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 선생에 대해 처음 알게된 것은 고등학교 동기가 빌려 준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라는 책에서였다. 그러나 처음 그책을 접했을 때는 왠지 그렇게 마음에 많이 와 닿았다는 느낌은 적었다. 그리고 신영복이라는 이름이 내 기억에서 사라지고 세월이 제법 흘렀다. 

나이가 어느 정도 들면서랄까.. 철학에 대한 생각들이 많아지면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그리고 인문학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대학 시절 어설프게나마 읽은 책들을 바탕으로 한 권 두 권 읽어갈 무렵 이책을 나에게 권해준 이가 있었다. 이전과 달리 고전에 대한 생각이 많은터라 덥썩 받아들고 왔지만 일단 책의 두께에 질렸는지 한동안 책꽂이에 놓아두기만 했었다.

그리고 어느날 이책을 처음 펼치게 되었는데 그때의 느낌은 아직도 생생하다. '아, 이책을 왜 이제야 읽게 되었을까..'라는 생각과 '이제라도 읽게 되었으니 참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동시에 교차했다. 

분명히 책이다. 종이에 찍힌 활자인데 마치 선생과 이야기를 나누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존댓말로 쓰여진 글때문만은 아니다. 뭐랄까 어려운 주제, 심각하고 오묘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마음에 부담이 들지 않는다. 정말 선생의 수업을 듣는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그 수업은 여느 주입식 교육에서처럼 일방적인 정보의 전달이 아닌 학생과의 교감을 원하는 그런 수업이었다.

내가 읽어본 책들 중에서 이책처럼 서론이 긴 책도 찾기 힘든데 그만큼 선생은 독자들에게 자상하고 친절하게 그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들을 어떻게 하면 독자들에게 모두 그리고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을까 고민한 흔적이 너무 크게 드러나 있다. 덕분에 책을 마주 하는 동안 내내 선생에 대한 존경심과 애정 그리고 선생이 풀어내는 지식과 지혜에 깊게 빠져들게 되었다.

무엇보다 서양철학에 경도되어 있던 내게 동양철학의 단아함과 깊이를 알려준 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우리네 사고 방식이며 생활 양식은 대부분이 서구적이다. 그런 방식과 양식 속에서 살아가다보니 우리네 삶 역시 서양일변도의 가치관에 물들여져 있어 자신도 모르게 이해타산적이고 감각적인 분위기에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우리는 본디부터 동양인이고 동양철학의 뿌리에서 자라온 민족이다. 서구식 사고 방식의 유입으로 인해 마치 서양의 것이 참이고 동양의 것은 이단인양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우리의 뿌리는 어쩔 수 없는 동양인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생은 강의 내내 우리에게 그 점을 깊이 새겨주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나 역시 이책을 읽으며 그동안의 내가 얼마나 편향된 사고와 생활에 익숙해있었는지 반성하게 되었다. 

물론 동양적인 사고와 철학이 사람에 따라서는 진부하고 시대착오적으로 들릴 수도 있음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네 삶의 뿌리가 된 양식과 방식을 잊은채 무작정 서구적인 사고에 빠져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소중한 지혜들을 잊어서는 안 되지 않겠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