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글보다 그림에서 더 많은 느낌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 한 장, 사진 한 장이 건네는 말은 도무지 글로 다 표현하기 어려울 때 적당한 소통수단이 되지요. 그래서 어린아이들에게는 글이 많은 책보다 그림이 큼직큼직한 책들을 읽게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이들에게 "인생"을 설명하려한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글로 혹은 말로 그것이 쉬우리라 생각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림 한 장이라면 그것이 가능하지요. 적어도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그림책에 대해서는 뭐랄까 편견이랄까요 그런게 있어서 나이가 들면 읽지 않는 책정도로 치부했었지요. 사실 소설보다 만화책이 재미있는데도 말이죠. 그리고 어느날 제손에 이 큼직한 책 한 권이 건네졌습니다.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라는 긴 이름을 가진 친구가 주인공이지요. 아이는 학교를 열심히 다니는 그러니까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충실하고 열심인 그런 착한 아이입니다. 그런데 학교에 가는 길에 자꾸 문제가 생깁니다. 악어가 나타나 장갑을 물어가기도 하고 산더미만한 파도에 옷이 모두 젖기도 합니다.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에게는 그런 모든 일들이 실제로 벌어진 일입니다. 아이는 그런 일들에 불만이나 불평을 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요. 그리고 지각을 하게 된 이유를 묻는 선생님에게 그대로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나 "어른"인 선생님은 "아이"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아이가 집에 늦게 들어왔는데 오는 길에 악어를 만나 장갑을 잃어버려 그것을 찾느라 늦었다면 뭐라고 대답하실 건가요? 사실 이 부분을 읽을 때 뭔가 마음이 아려오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 역시 어린 시절 비슷한 일을 겪었기 때문이지요. 분명히 일어난대로 느낀대로 이야기를 했지만 아무도 그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는 사실을 말하고도 반성문을 300번이나 써야 했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는 묵묵히 반성문을 적습니다. 무어라 반발을 한만한데 그러지 않았지요. 그것이 더 안타깝기도 했습니다.


비슷한 일이 반복되고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는 여러 번의 반성문 쓰기를 반복해야했지요. 아이의 마음속에 어떤 감정이 생겼을까요. 그러던 어느 날 털복숭이 고릴라가 선생님을 잡아 천장으로 끌고 올라갑니다. 선생님은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에게 도와 달라고 소리칩니다. 분명 아이의 눈에도 고릴라가 보이고 선생님을 잡아 천장으로 끌고 올라간 모습이 보였겠지요.


하지만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는 선생님이 이제까지 자기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그대로 돌려줍니다. 이것이 이책의 마지막 장면인데 복수나 앙갚음을 해서 통쾌하다는 감정은 전혀 들지 않고 마음속이 뭔가 짠해오는 느낌입니다. 이책에 쓰인 글자는 얼마 되지 않습니다. 글자만 따로 뽑아놓고 보면 한 페이지도 될까말까 하지요. 하지만 이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림을 봐야 합니다. 아주 작은 부분까지도 말이죠. 그림의 구석구석에 우리에게 던져주는 이야기들이 정말 많이 담겨있으니까요.

이책은 아이들보다는 어른을 위한 책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물론 아이들이 읽기에 부족함은 없지만 담겨져 있는 이야기가 제법 깊이 있는 주제이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늘 자기가 바라보는 눈높이로 세상을 재단질합니다. 비단 세상뿐 아니라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지요. 특히나 선생이나 부모와 같은 '교육'을 맡은 이들은 아이들에 대해 그 재단질을 좀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많은 경우 그 재단에 사용되는 자와 가위가 어른의 손에 들린 것이라는 데 있는 것이죠. 아이들의 눈과 생각으로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결국 아이들은 어른들의 마음에 들기 위해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과 순수함을 마음속 깊은 곳으로 던져 버립니다. 흔히 순수함이 사라졌다. 아이같지 않다. 라는 말을 하는데 그건 어른들이 아이들의 마음을 그렇게 만든 것이죠. 어른의 잣대를 아이에게 들이대니 아이 입장에서는 그 자의 길이에 그리고 그 눈금에 맞추는 것이 옳은 것이라 생각하고 그 순수함을 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비단 어린아이뿐 아니라 다 큰 어른이 되어서도 이런 일은 제법 많이 일어납니다. 

아무튼 참 오랜만에 읽은 그림책 한 권이 많은 생각과 가르침을 전해 줍니다. 가장 단순한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고 어쩌면 그것이 진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좀처럼 가시지를 않는 하루였습니다. 





+ Recent posts