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륜산(대둔산)은 한반도 최남단에 자리잡은 산이라 한다. 해남에서 찾은 산이니 이보다 더 남쪽의 산이라면 한라산이 있겠지만 바다를 건너는 수고를 들여야 하니 온전히 걸음을 걸어서 만날 수 있는 마지막 산이라 불러도 어색함이 없다. 그 두륜산에 자리잡은 사찰이 바로 대흥사다. 예사롭지 않은 일주문이 우리를 반겨주었다.


대흥사는 규모면에서 찾는 이를 압도한다. 보통 사찰을 떠올린다면 넓지 않은 터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불전들을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이곳 대흥사는 어디서부터 사찰의 시작인지조차 알기가 어려웠다. 오히려 그 덕분인지 사찰 경내를 걷는다는 느낌보다는 공원을 걷는 듯한 느낌마저 들었다. 


사진의 돌에 '13대종사도량'이라 적혀 있다. 대흥사는 불교의 맥을 잇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사찰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산대사가 이곳에서 후학들을 양성했다고 한다. 일주문을 지나 조금 걷다보면 서산대사를 비롯한 고승들의 부도가 자리한 '부도밭'을 만날 수 있는데 무려 54기라 하니 대흥사의 법력에 새삼 감탄하게 된다.


대흥사에서 만날 수 있는 다채로움 중에 이 '연리근'은 유난히 우리의 관심을 끌었다. 가지가 이어진 '연리지'는 종종 만날 수 있지만 뿌리가 이어진 '연리근'은 희귀하기도 하고 연리지에 비해 더 끈끈하달까 좀 더 각별하달까..그런 느낌이 드는 나무였다. 이렇게 대흥사는 전각들 외에도 볼 거리들이 많은 것이 특별한 점인데 남도 여행을 하게 된다면 하루 정도 온전히 대흥사만을 위해 할애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행이란 무엇일까 생각을 해 본다. 특히나 여행을 좋아하는 우리에게 여행은 각자의 삶의 연장인 동시에 두 사람의 삶이 마주치고 얽히는 그런 순간이었다. 오감으로 느끼는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참 대단한 일이 아닌가. 같은 길을 걷고 같은 풍경을 바라보면서 도란도란 나누는 이야기들이 어색하지 않고 부드러운 바람처럼 두 사람을 감싸고 있었기에 각별했던... 그런 모든 순간들의 이어짐. 그것이 우리의 여행이었다.


사진은 셔터버튼을 누르는 그 순간에 내가 느낀 감정을 온전하게 프레임 안에 담아낼 수 있으면 더할나위 없이 좋다. 뷰파인더 안에서 본 느낌이 나중에 집에 돌아와 모니터를 통해 그대로 느껴진다면 그것으로 한 번의 셔터가 움직인 수고로움은 모두 사라지는 셈이다. 사진에 대한 생각이 예전과는 약간 달라진 부분인데 세월이 지난다는 것은 그렇게 생각에도 변화를 주는 모양이다. 


예전에는 저 문을 열고 들어가야만 무언가 달라지고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 문을 열고 들어가 보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굳이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저 문 뒤의 삶이 궁금하지 않게 됐다. 중요한 것은 바로 지금이라는 것을 이제사 깨달은 까닭이다.

그러고보니 35mm 렌즈 하나로 지낸 지 제법 오랜 시간이 지나고 있다. 사람마다 기준은 다르겠지만 내 경우는 28mm와 35mm가 가장 내 눈과 일치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화각이다. 35mm말고도 55mm가 하나 더 있지만 좀처럼 손이 가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요즘은 표준화각대의 줌렌즈가 하나 더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는데 아마도 사람을 찍어야 할 일이 늘어났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Nikon D700, AF 35mm f/2.0


이 장대한(?) 프로젝트를 이제야 옮기게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친한 친구 녀석과 "우리 대학에 들어가면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우리나라 국보와 보물들을 찾아보자" 라는 작은 약속을 했었지요.  그런데 둘 다 대학에 똑 떨어지고 저는 어찌어찌 해결을 했지만 그 녀석이 무려 4수를 하는 바람에 이 계획은 어느샌가 잊힌 기억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일상이라는 이름으로 시간이 분주하게 지나면서 그 시절의 소박한 그러나 정말 하고 싶었던 그 꿈은 '전에 그런 생각을 했었지'라고 이야기하는 정도로 생각할 뿐이었죠. 하지만 이제 비록 혼자지만 그 생각을 옮겨 보려 합니다. 이대로 미뤄두기엔 너무나 아까운 어린 날의 바람이었기 때문이고 우리 역사를 잘은 모르지만 막연하게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 한 가지라면 독거노인인지라 일상이 조금 자유롭다는 것 정도일까요?

블로그 카테고리는 일단 국보와 보물 그리고 사적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보는 현재 310 여개가 있고 보물은 1,700여개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적지는 510여군데가 됩니다. 단순한 계산으로는 대략 2,500가지가 됩니다. 하루에 하나씩 찾아가면 6.8년이 걸리지요. 제가 로또에 당첨이 되어 먹고 사는 걱정이 없다면 7년 정도 계획을 잡고 이 작업을 해보겠는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지요. 하지만 저 2,500가지 중에 현실적으로 다가설 수 없는 것들이 있으니 숫자는 제법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시작은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시대적 배경은 근현대사부터 시작할 생각이니 생각보다 숫자는 아주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 언제 끝이 나는 작업이 될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시간이 하염없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그래도 죽기 전까지 하다보면 제법 많은 우리나라의 유산들을 이 블로그 안에 모아놓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모든 작업은 저 혼자 진행할 예정입니다. 사진을 찍고 글을 쓰는 일은 사실 불가분의 관계죠. 그러니 굉장히 멋진 사진이나 글을 기대하시는 분들께는 조금 부족할 수도 있겠습니다. ^^;

고민 중인 것은 글의 형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부분인데 디자인은 영 할 줄 모르는데다가 그럴만한 시간적 여건도 지금은 부족한지라 일단 손이 가는대로 적어보고 진행이 되는 과정에서 손질을 해볼까 합니다.  '그냥 하면 되지 뭘 글까지 쓰나?' 싶기도 하지만 제 자신에 대해 목표 의식을 부여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갑자기 블로그에 역사 유물이 등장하게 되면 궁금해하실 분이 혹시 계실까 싶어 적어 봅니다.

그냥 글만 적기 뭐해서 오래 전 찍은 사진을 한 장 같이 올립니다. 많이들 보신 경복궁 경회루입니다. 1412년 건축되었고 대한민국 국보 224호입니다. 국보 지정은 1985년 1월 8입니다. 이글에는 이 정도로 그치겠지만 다른 글에서는 좀 더 상세히 제가 아는 한도에서 역사적인 배경을 적어볼까 합니다. 물론 기존의 교과서들을 많이 참고해야겠지요. 제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가 벌써...;

한 가지 바람이라면 우리 유산에 대한 관심이 좀 더 많았으면 합니다. 외국에 알릴 우리만의 고유한 무엇들이 지금은 너무나 찾아보기가 힘이 듭니다. 우리가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첨단 스마트폰이나 자동차가 아니라 우리의 의식주였으면 합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오면 무엇을 보여줘야 할까요? 초등학생들도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인데도 그런 것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 기존에 있는 것들조차 사라져가고 있지요. 국수주의를 하자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우리 뿌리는 알고 살면 어떨까 하는 바람입니다. 아마 글의 시작은 내일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내일 가 볼 곳은 서울의 중심부의 어느 동네인데 생각보다 이곳을 아는 분은 극히 적으리라 생각이 되는 장소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아시는 곳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저는 어제 비로소 이곳을 발견을 했습니다. '누리의 취재노트'라는 이름의 블로그입니다. 이 블로그에 일단 들어가면 한동안 거의 빠져나올 수가 없는데요. 왜냐하면 제가 고등학교 때 친구 녀석과 꿈꾸던 일을 직접 실천하고 계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고3때 친구와 한 이야기는 대학에 들어가거든 전국에 있는 국보와 보물을 찾아다니자는 것이었는데 저는 바로 대학에 입학을 했지만 친구는 결국 3수를 했지요. 이리저리 삶에 치이다보니 친구와 연락도 뜸해졌고 그렇게 시간은 흘러만 갔습니다.

제가 우리나라의 유물을 직접 찾아가보고 싶었던 것은 나름 역사에 대한 관심도 컸고 일단 우리 것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지금 보면 우리나라는 과연 우리 고유의 것이 무엇이 남아있는지 솔직히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도 아직 꿈은 버리지 않았습니다. 언젠가는 누리 님처럼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우리의 역사를 되짚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