 절정

이 책을 읽기 전 부활의 여주인공은 아나스타샤가 아닐까 생각했었다. 아나스타샤라는 말이 부활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가지고 있었던 착각이긴 했지만 왠지 어울리지 않을까 싶었다. 민음사의 부활은 두 권으로 나뉘어 있다. 두 권 모두 제법 두꺼운데 읽는 데 오래 걸리지 않을까 싶었지만 생각보다 몰입이 잘 된 편이다.

네흘류도프와 카츄샤라는 두 주인공이 있고 둘 사이의 연결고리는 제법 단단하지만 책을 읽는 내내 어쩌면 두 개의 서로 다른 줄거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마지막 책장을 덮는 순간 그 생각은 확실해졌다. 아마 각자의 이야기만 가지고 별도의 소설을 써도 전혀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남자와 여자. 사랑이야기가 나오지만 사랑이라는 주제보다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주제들에 대한 톨스토이의 성찰력은 놀라워서 가끔 던져지는 문장들을 곱씹어 생각해야할 때가 많았다.

네흘류도프 쪽에서 보자면 철모르는 귀족 집안의 남자가 한 여자를 통해 그리고 그 여자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성숙하게 변모해가는 과정이 이어진다. 세상 부러울 것 없이 지내다가 평민들의 삶을 직접 들여다보고서야 사회의 부조리와 차별을 깨닫고 그 과정 속에서 성숙해져가지만 때로는 이전의 화려한 생활의 편안함을 갈구하기도 하는 연약한 인간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낸다.

카츄사의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끌려가게 되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세상에 대한 불신, 사랑에 대한 불신을 간직한 채 그저 흘러가는 대로 체념 속에서 살아가지만 그 안에는 순수함에 대한 동경, 사랑에 대한 믿음을 동시에 간직하고 있다. 그리고 끝내 내리는 마지막 선택은 의외의 반전인 듯 하면서도 그녀의 지고지순함을 보여준다.

그야말로 모든 인간군상들의 모습을 톨스토이는 이 책에 담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수 많은 인물들 속에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네들의 모습이 모두 다 들어있다고 하면 지나친 비약일까?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다. 이 책의 등장인물 하나하나가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지위가 높건 그렇지 않건 평민이나 죄수, 혹은 간수와 정치가, 빈농들과 지주들...

요즘의 어느 나라의 풍경에 빗대어봐도 인물을 대입해보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결국 세월이 흘러도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 겉에 걸친 옷이 달라지고 마차 대신 차를 탈지언정 그 근본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렇게까지 인간들의 심리와 본성을 적나라하고 진지하게 담아 내는 톨스토이의 통찰력에 새삼 놀랄 뿐이다.

아마도 이 책은 읽는 이의 상황(사회적인 신분, 처지 등)에 따라 제각기 달리 해석될 지도 모르겠는데 이 점 또한 이 책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다. 만약 노동운동을 하는 이가 읽는다면 아마도 계급투쟁을 위한 지침서가 될 수도 있겠고 순수한 사랑을 동경하는 이가 읽는다면 아가페적인 사랑의 표본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도서]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상)

표도르 도스또예프스끼 저/이대우 역
열린책들 | 2009년 12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문학이 주는 의미를 적나라하게 구현해냈다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이책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중학교 때다. 우리 반에 참 조용한 친구가 하나 있었는데(지금은 많이 변했지만) 어 날 그 친구가 이책을 들고 다니며 보는 것을 봤다. '제목 참 희안한 책이네'라는 생각은 들었지만 정작 읽어볼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그후로도 가끔 도스토예프스키라는 작가의 이름이 나오거나 이책의 제목이 들려올 때면 '아, 언젠가는 읽어야지..'하고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렇지만 막상 서점에서 이책을 펼쳐보니 만만해보이지가 않았다. 분량도 분량이지만 언뜻 읽어보기에도 여간 난해해 보였기 때문이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이제서야 이책을 읽게 되었다. 열린책들의 양장판..무려 3권이나 되는 데 1Q84같은 책은 3권이어도 부담이 없다는 생각이 들지만 어쩐지 고전은 권수가 이렇게 많으면 상당히 부담스럽다. 쉽고 자극적이고 큰 고민이나 생각없이 보는 책들에 너무 길들여진 탓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은 크게 두 개의 스토리로 이루어져 있다. 큰 주제인듯한 형제들의 이야기와 작은 주제인듯한 어느 아이의 이야기. 그러나 어느 한 쪽이 더 중요한 주제를 담고 있다고 함부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두 주제 모두 깊이 생각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내게는 형제들의 이야기. 그 중에서도 둘째인 이반의 이야기가 좀 더 와 닿았다. <대심문관>이 등장하는 줄거리인데 전체적인 내용과 별개로 그 부분만 따로 떼어 놓아도 한 편의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신학적인 그리고 인간에 대한 성찰은 상당히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있다.

문장을 읽고 또 생각을 하고 다시 읽어가기를 반복하다보니 3권의 책을 모두 다 읽는데 제법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책의 내용의 절반도 이해하지 못 했다는 생각이 든다. 워낙에 범위가 넓고 다루고 있는 주제주제마다 숙고에 또 숙고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에 부적합한 것도 아니다. 인간군상들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시간의 흐름을 따라 죽 읽어내려가도 괜찮다. 책을 읽는 데 있어 정해진 규칙이란 없는 것이고 제 아무리 사상이 심오하고 주제가 복잡하다해도 자신이 어떻게 이책을 읽을 것인가 미리 정해만 둔다면 그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책은 문학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에 대한 하나의 해답이 될 것 같다. 단순히 정신적인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무언가 책을 읽는 이로 하여금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질문은 궁극적으로 우리 인간은 어디에서 왔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이다.

이책을 읽어내려가는 동안 아마도 많은 독자들이 그런 생각을 갖게 되리라 생각된다. 나 역시 그랬고 지금도 그 고민은 계속되고 있으니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